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정보수집(Information Gathering)
1. 인적사항(Identifying data)
2. 주요 문제 (main problem or need)
3. 현 병력 및 과거병력(Present Illness & Past Psychiatric History)
4. 의뢰과정 및 면접당시 Client의 상태
5. 개인력 (Personal History)
6. 가족력 (Family History)
Ⅱ. 사정 (Assessment)
1. 심리·사회적 문제 (Psychosocial Problem)
2. 강점 및 약점 (Strength and Limitation / weakness)
3. 이용자원체계
4. 사정을 위한 이론적 근거 (Theoretic Background for Assessment)
Ⅲ. 목표 및 계획(Goal & Plan)
1. 개입을 위한 이론적 근거 (Theoretic Background for intervention)
Ⅳ. 수련정신보건사회복지사의 의견(Social Worker's opinion)
Ⅴ. 수퍼바이저 의견 (Supervisor's Comment)
1. 인적사항(Identifying data)
2. 주요 문제 (main problem or need)
3. 현 병력 및 과거병력(Present Illness & Past Psychiatric History)
4. 의뢰과정 및 면접당시 Client의 상태
5. 개인력 (Personal History)
6. 가족력 (Family History)
Ⅱ. 사정 (Assessment)
1. 심리·사회적 문제 (Psychosocial Problem)
2. 강점 및 약점 (Strength and Limitation / weakness)
3. 이용자원체계
4. 사정을 위한 이론적 근거 (Theoretic Background for Assessment)
Ⅲ. 목표 및 계획(Goal & Plan)
1. 개입을 위한 이론적 근거 (Theoretic Background for intervention)
Ⅳ. 수련정신보건사회복지사의 의견(Social Worker's opinion)
Ⅴ. 수퍼바이저 의견 (Supervisor's Comment)
본문내용
적응능력 등에 관심을 두어야 하는 환자
위기개입모델
- 위기적인 상황이 있을 때
- 단기적, 시간 제한적, 현재중심
- 비분석적, 현재 대처능력 중시
- 현재의 증상이 위기로 간주되거나, 질병치료 및 회복과정에서 위기가 발생한 경우에 적용
가족생활주기
- 가족생활주기 상 해결과업의 실패
혹은 생활상의 발달위기
-환자의 증상이 발달과정상에 많은 사람들이 겪는 생활과업의 실패로 여겨지는 경우(아동기, 청소년기의 발달과정의 문제들)
이론/모델
특징 및 유의점
사정 및 개입시 적용
행동주의 혹은
학습이론
- 과거 잘못된 학습의 문제
- 부모와의 관계, 대인관계를 포함 한 주변 환경에서의 적절한 학습 의 실패 및 학습기회의 단절/제한
- 환자의 현재 증상/행동이 과거 및 현재의 잘못된 학습(학습패턴)과 관련이 있다고 볼 때
- 새로운 학습을 통해 행동이 개선될 것이라는 확신이 있을 때
행동수정
- 학습이론의 대표적 개입방법
- 해결을 요하는 표적행동의 변화
- 아동 및 청소년에 적용
- 일상에서 잘못/퇴행된 행동수정
- 개입이론으로 적용해야함
- 환자의 표적행동을 단시간에
집중적으로 관리하는 것이 필요할 때, 퇴행된 행동의 수정시
사회학습이론
- 행동주의의 일종이나, 특히 사회 환경적 요인의 중요성 부각
- 환경, 맥락에서의 모방학습
- 가정, 학교, 사회에서의 학습실패
- 비행의 문제, 행동상의 문제들(예: 공격성, 심한 좌절과 박탈, 동기약화, 분노 등의 부정적 행동)의 원인설명 및 개입 계획
인지행동이론
- 특히 잘못된 사고, 부정적 사고, 자기혐오적 사고에 대한 개입
- 인지가 바뀌어야 행동변화
- 인지수정 동시에 잘못된 행동도 변화시키기 위한 훈련
- 부정적 사고, 자살사고, 현실을 왜곡하는 사고가 증상이나 행동상의 문제와 연관될 때 이를 수정하기 위해 작용
