목차
1. 제 목
2. 목 표
3. 실험 원리
4. 기구 및 재료
5. 실험 활동
6. 실험 결과
7. 해석 및 정리
2. 목 표
3. 실험 원리
4. 기구 및 재료
5. 실험 활동
6. 실험 결과
7. 해석 및 정리
본문내용
날라가 버릴 것이다. 이 차이에 따라 끓는점이 낮은 알코올이 가장 빨리 증발해 버린다.
실험 4. 서로 섞이는 액체 찾아보기
* 해석 - 액체 끼리 서로 섞고 섞이는 관계
물질의 성질은 전기음성도(전자를 끌어당기는힘)이 커서 한쪽으로 치우치 는 성질인 극성과 전기음성도가없는 비극성(무극성)의 성질이 있다. 극성은 자기장 속에서 움직이는 힘이고 물질의80%이상은 극성이다. 물은 분자구 조가 비대칭 구조로 이루어진 극성이라 세상의 많은 물질들을 녹일 수 있 고 다른 물질과 결합을 잘한다. 또한 극성은 극성끼리 녹고 녹히는 관계에 있고 비극성은 비극성끼리 녹고 녹히는 관계가 있다. 즉, 서로 잘 섞이느냐 의 결정은 분자가 극성을 띠는가가 비극성을 띠는 가가 거의 결정한다. 물 과 기름이 섞이지 않는 이유는 기름이 대칭적 분자구조를 가진 무극성이기 때문이다. (식용유가 물에 뜨는 것은 액체의 분자량에 따른 밀도차 에 의한 것이다. 기름이 물에비해 밀도가 더 작기 때문에 가라앉지 않고 물위로 올라온다. ) 극성결합이라 할지라도 전자가 고루 분포하여 전기적인 힘이 상쇄되었을 때 비극성이라고 부른다. 아세톤은 분자구조상 극성과 비 극성을 동시에 갖기 때문에 비극성 물질 극성물질 모두와 비교적 잘 섞인 다. 처음에 실험을 했을때는 아세톤과 식용유는 서로 섞이지 않는다는 결과 가 나왔는데 실제로 아세톤은 식용유와 잘 섞인다. 일단 아세톤이 물과 섞 인다는 것에서 극성이라는 판단을 내렸고 따라서 아세톤은 기름인 비극성과 는 섞이지 않을 것이라 생각했다. 그러나 비극성을 띤 기름성분인 메니큐어 를 아세톤으로 지울 수 있다는 것은 아세톤과 기름이 섞인다는 증거이다. 이러한 특징이 나타나는 것은 아세톤 자체가 비극성 (대칭적 분자구조) O 이지만 아세톤의 O가 OH-기가
CH - C - CH
있는 것과 만나면 서로 결합해 잘 녹을 수 있는 성질을 가지고 있기 때문 이다. 이를 흔히 양극성이라고 하는데 실제로는 비극성이란 용어가 맞고 아세톤은 실제로 극성인 소금과 같은 것과 섞으면 섞이지 않는다는 것에서 양극성은 아니다. 또한 극성인 식초와도 섞이지 않는다.
※ 한걸음더 - 물위에 식용유를 떨어뜨린 후 비눗물 넣고 관찰하기
- 위의 실험으로 알 수 있는 사실
㉠ 서로 섞이지 않는 액체가 있을 때 다른 물질을 넣으면 섞여질 수도 있다.
(물과 기름을 섞고 거기에 비눗물을 첨가 하였을때)
㉡ 옷에 묻은 기름 얼룩을 없앨 때에는 비누를 사용한다.
* 해석 - 기름의 분자 구조는 용모양으로 각각의 머리에 물과 친한 친수성과 기름 과 친한 친유성을 가지고 있다. 세제는 이러한 기름때를 사방으로 애워싸서 옷에서 물속으로 떼어내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세탁시에는 옷에 들러 붙은 때를 끌어 당기는 힘이 큰 세제를 많이 활용한다. 또한 때는 한번 떨어졌다 다시 붙는 성질이 강한데 이를 솔벤트속에 흩어지게 함으로 결국 때가 의복 에 다시 들러붙는 것을 방지한다.
