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리더십이란?
리더십의 원천.
리더십의 권위와 권력.
리더십의 공식화.
21c 리더의 조건(자질).
21c 리더의 덕목.
정리하며..
리더십의 원천.
리더십의 권위와 권력.
리더십의 공식화.
21c 리더의 조건(자질).
21c 리더의 덕목.
정리하며..
본문내용
리더십이란?
2人 이상으로 구성된 집단으로, 그 집단이 추구하는 목적의 효율성을 달성하기 위해 수단과 방법방향을 제시하는 것이다. 과거의 리더십은 인물을 중심으로 ‘영웅주의’적으로 접근하였으나, 현재에는 ‘상황주의’적으로 접근하여 학습화되고 배울 수 있다고 볼 수 있다.
리더십의 원천.
과거 현대사회에서는 전통과 카리스마를 리더십의 원천으로 보았지만, 지금의 현대사회에서는 법과, 전문성을 리더십의 원천으로 보았다. 전통을 원천으로 삼는 리더십은 권한에 능력을 부여한 후 만족하면 승계가 가능하였으나, 개인적 특성과는 관계가 없다고 보는 반면, 상대를 압도할 수 있는 능력인 카리스마를 원천으로 삼는 리더십은 개인적 특성으로 보았지만, 승계의 여부는 시기와 상황에 따라 다르게 보았다. 예를 들면 전쟁 시 전쟁기술을 보면, ‘징기스칸’은 유목 생활부터 원래 싸움을 잘 하여 전통을 원천으로 리더십을 발휘하였으며, ‘이순신’은 싸움도 잘 하였지만 상대를 압도하는 카리스마를 원천으로 리더십을 발휘하였다.
그러나, 지금의 현대사회에서는 승계가 되지 않으며 개인적 특성이 아닌 법을 원천으로 삼는 리더십과 전문지식을 원천으로 삼는 리더십으로 나누어 볼 수 있다. 여기서 전문지식을 원천으로 삼는 리더십은 전문지식의 원칙으로서 전문성이 높을수록 더욱더 강력한 리더십을 발휘할 수 있다고 보았다. 또한 현대사회에서의 전문성은 전문성 자체가 아닌 ‘자격증’이라는 백업을 통해 전문성을 인정 받을 수 있다.
리더십의 권위와 권력
리더십을 가진 사람은 상대가 원하던, 원하지 않던 권위와 권력을 행사하게 된다. 즉, 권위와 권력은 타인의 반대 의사에도 불구하고 본인의 의지를 관철 시킬 수 있는 힘이다. 여기서 권위의 원천은 전통, 카리스마, 법, 전문성 등 항상 정당화 되는 것이다. 하지만 권력은 파괴력을 원천으로 삼기 때문에, 리더십의 원천과는 다르게 보았으며 또한 권력은 정당화 되지 않는 것일 수도 있기 때문에 현대사회의 리더십과는 어울리지 않는다고 본다.
권위의 위임 정도로 리더십의 형태를 구분할 수 있다. 구성원들이 모든 의사 결정을 하고 지도자는 그 결정을 따르는 방임형과 지도자와 구성원이 함께 의사결정을 하는 민주형, 모든 의사결정을 지도자가 결정하는 독재형으로 구분 할 수 있는데, 여기서 가장 효과적인 리더십은 특성 조직의 처해진 상황에 따라 달라진다고 생각 된다.
2人 이상으로 구성된 집단으로, 그 집단이 추구하는 목적의 효율성을 달성하기 위해 수단과 방법방향을 제시하는 것이다. 과거의 리더십은 인물을 중심으로 ‘영웅주의’적으로 접근하였으나, 현재에는 ‘상황주의’적으로 접근하여 학습화되고 배울 수 있다고 볼 수 있다.
리더십의 원천.