- Ellis의 합리적정서요법(RET)
인지이론
- 문제의 사정과 개입의 초점을 부 정적인 인지에서 찾으려는 것
- 행동적인 부분은 크게 강조안함
- 사고의 왜곡이나 부정적 사고가 두드러진 환자
- 어느 정도 대화가 가능하고 논리적 담화가 가능한 환자
의사소통
가족치료
- 가족 내 잘못된 의사소통에 중점
- Satir의 의사소통이론(자존감의 개념, 회유형; 비난형; 초이성형; 산만형; 일치형, 가족조각기법)
- 가족 내 의사소통의 문제가 큰 환자를 대상으로 개선방안에 대한 개입이론으로 유익함
행동주의적
가족치료
- 행동주의적 부모교육
- 행동주의적 부부치료 및 부부상 담(타임아웃, 행동형성 등)
- 부부관계 및 부모자녀관계가 부정적인 경우 그것을 행동주의 원리를 활용하여 개선해야 하는 환자에게 적용
보웬(Bowen)의
가족치료
- 자아분화의 개념
- 삼각관계, 가족투사과정
- 다세대전달과정, 출생순위
- 정서족 단절의 개념이 유용함
- 가족내 갈등이 많은 환자를 대상으로 탈삼각화, 자아분화정도의 향상, 가계도의 활용을 통한 다세대전달을 해결하는 것
미뉴친(Minuchin)
구조적 가족치료
- 가족내의 잘못된 구조에서 문제가 발생한 경우
- 경계, 권력 등의 개념
- 가족 내 갈등이 있을 때, 그 갈등이 가족 내 잘못된 경계 및 권력의 분포에서 연유할 때 적용
강점관점
임파워먼트모델
- 클라이언트의 강점, 잠재력 강조
- 현재중심, 자기결정 및 협력적 관 계 중시
- 특히 초발환자 및 기능이 좋은 환자에게 적용하는 것이 유익
- 또한 회복기 및 재활환자에게 그들에게 힘을 부여하는 접근
- 강점사정 및 자원(개인적, 대인적, 기관, 지역사회)활용 및 병리적 접근과는 다른 접근 강조
현실치료
- 클라이언트의 자신의 삶에 대한 책임감, 통제력, 가능성 중시
- 내적통제의 확보
- 특히 알코올 및 약물환자에 적용하여 삶에 대한 책임감 및 통찰력 확보
《 박미은(2000), 정신보건 임상수련 사례에 대한 이론 적용의 가이드라인 》
Ⅲ. 목표 및 계획(Goal & Plan)
1. 개입을 위한 이론적 근거 (Theoretic Background for intervention)
클라이언트에 대한 사정평가 내용을 대략적으로 기술하고 이에 대한 개입을 위한 구체적인 이론적 전략 및 방법론을 제시한다.
단, 가능한 사정을 위한 이론적 근거를 바탕으로 개입을 위한 이론적 전략 및 방법론을 제시함으로써 사정과 개입이 서로 연관성을 갖도록 한다.
2. 장기목표 : 정신보건사회복지사가 클라이언트와 함께 계약을 맺어 지향하는 목표
2-1. 단기목표 : 클라이언트와 가족이 원하는 목표, 시기적으로 우선순위가 있는 목표
※ 단기목표는 장기목표를 지향하는 일관성이 있는 것이어야 한다.
3. 치료계획 : 장, 단기목표에 따른 치료계획들을 세워야한다.
Ⅳ. 수련정신보건사회복지사의 의견(Social Worker's opinion)
: 수련정신보건사회복지사로서 자신에 대한 평가부분이다. 사례를 담당하면서 사정준비, 사정내용, 긍정적인 성과와 부족한 측면, 사정을 통해 성장 된 부분, 수퍼비전을 받고 싶은 내용 등에 대한 의견이 포함되어야한다.
Ⅴ. 수퍼바이저 의견 (Supervisor's Comment)
: 심리 사회적 사정 전반에 대한 수퍼비전 내용과 사례개시이후에 수퍼비전을 받는 과정에 대한 지도감독 과정기록 후 수퍼바이저의 확인 및 날인을 받는다.
일시
수퍼비전 지적사항
수정내용
수정사항
-항목별로 구체적으로 기록 기록한다.
수정전
수정후
참고사항
또는
기타의견
-수정을 요하지는 않으나 참고할 사항을 구체적으로 기록한다.
-수련생의 긍정적인 개입을 기록한다.
수퍼바이저 확인
◈ 참고문헌
천덕희 (1998), 정신보건사회복지사 임상수련 지침서,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세브란스정신건강병원 사회사업실.
Kaplan, H. I., & Sadock, B. J. (1998). Synopsis of Psychiatry(8th ed.). New york : Williams & Wilkins.
