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관객은 왜 도박판으로 가는가?
2. 돈먹고 돈먹기는 자본의 유통
3. 폭력으로 포장된 사회
4. 손은 눈보다 빠르다
5. 영화 타짜가 가진 것과 잃은 것
2. 돈먹고 돈먹기는 자본의 유통
3. 폭력으로 포장된 사회
4. 손은 눈보다 빠르다
5. 영화 타짜가 가진 것과 잃은 것
본문내용
를 잘 알 수 있도록 세밀하게 설명해줄 수 있다는 장점으로 변한다. 영화에서 배우의 연기력만으로 그 절박함과 긴장상태를 표현하기에는 한계가 있다. 또한 원작에서는 글씨의 크기나 모양에 따라서 인물의 심리상태를 표현 할 수 있기 때문에 연기력만을 의존하는 영화보다 인물의 내적 상황을 더욱 자세하게 묘사할 수 있다.
또 한가지는 바로 선의 사용이다. 원작과 같은 경우 인물에 대한 세세한 묘사와 일그러지는 표정이 선에 따라서 확연하게 달라지기 때문에 인물의 희노애락을 표현하기 수월하다. 물론 영화에서도 클로즈업을 통한 연기력이나 몸짓과 대사가 있지만, 원작의 경우에는 하나의 인물에 대한 과장된 수사로 그림을 그려 넣음으로써 더욱 호소력이 짙어 보인다. 같은 얼굴을 일그러뜨리더라도 영화 속에서는 실제 얼굴을 컴퓨터 그래픽을 쓰지 않는 한은 부풀리거나 아주 심각하게 일그러뜨릴 수는 없다. 얼굴의 표정을 더욱 크고 흉측하게 묘사하여 과장되게 일그러뜨리는 원작과의 차이는 바로 그것이다.
때문에 고니는 원작과 다른 캐릭터로 탄생한 듯 보인다. 원작에서는 한 인물이 겪게되는 도박판을 삶의 의미로 치환하면서 '배짱'과 '과감성'을 강조하기 때문에 고니는 다혈질 적이고 앞뒤를 가리지 않는 인물로 묘사된다. 그렇기 때문에 원작에서는 몸집이 있는 거구에 힘에 일가견이 있는 인물이자 표정의 변화가 심하게 그려지지만 영화 속에서는 개인의 심리묘사나 삶의 여정을 배경으로 하고 있지 않고, 성격도 ‘배짱’과 같은 부분을 강조하지 않아서 빼빼 마르고 지능적인 인물로 대체하고 있다.
이러한 인물의 변화는 영화 속 빠른 장면전환과 사건전개로 이어진다. 그렇기 때문에 긴장감이 높아지는 것은 인물의 심리적 상황의 원작과는 다르게 영화적 사건의 밀도로 연결된다. 판돈이 커지고 사건이 진행되며 일이 커질수록 함께 긴장감이 점차로 고도되는 것이다. 물론 이러한 부분은 영화 속 인물이 아닌 관객들의 몫이다.
또한 두시간이라는 한정된 러닝타임 덕분에 빠른 시간전개는 단순하지만 명쾌한 영상을 그려낸다. 원작에서 서로 손을 짜 맞추고 치밀한 계획 하에 사람을 속이는 맛은 없어졌지만 그러한 부분을 과감하게 삭제하고 정해진 인물들의 캐릭터에 대한 중심에 힘을 실어 대중성을 확보하는데 주력한다.
이러한 부분은 영화를 재미있게 만들어주는데는 성공할 지 모르지만 영화적 깊이의 면에서는 재고해 볼 만한 문제일 듯 싶다. 삶에서 연결되는 인간관계에 대한 회의감과 한 인물이 삶 속에서 가지게 되는 고뇌와 분노에 대한 감정은 삭제되기 때문이다. 단지 상업성이 일차 목표이기 때문이라고 말한다면 할 말 없지만 말이다.
때문에 영화 ‘타짜’는 인물이 중심이 되지 못하고, 인간의 ‘삶’이 중심이 되지 못한다. 그저 사회에서 순환하고 있는 자본주의의 악순환에 대한 비판론만이 남은 영화가 되었다. 평단에서 주장하는 ‘잘 만든 상업영화’라는 소리와 같이 대중영화로서는 별 다섯 개의 평점을 받을 수 있을지 모르겠지만, 원작과 비교하여 볼 때 사라져버린 인간의 내면은 좋은 예술영화로까지는 도약하지 못한 듯 하다.
또 한가지는 바로 선의 사용이다. 원작과 같은 경우 인물에 대한 세세한 묘사와 일그러지는 표정이 선에 따라서 확연하게 달라지기 때문에 인물의 희노애락을 표현하기 수월하다. 물론 영화에서도 클로즈업을 통한 연기력이나 몸짓과 대사가 있지만, 원작의 경우에는 하나의 인물에 대한 과장된 수사로 그림을 그려 넣음으로써 더욱 호소력이 짙어 보인다. 같은 얼굴을 일그러뜨리더라도 영화 속에서는 실제 얼굴을 컴퓨터 그래픽을 쓰지 않는 한은 부풀리거나 아주 심각하게 일그러뜨릴 수는 없다. 얼굴의 표정을 더욱 크고 흉측하게 묘사하여 과장되게 일그러뜨리는 원작과의 차이는 바로 그것이다.