1. 비누 투입 2. 때에 달라붙기
때 때
3. 옷에서 때 분리하기 4. 때 작게 분리하기
때
때 때 때
실험 4. 서로 섞이는 액체 찾아보기
* 해석 - 액체 끼리 서로 섞고 섞이는 관계
물질의 성질은 전기음성도(전자를 끌어당기는힘)이 커서 한쪽으로 치우치 는 성질인 극성과 전기음성도가없는 비극성(무극성)의 성질이 있다. 극성은 자기장 속에서 움직이는 힘이고 물질의80%이상은 극성이다. 물은 분자구 조가 비대칭 구조로 이루어진 극성이라 세상의 많은 물질들을 녹일 수 있 고 다른 물질과 결합을 잘한다. 또한 극성은 극성끼리 녹고 녹히는 관계에 있고 비극성은 비극성끼리 녹고 녹히는 관계가 있다. 즉, 서로 잘 섞이느냐 의 결정은 분자가 극성을 띠는가가 비극성을 띠는 가가 거의 결정한다. 물 과 기름이 섞이지 않는 이유는 기름이 대칭적 분자구조를 가진 무극성이기 때문이다. (식용유가 물에 뜨는 것은 액체의 분자량에 따른 밀도차 에 의한 것이다. 기름이 물에비해 밀도가 더 작기 때문에 가라앉지 않고 물위로 올라온다. ) 극성결합이라 할지라도 전자가 고루 분포하여 전기적인 힘이 상쇄되었을 때 비극성이라고 부른다. 아세톤은 분자구조상 극성과 비 극성을 동시에 갖기 때문에 비극성 물질 극성물질 모두와 비교적 잘 섞인 다. 처음에 실험을 했을때는 아세톤과 식용유는 서로 섞이지 않는다는 결과 가 나왔는데 실제로 아세톤은 식용유와 잘 섞인다. 일단 아세톤이 물과 섞 인다는 것에서 극성이라는 판단을 내렸고 따라서 아세톤은 기름인 비극성과 는 섞이지 않을 것이라 생각했다. 그러나 비극성을 띤 기름성분인 메니큐어 를 아세톤으로 지울 수 있다는 것은 아세톤과 기름이 섞인다는 증거이다. 이러한 특징이 나타나는 것은 아세톤 자체가 비극성 (대칭적 분자구조) O 이지만 아세톤의 O가 OH-기가
CH - C - CH
있는 것과 만나면 서로 결합해 잘 녹을 수 있는 성질을 가지고 있기 때문 이다. 이를 흔히 양극성이라고 하는데 실제로는 비극성이란 용어가 맞고 아세톤은 실제로 극성인 소금과 같은 것과 섞으면 섞이지 않는다는 것에서 양극성은 아니다. 또한 극성인 식초와도 섞이지 않는다.
※ 한걸음더 - 물위에 식용유를 떨어뜨린 후 비눗물 넣고 관찰하기
- 위의 실험으로 알 수 있는 사실
㉠ 서로 섞이지 않는 액체가 있을 때 다른 물질을 넣으면 섞여질 수도 있다.
(물과 기름을 섞고 거기에 비눗물을 첨가 하였을때)
㉡ 옷에 묻은 기름 얼룩을 없앨 때에는 비누를 사용한다.
* 해석 - 기름의 분자 구조는 용모양으로 각각의 머리에 물과 친한 친수성과 기름 과 친한 친유성을 가지고 있다. 세제는 이러한 기름때를 사방으로 애워싸서 옷에서 물속으로 떼어내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세탁시에는 옷에 들러 붙은 때를 끌어 당기는 힘이 큰 세제를 많이 활용한다. 또한 때는 한번 떨어졌다 다시 붙는 성질이 강한데 이를 솔벤트속에 흩어지게 함으로 결국 때가 의복 에 다시 들러붙는 것을 방지한다.
1. 비누 투입 2. 때에 달라붙기
때 때
3. 옷에서 때 분리하기 4. 때 작게 분리하기
때
때 때 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