침습적 동맥혈압 감시(A-line monitoring)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침습적 동맥혈압 감시(A-line monitoring)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침습적 동맥혈압 의 의의
안정시 각 장기 혈류량
A LINE MONITORING의 적응증
준비물
LINE SETTING방법
A LINE CANNULATION준비물
CANNULATION방법
A LINE WAVE
관리
합병증

본문내용

서 카테터를 삽입할 수 있는 동맥으로는 요골(radial), 상완(brachial), 액와(axillary), 족배(dorsalis pedis), 대퇴(femoral) 동맥 등이 있으나 이중에서 요골동맥과 족배동맥을 가장 많이 선택하고 있다. 특히 요골동맥내로 카테터를 삽입할 경우에는 요골동맥이 폐쇄되더라도 수부(hand)의 괴사성 손상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변형화된 Allen검사를 시행하여 척골동맥의 측부순환(collateral circulation)이 적절하게 이루어지고 있는가를 평가하여야 한다.
◎Allen 검사법(우회 순환로 확인 검사)
천자한 요골동맥이 혈전 등에 의해서 폐쇄될 경우에는 척골골동맥(ulnar artery)의 측부순환에 의해서 수부의 순환이 유지될 수 있으나 만일 척골동맥이 폐쇄되면 수부의 순환이 차단되어 괴사에 빠질 수도 있기 때문에 요골동맥을 천자하기 전에 척골동맥의 개방성(patency) 또는 기형의 유무 등을 확인하여야 한다.
이런 목적으로 시행하는 Allen 검사법이 있는데 시행하는 방법은 먼저 환자의 팔을 위로 들어올려 상지의 정맥혈액을 심장으로 환원시키고 주먹을 쥔 다음 요골 및 척골동맥을 손가락으로 동시에 압박한다.
잠시후에 척골동맥의 압박을 풀고 손의 혈색이 원상태로 돌아오는 시간을 측정하여 만일 그 시간이 10초 이내이면 척골동맥의 순환이 정상이나 15초 이상이 되면 척골동맥의 측부순환이 정상이 아니라고 평가하고 요골동맥의 천자를 피하는 것이 안전하다
◎준비물 과 시행 방법
1.A-line setting을 위한 준비물 과 시행방법
pressure monitoring kit(Transpac one way)
Blood pumping기,N/S,Heparin,1cc주사기,Needle,
labeling을 위한 Plaster
①A-line kit의 연결부위를 확인하여 돌림마개 가 느슨하지 않도록 조여준다
②N/S 에 Heparin 500unit을 mix 한다
③N/S bag에 mix 한 날짜와 mix 한 양을 표기한다(유효기간은 약 일주일)
④N/S bagd을 blood pumping기 안에 넣고 200-300mmhg압력을 가한다
⑤kit의 line의 saline을 통과 시켜 air를 뺀다.
2.A-lne cannulation을 위한 준비물 과 시행방법(요골동맥 천자)
20G angio catheter,손목 받침대,Plaster,거즈,알콜솜(베타딘,소공,D-set)
①A-line transducer를 monitor 와 미리 연결하여 천자후 즉시 wave의 상태를 알수 있게 준비해 둔다.
②시술자가 의 천자가 완료 되었으면 신속하게 catheter와 돌림마개를 연결한다
(연결시 set 의 line에 air가 있는지 한번더 확인한다)
(돌림마개 연결시 피부가 말려들어가서 조직 손상이 오지 않게 주의 한다)
③연결후 시술자가 A-line wave를 주시하며 천자상태 유무 상태 가 완료되기
전까지 Plaster고정을 하지않는다
④시술자의 천자상태 확인이 끝난후 Plaster로 단단히 고정한다
⑤3-way를 돌려 대기와 센서가 만나게 한후 zeroing을 한다.(심장높이 고정)
⑥천자부위 와 가장가까운 3-way의 방향을 돌려 air를 뺀다
◎Arterial blood pressure wave
◎관리
① 연결관에 혈액이 응고되어 있는지 자주 관찰한다.
② 3-way의 연결부위를 꽉 조여 혈액의 역류현상과 우발적 손실을 미리
방지한다.
③ 연결관에 Air가 있는 지 확인하고 Air가 있으면 빼내준다.(Air embolism 예방)
④ Heparin Fluid를 필요 이상 사용하지 않도록 한다.
(혈액 응고에 이상이 올 수있음)
⑤순환부전이나 혈전증의 조기 증상을 발견할 수 있도록 도관을 삽입한 부위가 항 상 잘 보이도록 유지한다
⑥ Line을 계속 유지해야 할 겨우 감염 예방을 위해 7일이 경과하면 부위를
바꾼다.
⑦ 드레싱은 매일 하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⑧ 채혈 후 line과 sampling을 위한 3-way 부분은 무균적으로 관리한다.
◎합병증
①수지허혈
원인-손으로 가는 혈류감소시,쇼크상태,척골동맥혈류 부족시 발생
예방-allen검사로 동측척골동맥혈류가 충분하다고 판단될때 시행
②천자부위 출혈
원인-국소압박 방법이 부적당할 때 발생
예방-천자부위 국소압밥을 최소 5분이상 시행
③역행성 동맥 색전
원인-역행성 캐뉼라 세척으로 혈전이 떨어져 뇌순환으로 유입시 발생
예방-3ml이하 소량으로 느리게 캐뉼라 세척
  • 가격2,900
  • 페이지수9페이지
  • 등록일2007.11.29
  • 저작시기2007.1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3935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