과거 현대사회에서는 전통과 카리스마를 리더십의 원천으로 보았지만, 지금의 현대사회에서는 법과, 전문성을 리더십의 원천으로 보았다. 전통을 원천으로 삼는 리더십은 권한에 능력을 부여한 후 만족하면 승계가 가능하였으나, 개인적 특성과는 관계가 없다고 보는 반면, 상대를 압도할 수 있는 능력인 카리스마를 원천으로 삼는 리더십은 개인적 특성으로 보았지만, 승계의 여부는 시기와 상황에 따라 다르게 보았다. 예를 들면 전쟁 시 전쟁기술을 보면, ‘징기스칸’은 유목 생활부터 원래 싸움을 잘 하여 전통을 원천으로 리더십을 발휘하였으며, ‘이순신’은 싸움도 잘 하였지만 상대를 압도하는 카리스마를 원천으로 리더십을 발휘하였다.
그러나, 지금의 현대사회에서는 승계가 되지 않으며 개인적 특성이 아닌 법을 원천으로 삼는 리더십과 전문지식을 원천으로 삼는 리더십으로 나누어 볼 수 있다. 여기서 전문지식을 원천으로 삼는 리더십은 전문지식의 원칙으로서 전문성이 높을수록 더욱더 강력한 리더십을 발휘할 수 있다고 보았다. 또한 현대사회에서의 전문성은 전문성 자체가 아닌 ‘자격증’이라는 백업을 통해 전문성을 인정 받을 수 있다.
리더십의 권위와 권력
리더십을 가진 사람은 상대가 원하던, 원하지 않던 권위와 권력을 행사하게 된다. 즉, 권위와 권력은 타인의 반대 의사에도 불구하고 본인의 의지를 관철 시킬 수 있는 힘이다. 여기서 권위의 원천은 전통, 카리스마, 법, 전문성 등 항상 정당화 되는 것이다. 하지만 권력은 파괴력을 원천으로 삼기 때문에, 리더십의 원천과는 다르게 보았으며 또한 권력은 정당화 되지 않는 것일 수도 있기 때문에 현대사회의 리더십과는 어울리지 않는다고 본다.
권위의 위임 정도로 리더십의 형태를 구분할 수 있다. 구성원들이 모든 의사 결정을 하고 지도자는 그 결정을 따르는 방임형과 지도자와 구성원이 함께 의사결정을 하는 민주형, 모든 의사결정을 지도자가 결정하는 독재형으로 구분 할 수 있는데, 여기서 가장 효과적인 리더십은 특성 조직의 처해진 상황에 따라 달라진다고 생각 된다.
추천자료
[리더십론]리더십의 본질과 평생교육 리더십의 유형과 특성
[리더십] 리더십 사례연구-잭 웰치의 리더십 (우수한 리더들의 특성에 대해 조사하고 평가하...
[리더십] 리더십 사례연구-히딩크의 리더십 (우수한 리더들의 특성에 대해 조사하고 평가)
[리더십] 리더십 사례연구 - 징기스칸(칭기즈칸)의 리더십 - 우수한 리더들의 특성에 대해 조...
[리더십] 리더십 정의 및 현대적이론을 토대로 한 우리나라 리더십
서번트 리더십 (servant leadership) (서번트 리더십의 개념, 서번트 리더의 역할, 서번트 리...
평생교육경영에서 효과적인 리더십을 발휘하려면 어떻게 해야 하는지 설명 (평생교육경영에서...
[리더십] 카리스마·변혁적·서번트 리더십의 차별적 특징과 신세대 계층에 적합한 리더십
[리더십] 변혁적 리더십의 특성과 과정을 설명하고, 현실에서 대표적인 변혁적 리더를 찾아 ...
[리더십] 요즘 관심을 많이 가지는 어린이 리더십이 왜 필요한가 어린이 리더십관련 내용에는...
다양한 리더십 이론의 종류를 제시하고 그 중에서 상황적응론적 리더십 이론의 기본 틀과 구...
다양한 리더십 이론의 종류를 제시하고 그 중에서 상황적응론적 리더십 이론의 기본 틀과 구...
[리더십]리더십의 시대적 주요이론과 향후 리더십의 방향
사회복지행정의 리더십 개념 중 사회복지 행정가의 리더십을 자질, 행동, 상황에 따라 정리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