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서론
본론
1. 줄기세포란?
2. 줄기세포 얻는 4가지 방법
3. 줄기세포의 응용방안
4. 줄기세포에 문제점은 없는가?
결론
생명공학의 혁명을 꿈꾸며
본론
1. 줄기세포란?
2. 줄기세포 얻는 4가지 방법
3. 줄기세포의 응용방안
4. 줄기세포에 문제점은 없는가?
결론
생명공학의 혁명을 꿈꾸며
본문내용
분열이 계속 되면 텔로미어가 닳으면서 짧아지는데, 그 길이가 일정 한계에 이르면 세포가 사멸하게 된다. 당연히 나이가 든 동물의 텔로미어는 젊은 동물에 비해 짧다. 연구팀은 배아세포로 복제한 양 두 마리와 돌리의 텔로미어를 측정한 결과 이 세 마리 복제양의 텔로미어가 같은 나이의 일반적인 양에 비해 3000~4000 염기쌍 정도 짧다는 것을 알아냈다. 그러나 텔로미어가 짧다고 나이에 비해 더 늙었다는 주장을 반박하는 연구결과도 나왔다.
연구팀은 그 후 돌리를 만드는 것과 같은 방법으로 1900개의 수정란을 만들었고 이 가운데 6마리를 출생시키는 데 성공했다. 그런데 조사 결과, 놀랍게도 이 복제 소들의 텔로미어가 같은 나이의 소보다 길었으며, 몇몇은 금방 태어난 송아지보다도 길다는 사실이 확인되었다.
체세포 복제는 세포 기능의 분화가 이미 완료된 체세포를 분화 이전의 상태로 되돌리는 리프로그래밍과정이다. 돌리의 텔로미어가 짧아진 것은 이러한 리프로그래밍이 완벽하지 않았기 때문이다. 이에 비해 텔로미어의 길이가 짧아지지 않거나 오히려 길어진 복제는 리프로그래밍에 성공했다는 것이다. 그러므로 텔로미어의 길이가 짧아진 것은 복제과정에서 나온 하나의 결과이지 복제에 필연적으로 수반되는 사건은 아니다.
복제 동물의 요절 현상이 복제에 무조건 수반되는 것인지 아니면 리프로그래밍의 성공 여부에 따라 없어질 수도 있는 것인지는 아직 확실하지 않지만, 이 문제가 동물 복제와 복제배아 줄기세포를 이용한 질병 치료라는 장밋빛 꿈 앞에 가로놓인 커다란 장애물이라는 것만은 확실하다.
결 론
생명공학의 혁명을 꿈꾸며
나는 처음 인간 배아 복제에 관한 실험소식을 뉴스에서 들었을 때 머리에서 복제인간이 떠올랐다. 생명과학을 전공하고 있는 나로서는 일단 배아줄기 세포에 대한 연구의 찬성, 반대의 편을 들자면 나는 찬성의 편을 들고 싶다. 한편으로 이를 절실하게 필요로 하는 사람이 미래의 내가 될 수 도 있기 때문이다. 복제배아가 생명체인가 아닌가에 대한 것은 예전의 황우석 교수의 의견과 비슷하다. 황우석 교수는 핵이 제거된 난자는 생명체가 아니라 배양기 일뿐이라고 강조하였다. 부모의 사랑으로 태어난 아이는 아버지, 어머니에게서 각각 유전자를 50%씩 얻지만, 인간복제 배아 줄기세포는 핵이 제거된 난자이므로 세포소기관인 미토콘드리아의 소량의 유전자를 제외하고는 여자쪽의 유전자는 거의 없는 셈이다. 이렇게 수정된 배아가 여자의 자궁에 착상되어 태어나게 되어 생겨난 아기는 남자 쪽에서만 유전자를 받은 정말 말 그대로 복제 인간이 태어난 셈이므로 이와 같은 연구의 시도는 윤리적 사회적 어떤 측면에서도 절대 용납 될 수 없는 경우라고 생각된다.
2005년 황우석 사건에 의해서 줄기세포에 대한 열기는 식었을지라도, 줄기세포가 갖는 그 무한한 가능성 만큼은 절대 포기할 수 없는 희망이다. 연구는 연구에서 끝나는 것이 아니라 실제 그 연구를 하는 인간에게 도움이 되어야 하는데, 이 줄기 세포에 대한 연구는 그 어떤 연구보다 인간에게 도움을 줄 수 있기 때문이다. 하지만 줄기 세포에 대한 미래가 이와 같이 밝은 것만은 아니다. 종교단체, 사회적, 법적, 윤리적으로 극복해야 될 문제 또한 많다. 하지만 이러한 문제들은 시간이 어느 해결해 줄 것이라 생각 된다.
참고 문헌
“줄기세포 연구동향”, 정현민, 포천 중문의대 세포 유전자 치료 연구소
생명공학의 위대한 도전, 박세필, 동아사이언스배아줄기 세포 연구현황 및 전망, 황우석
http://www.chabio.co.kr
http://www.medi-post.co.kr/
http://www.google.co.kr/
http://www.Naver.com
연구팀은 그 후 돌리를 만드는 것과 같은 방법으로 1900개의 수정란을 만들었고 이 가운데 6마리를 출생시키는 데 성공했다. 그런데 조사 결과, 놀랍게도 이 복제 소들의 텔로미어가 같은 나이의 소보다 길었으며, 몇몇은 금방 태어난 송아지보다도 길다는 사실이 확인되었다.
