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H3-N (암모니아성 질소)실험보고서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NH3-N (암모니아성 질소)실험보고서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실험목적 (objective)

2. 실험 기자재 (Materials), 시약, 시료

3. 실험과정 (Methods or Procedures)

4. 실험결과 (Results)

5. 토의 (Discussion)

6. 관련 이론

7. 참고문헌(References)

8. 과제

본문내용

중으로 N가스로 날아간다. 탈 질소 반응이 일어나가 위해서는 유기물질이 존재하고 무산소 조건이어야 한다.
※ 질소데이터의 용도
→ 부영양화와 관련된 영양소이다. 질소는 조류성장의 필수 영양소중의
하나로써 부영양화가 일어나는 문제에 대한 정보를 얻는 수단으로 활용한다.
→ 질산화와 탈질. 생물학적 질소제거 공정에 활용된다.
→ BOD test. BOD 측정의 오차 값에 활용된다.
→ 음용수 수질기준. 우리나라 음용수 수질 기준의 기준 값을 측정하고 청색증 예방 등에 사용된다.
→ Cl 소독. 정수장에서 Cl 와 결합하여 Chloramine 같은 발암물질 방지에 사용된다.
→ N가스. 탈질로 N가스 발생 시 제어에 사용된다.
→ 하, 폐수 처리 시 수질기준. 총 질소의 농도를 규제하고 공정운전에서 암모니아성질소, 질산성질소, TKN 농도가 중요한 운전요소로 사용된다.
→ 폐수 슬러지. 비료로 판매할시 가치를 판단하는데 주요인자이다.
7. 참고문헌(References)
.Standard Methods.(조교님들의 유인물 참조)
.유성환, 최봉종, 조영관, 이진종 / 수질조사 및 분석 / 동화기술 / 1998년
.박정환, 정종태 / 기초환경 공업실험 / 동화기술 / 2001년
이승원 외 2명, 수질환경기사산업기사, 성인당 (2004)
.Sawyer, C. & P. McCarty, Chemistry for environmental engineering, 4th Ed, McGraw-Hill, New york(1979)
.김좌관, 수질오염개론, 동화기술 (2000)
.김형석김부길송영채 공저, “수질분석 및 수처리 실험,” 동아기술
8. 과제
NH3-N / NH4-N ⇒ 평형관계를 pH에 따라 어떤 관계가 있는지?
NH4+ NH3+ + H+
비독성 독성
☞pH가 높아 질수 록 NH3+의 분율이 높아짐.(독성증가)
☞pH가 낮아 질수 록 NH4+의 분율이 높아짐.
pH>7
NH4+ NH3+ + H+
pH<7
② Alkalinity Balance
7.14 mg/L as CaCO3 소모,
3.6 mg/L as CaCO3 회복에서 왜 소모, 회복 되는지?
소모
질산화 과정에서 암모니아성 질소(N)의 전환에는, 7.14g의 알칼리도
(as CaCO3)가 필요하다.
NH4+ + 2HCO3- + 2O2 → NO3- + 2CO2 + 3H2O
☞ NH4+-N 분자량 = 14 HCO3 분자량 = 61
☞ CaCO3 당량 = 100/2 = 50
알칼리도는 HCO3-의 농도를 CaCO3 값으로 환산하여 나타낸 값이다.
☞ 알칼리도 = 2mol × 61g × 50g = 100g
1mol 61g
여기서 구하고자 하는 g Alkalinity / g NH4-N은
100 = 7.14 g Alkalinity / g NH4-N
14
회복
종속영양 탈질 반응식에서 1당량의 NO3-N 환원과정에서 1당량의 알칼리도가 생성되는데, 이는 1g NO3-N 환원당 3.57 g alkalinity as CaCO3가
생성되는 것과 같다.
질산화 공정에서 7.14 gr AIK / gr NH4-N 제거를 생각한다면 탈질은 질산화과정에서 소모된 알칼리도의 대략 절반 정도를 회수 할 수 있음을 뜻한다.
5CH3COOH + 8NO3- → 4N2 + 10CO2 + 6N2O + 8OH-
☞ NO3-N 분자량 = 14 OH- 분자량 = 17
☞ CaCO3 당량 = 100/2 = 50
14g : 17g = 1g : Xg ⇒ X = 1.214g(as OH-)
→ Alkalinity(as CaCO3)
☞1.214g × 50g = 3.57g Alkalinity recovered/ g NO3-N reduced
17g
  • 가격2,000
  • 페이지수8페이지
  • 등록일2005.09.30
  • 저작시기2005.06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0028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