Louise C.Johnson (1992). Social Work Practice. A General Approach(4th ed.). A Division of Simon & Schuster, Inc.
위기개입모델
- 위기적인 상황이 있을 때
- 단기적, 시간 제한적, 현재중심
- 비분석적, 현재 대처능력 중시
- 현재의 증상이 위기로 간주되거나, 질병치료 및 회복과정에서 위기가 발생한 경우에 적용
가족생활주기
- 가족생활주기 상 해결과업의 실패
혹은 생활상의 발달위기
-환자의 증상이 발달과정상에 많은 사람들이 겪는 생활과업의 실패로 여겨지는 경우(아동기, 청소년기의 발달과정의 문제들)
이론/모델
특징 및 유의점
사정 및 개입시 적용
행동주의 혹은
학습이론
- 과거 잘못된 학습의 문제
- 부모와의 관계, 대인관계를 포함 한 주변 환경에서의 적절한 학습 의 실패 및 학습기회의 단절/제한
- 환자의 현재 증상/행동이 과거 및 현재의 잘못된 학습(학습패턴)과 관련이 있다고 볼 때
- 새로운 학습을 통해 행동이 개선될 것이라는 확신이 있을 때
행동수정
- 학습이론의 대표적 개입방법
- 해결을 요하는 표적행동의 변화
- 아동 및 청소년에 적용
- 일상에서 잘못/퇴행된 행동수정
- 개입이론으로 적용해야함
- 환자의 표적행동을 단시간에
집중적으로 관리하는 것이 필요할 때, 퇴행된 행동의 수정시
사회학습이론
- 행동주의의 일종이나, 특히 사회 환경적 요인의 중요성 부각
- 환경, 맥락에서의 모방학습
- 가정, 학교, 사회에서의 학습실패
- 비행의 문제, 행동상의 문제들(예: 공격성, 심한 좌절과 박탈, 동기약화, 분노 등의 부정적 행동)의 원인설명 및 개입 계획
인지행동이론
- 특히 잘못된 사고, 부정적 사고, 자기혐오적 사고에 대한 개입
- 인지가 바뀌어야 행동변화
- 인지수정 동시에 잘못된 행동도 변화시키기 위한 훈련
- 부정적 사고, 자살사고, 현실을 왜곡하는 사고가 증상이나 행동상의 문제와 연관될 때 이를 수정하기 위해 작용
- Ellis의 합리적정서요법(RET)
인지이론
- 문제의 사정과 개입의 초점을 부 정적인 인지에서 찾으려는 것
- 행동적인 부분은 크게 강조안함
- 사고의 왜곡이나 부정적 사고가 두드러진 환자
- 어느 정도 대화가 가능하고 논리적 담화가 가능한 환자
의사소통
가족치료
- 가족 내 잘못된 의사소통에 중점
- Satir의 의사소통이론(자존감의 개념, 회유형; 비난형; 초이성형; 산만형; 일치형, 가족조각기법)
- 가족 내 의사소통의 문제가 큰 환자를 대상으로 개선방안에 대한 개입이론으로 유익함
행동주의적
가족치료
- 행동주의적 부모교육
- 행동주의적 부부치료 및 부부상 담(타임아웃, 행동형성 등)
- 부부관계 및 부모자녀관계가 부정적인 경우 그것을 행동주의 원리를 활용하여 개선해야 하는 환자에게 적용
보웬(Bowen)의
가족치료
- 자아분화의 개념
- 삼각관계, 가족투사과정
- 다세대전달과정, 출생순위
- 정서족 단절의 개념이 유용함
- 가족내 갈등이 많은 환자를 대상으로 탈삼각화, 자아분화정도의 향상, 가계도의 활용을 통한 다세대전달을 해결하는 것
미뉴친(Minuchin)
구조적 가족치료
- 가족내의 잘못된 구조에서 문제가 발생한 경우
- 경계, 권력 등의 개념
- 가족 내 갈등이 있을 때, 그 갈등이 가족 내 잘못된 경계 및 권력의 분포에서 연유할 때 적용
강점관점
임파워먼트모델
- 클라이언트의 강점, 잠재력 강조
- 현재중심, 자기결정 및 협력적 관 계 중시
- 특히 초발환자 및 기능이 좋은 환자에게 적용하는 것이 유익
- 또한 회복기 및 재활환자에게 그들에게 힘을 부여하는 접근
- 강점사정 및 자원(개인적, 대인적, 기관, 지역사회)활용 및 병리적 접근과는 다른 접근 강조
현실치료
- 클라이언트의 자신의 삶에 대한 책임감, 통제력, 가능성 중시
- 내적통제의 확보
- 특히 알코올 및 약물환자에 적용하여 삶에 대한 책임감 및 통찰력 확보
《 박미은(2000), 정신보건 임상수련 사례에 대한 이론 적용의 가이드라인 》
Ⅲ. 목표 및 계획(Goal & Plan)
1. 개입을 위한 이론적 근거 (Theoretic Background for intervention)
클라이언트에 대한 사정평가 내용을 대략적으로 기술하고 이에 대한 개입을 위한 구체적인 이론적 전략 및 방법론을 제시한다.