체세포 복제는 세포 기능의 분화가 이미 완료된 체세포를 분화 이전의 상태로 되돌리는 리프로그래밍과정이다. 돌리의 텔로미어가 짧아진 것은 이러한 리프로그래밍이 완벽하지 않았기 때문이다. 이에 비해 텔로미어의 길이가 짧아지지 않거나 오히려 길어진 복제는 리프로그래밍에 성공했다는 것이다. 그러므로 텔로미어의 길이가 짧아진 것은 복제과정에서 나온 하나의 결과이지 복제에 필연적으로 수반되는 사건은 아니다.
복제 동물의 요절 현상이 복제에 무조건 수반되는 것인지 아니면 리프로그래밍의 성공 여부에 따라 없어질 수도 있는 것인지는 아직 확실하지 않지만, 이 문제가 동물 복제와 복제배아 줄기세포를 이용한 질병 치료라는 장밋빛 꿈 앞에 가로놓인 커다란 장애물이라는 것만은 확실하다.
결 론
생명공학의 혁명을 꿈꾸며
나는 처음 인간 배아 복제에 관한 실험소식을 뉴스에서 들었을 때 머리에서 복제인간이 떠올랐다. 생명과학을 전공하고 있는 나로서는 일단 배아줄기 세포에 대한 연구의 찬성, 반대의 편을 들자면 나는 찬성의 편을 들고 싶다. 한편으로 이를 절실하게 필요로 하는 사람이 미래의 내가 될 수 도 있기 때문이다. 복제배아가 생명체인가 아닌가에 대한 것은 예전의 황우석 교수의 의견과 비슷하다. 황우석 교수는 핵이 제거된 난자는 생명체가 아니라 배양기 일뿐이라고 강조하였다. 부모의 사랑으로 태어난 아이는 아버지, 어머니에게서 각각 유전자를 50%씩 얻지만, 인간복제 배아 줄기세포는 핵이 제거된 난자이므로 세포소기관인 미토콘드리아의 소량의 유전자를 제외하고는 여자쪽의 유전자는 거의 없는 셈이다. 이렇게 수정된 배아가 여자의 자궁에 착상되어 태어나게 되어 생겨난 아기는 남자 쪽에서만 유전자를 받은 정말 말 그대로 복제 인간이 태어난 셈이므로 이와 같은 연구의 시도는 윤리적 사회적 어떤 측면에서도 절대 용납 될 수 없는 경우라고 생각된다.
2005년 황우석 사건에 의해서 줄기세포에 대한 열기는 식었을지라도, 줄기세포가 갖는 그 무한한 가능성 만큼은 절대 포기할 수 없는 희망이다. 연구는 연구에서 끝나는 것이 아니라 실제 그 연구를 하는 인간에게 도움이 되어야 하는데, 이 줄기 세포에 대한 연구는 그 어떤 연구보다 인간에게 도움을 줄 수 있기 때문이다. 하지만 줄기 세포에 대한 미래가 이와 같이 밝은 것만은 아니다. 종교단체, 사회적, 법적, 윤리적으로 극복해야 될 문제 또한 많다. 하지만 이러한 문제들은 시간이 어느 해결해 줄 것이라 생각 된다.
참고 문헌
“줄기세포 연구동향”, 정현민, 포천 중문의대 세포 유전자 치료 연구소
생명공학의 위대한 도전, 박세필, 동아사이언스배아줄기 세포 연구현황 및 전망, 황우석
http://www.chabio.co.kr
http://www.medi-post.co.kr/
http://www.google.co.kr/
http://www.Naver.com
추천자료
생명 공학과 생명 윤리 그리고 줄기 세포
[생명과환경 (A+완성)]인간체세포 배아복제의 문제점 및 황우석 교수의 인간체세포 배아복제 ...
황우석 교수의 인간 체세포 복제연구의 사회,윤리적 문제점에 대한 고찰 및 방안
인간체세포 복제 문제점과 황우석 사태분석 및 나의생각
[교양]인간 체세포 배아복제의 문제점-2005년 황우석 교수 사태를 중심으로
황우석 교수의 인간체세포 배아복제의 문제점 및 황우석 교수 사태에 대한 개인적 논의
인간 체세포 배아복제의 문제점 분석 및 황우석사태의 전반적 개요와 나의의견
인간체세포배아복제의문제점
줄기 세포란?
[인간복제][인간 체세포 배아복제][인간배아복제][복제]인간복제, 인간 체세포 배아복제의 문...
인간체세포 배아복제의 문제점 그리고 2005년 황우석 교수의 인간체세포 배아복제를 둘러싸고...
[생명과 환경(A+)] 인간체세포 배아복제의 문제점, 황우석 교수의 사태에 대한 나의 생각 서술
인간체세포 배아복제의 문제점 그리고 2005년 황우석 교수를 둘러싸고 일어난 사태에 대한 나...
[식물, 식물 식물세포 구조, 식물 꽃 구조, 식물 줄기 구조, 식물 잎 구조, 식물 뿌리 구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