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슴피 섭취시 발생할 수 있는 면역학적 문제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서 문

2. 인간의 면역체계
2-1. Innate and Adaptive Immunity
2-2. Phase of Adaptive Immunity
2-3. Humoral and Cell-mediated immunity

3. 사슴피 섭취시 예상되는 면역반응
3-1. Bacteria에 대한 면역반응
3-2. 기생충에 대한 면역반응
3-3. Virus에 대한 면역반응

본문내용

생물에 대한 면역반응과는 차이가 난다. Virus의 감염은 일차적으로 피부, 점막, 위산 등과 같은 자연적인 장애물에 의하여 차단되어 있다. 일단 이러한 자연적인 장애물을 통과하여 virus가 침투하게 되면, 항체 생산이 유도되어 감염을 막거나, virus를 잡아먹는 세포들이 활성화되어 감염된 세포를 죽임으로서, virus 감염을 조절할 수 있다.
Virus에 대한 면역반응도 virus의 어떤 물질을 항원으로 인식하기 때문에 유도된다. Virus의 항원은 capsid나 envelope에 존재하는 표면단백질이 주요한 항원으로 작용하여 면역반응을 일으킨다. 면역체계는 virus에 감염된 세포를 잘못된 세포로 인식할 수 있으며, 결과적으로 감염된 세포가 면역반응을 받게 되어, 숙주세포와 함께 virus를 제거할 수 있다.
< Fig. 4. MHC의 기능 >
MHC는 T cell과 반응하는 APC나 target cell이 만들어내어 T cell에 항원의 존재를 확인시키는 단백질이다. 여기에는 두 가지 class의 MHC가 있으며, 이들 중 class I MHC는 virus의 단백질처럼 숙주세포 내부에서 번역되어 만들어지는 단백질과 결합하며, virus 단백질을 세포표면에 내보내 T cell로 하여금 인식하도록 만든다. 항원을 인식한 T cell은 항원을 MHC와 항원에 의하여 활성화되어 결국 virus에 감염된 세포를 죽이게 된다(Cell-mediated immune response).
http://home.inje.ac.kr/~lecture/virology/ch6viralpathol/2001virch6.htm

키워드

  • 가격1,000
  • 페이지수5페이지
  • 등록일2007.12.04
  • 저작시기2007.1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4038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