때문에 고니는 원작과 다른 캐릭터로 탄생한 듯 보인다. 원작에서는 한 인물이 겪게되는 도박판을 삶의 의미로 치환하면서 '배짱'과 '과감성'을 강조하기 때문에 고니는 다혈질 적이고 앞뒤를 가리지 않는 인물로 묘사된다. 그렇기 때문에 원작에서는 몸집이 있는 거구에 힘에 일가견이 있는 인물이자 표정의 변화가 심하게 그려지지만 영화 속에서는 개인의 심리묘사나 삶의 여정을 배경으로 하고 있지 않고, 성격도 ‘배짱’과 같은 부분을 강조하지 않아서 빼빼 마르고 지능적인 인물로 대체하고 있다.
이러한 인물의 변화는 영화 속 빠른 장면전환과 사건전개로 이어진다. 그렇기 때문에 긴장감이 높아지는 것은 인물의 심리적 상황의 원작과는 다르게 영화적 사건의 밀도로 연결된다. 판돈이 커지고 사건이 진행되며 일이 커질수록 함께 긴장감이 점차로 고도되는 것이다. 물론 이러한 부분은 영화 속 인물이 아닌 관객들의 몫이다.
또한 두시간이라는 한정된 러닝타임 덕분에 빠른 시간전개는 단순하지만 명쾌한 영상을 그려낸다. 원작에서 서로 손을 짜 맞추고 치밀한 계획 하에 사람을 속이는 맛은 없어졌지만 그러한 부분을 과감하게 삭제하고 정해진 인물들의 캐릭터에 대한 중심에 힘을 실어 대중성을 확보하는데 주력한다.
이러한 부분은 영화를 재미있게 만들어주는데는 성공할 지 모르지만 영화적 깊이의 면에서는 재고해 볼 만한 문제일 듯 싶다. 삶에서 연결되는 인간관계에 대한 회의감과 한 인물이 삶 속에서 가지게 되는 고뇌와 분노에 대한 감정은 삭제되기 때문이다. 단지 상업성이 일차 목표이기 때문이라고 말한다면 할 말 없지만 말이다.
때문에 영화 ‘타짜’는 인물이 중심이 되지 못하고, 인간의 ‘삶’이 중심이 되지 못한다. 그저 사회에서 순환하고 있는 자본주의의 악순환에 대한 비판론만이 남은 영화가 되었다. 평단에서 주장하는 ‘잘 만든 상업영화’라는 소리와 같이 대중영화로서는 별 다섯 개의 평점을 받을 수 있을지 모르겠지만, 원작과 비교하여 볼 때 사라져버린 인간의 내면은 좋은 예술영화로까지는 도약하지 못한 듯 하다.
추천자료
[디지털][디지털시대][디지털문화][디지털경제][디지털컨텐츠][디지털산업]디지털시대의 디지...
[대중문화][팝][가요순위프로그램][음반산업][음악산업][대중음악][가요][대중가요]대중문화...
[투자][문화][관광][환경][산재예방][교육][문화산업 투자][관광산업 투자][환경산업 투자][...
[스타][연예인][팬클럽][백댄서][연예산업][대중문화]스타(연예인)와 문화, 스타(연예인)와 ...
[전통][한국전통][전통문화][한국전통문화]전통미술(한국전통미술), 전통음악(한국전통음악),...
[문화산업과 경제] 문화산업(Culture Economy)에 대한 분석과 특징 및 문제점과 문화산업의 ...
[다문화교육론] 교육기관에서 진행된 다문화교육프로그램이나 매체활용 강의 하나를 선정하여...
[MBC, 문화방송]MBC(문화방송)의 역사, 형성과정, MBC(문화방송)의 시스템, 편성규약, MBC(문...
[영어권, 영어권 특징, 영어권 문화교육, 영어권 초등학생영어학습체험, 영어권 교육 방향, ...
[교류][체육교류][문화교류][문화예술교류][방송교류][미디어교류]교류와 체육교류, 교류와 ...
한국 아이돌 문화의 문제점 - 아이돌 문화가 청소년에게 미치는 영향을 중심으로 (사회적 측...
[현대의 서양문화 C형]팝아트 이후 현대미술은 대중문화를 적극적으로 활용하여 현대의 서양...
일본의 소프트 파워,일본 문화 전략,일본 문화의 영향력,일본 정부의 문화정책,일본의 애니메...
[한국어교육론] 문화교육의 체계적 분류 [문화교육 문제점 세종한국어 문화교육 문화 분류 체...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