단, 가능한 사정을 위한 이론적 근거를 바탕으로 개입을 위한 이론적 전략 및 방법론을 제시함으로써 사정과 개입이 서로 연관성을 갖도록 한다.
2. 장기목표 : 정신보건사회복지사가 클라이언트와 함께 계약을 맺어 지향하는 목표
2-1. 단기목표 : 클라이언트와 가족이 원하는 목표, 시기적으로 우선순위가 있는 목표
※ 단기목표는 장기목표를 지향하는 일관성이 있는 것이어야 한다.
3. 치료계획 : 장, 단기목표에 따른 치료계획들을 세워야한다.
Ⅳ. 수련정신보건사회복지사의 의견(Social Worker's opinion)
: 수련정신보건사회복지사로서 자신에 대한 평가부분이다. 사례를 담당하면서 사정준비, 사정내용, 긍정적인 성과와 부족한 측면, 사정을 통해 성장 된 부분, 수퍼비전을 받고 싶은 내용 등에 대한 의견이 포함되어야한다.
Ⅴ. 수퍼바이저 의견 (Supervisor's Comment)
: 심리 사회적 사정 전반에 대한 수퍼비전 내용과 사례개시이후에 수퍼비전을 받는 과정에 대한 지도감독 과정기록 후 수퍼바이저의 확인 및 날인을 받는다.
일시
수퍼비전 지적사항
수정내용
수정사항
-항목별로 구체적으로 기록 기록한다.
수정전
수정후
참고사항
또는
기타의견
-수정을 요하지는 않으나 참고할 사항을 구체적으로 기록한다.
-수련생의 긍정적인 개입을 기록한다.
수퍼바이저 확인
◈ 참고문헌
천덕희 (1998), 정신보건사회복지사 임상수련 지침서,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세브란스정신건강병원 사회사업실.
Kaplan, H. I., & Sadock, B. J. (1998). Synopsis of Psychiatry(8th ed.). New york : Williams & Wilkins.
Louise C.Johnson (1992). Social Work Practice. A General Approach(4th ed.). A Division of Simon & Schuster, Inc.
키워드
추천자료
퇴행성 관절염환자의 심리·사회적문제와 의료사회복지 서비스
[정신건강론 : 나의 정신건강 문제에 대한 심리사회적 사정(가계도, 생태도)]
독거 노인 실제 사례관리 보고서 - 종합사회관 사회복지사와 인터뷰 내용 수록 - 사회적 상황...
인간발달과 사회복지실천(아동기의 이해) 파워포인트 PPT - 신체적 발달, 심리적 발달
치매노인가족 문제사정과 사회복지서비스개입계획 사회복지 문제분석사례 그리고 가족력,사회...
아동기의 신체적 발달 심리적 발달 사회적 발달 사회복지실천에서의 관심영역
에릭슨의 신체적, 심리적, 사회적 발달단계와 사회복지실천에서의 관심영역에 대하여
정신생물학적 측면과 심리사회적인 측면에서 인간의 특성에 대해 기술하고 이러한 인간이해를...
아동복지론 - 프로이드의 정신분석이론, 에릭슨의 심리사회적 발달이론
인간행동을 이해하기 위한 주요이론인 에릭슨의 심리사회적 이론에 따라 자신의 생애발달을 ...
아동기의 신체적 발달, 심리적 발달, 사회적 발달의 특징을 각기 제시하고, 사회복지실천에서...
태아기의 발달과 관련하여 사회복지실천에서 관심을 기울여야 할 문제는 생물학적, 심리적, ...
인간행동을 이해하기 위한 주요이론인 에릭슨의 심리사회적 이론에 따라 자신의 생애발달을 ...
[이혼가정] 이혼가족의 개념 및 사회적 배경 이혼의 사유 이혼가족이 경험하는 심리사회적 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