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NGcN의 배경
2. 차세대 통신망 구조 변화
3. NGcN의 개념
4. NGcN의 정의
5. NGcN의 특징 및 장점
6. NGcN대 효과
7. NGcN 의 로드맵
8. NGcN 요구사항
9. NGcN의 계층 구조 모델
10. NGN의 네트워크 구조
11. NGN 서비스의 개념
12. NGcN과 정부의 역할
13. NGcN에 따른 법 제도 정비사안
14. 현재의 네트워크와 미래(NGcN)의 네트워크
2. 차세대 통신망 구조 변화
3. NGcN의 개념
4. NGcN의 정의
5. NGcN의 특징 및 장점
6. NGcN대 효과
7. NGcN 의 로드맵
8. NGcN 요구사항
9. NGcN의 계층 구조 모델
10. NGN의 네트워크 구조
11. NGN 서비스의 개념
12. NGcN과 정부의 역할
13. NGcN에 따른 법 제도 정비사안
14. 현재의 네트워크와 미래(NGcN)의 네트워크
본문내용
능력을 기반으로 제공되는 서비스
응용 서비스 : NGN 전달계층과 호제어/신호계층을 기반으로 서비스/응용계층의 다양한 부가장치를 통합 제어하여 제공되는 서비스
12.NGcN과 정부의 역할
사업자별 NGcN 추진에 대한 조정자 역할
- 통신사업자는 향 후 경쟁력 확보를 목표로 'NGcN 구축과 이를 통한 신규서비스 제공을 통한 가치창출'을 위해 전략적 전환을 추진
- 향 후 국가 전체 통신망의 구조는 사업자의 NGcN 추진에 따라 결정
- 개별 NGcN 추진이 공익을 저해할 가능성 존재
NGcN에 따른 현행 통신 규제의 개선 추진
- 현행 규제 체계와 향 후 개선방향은 NGcN 구축과 서비스 제공에 영향을 미침
- 특정망, 특정 서비스를 중심으로 사전 구분된 역무를 별도의 규제를 가하고 있는 현행 제도의 개선이 불가피
13.NGcN에 따른 법 제도 정비사안
중복 투자의 최소화
- 설비의 공동구축, 공동사용, 가입자선로 공동활용 등 중복투자 감축을 위한 제 한적인 수단을 규정
- NGcN 구축을 위한 투자 활성화를 유도하되 중복투자를 최소화하는 적절한 수 단필요
역무 및 사업자 분류 제도 개선
- 현행 음성과 데이터 서비스를 독립된 역무로 구분
- NGcN 환경하에서는 음성과 데이터 전송망간 통신과 방송 전송망간 물리적 구분이 사라짐.
허가 제도 개선
- NGcN에 의해 단일 통합망(하나의 전기통신회선설비)으로 다양한 역무 제공이 가능해짐에 따라 현행 허가제도가 부적합해짐.
- NGcNdp 따른 계충 분화에 적합한 허가제도의 고려 공정경쟁제도 개선
공정경쟁제도 개선
- 시장지배적 사업자 지정제도
- 서비스 결합 판매 규제 : 기간 통신역무 시장 점유율 1위 사업자에 대한 결합 판매 금지
- 상호접속 제도 : 음성망과 데이터망의 접속 불가피
- 요금 제도 : 데이터 요금 체계의 합리적 개선
- 번호 체계 : 유무선I 데이터 통합으로 단말기 식별번호 체계의 통합 불가피
- 보편적 서비스 : 구축 단계에 적절한 번호체계 수립 기술 규제
기술규제
- 통합에 따라 다양한 서비스 품질의 보장이 필요
- 일정 수준이상의 보완을 강제하는 방안을 고려
컨텐츠 규제
- 통신과 방송의 내용 규제가 분리 운영
- 전송경로 다원화에 의해 컨텐츠에 대한 직접적이고 효과적인 규제가 필요.
14. 현재의 네트워크와 미래(NGcN)의 네트워크
가. 현재의 네트워크는 수직적 통합의 구조
서비스 별로 독립적인 접속계층/ 전송 및 제어 계층 서비스 계층이 전재하며 상호 연동되지 않음
물리계층 :PSTN, PSDN,Cellular/PCS는 공통의 물리계층을 공유
네트워크 계층 : 본질적으로 분리되어 운영
응용계충 : 하부의 특정한 네트워크에 의존적임
나. NGcN 미래의 네트워크는 수평적 통합의 구조
수평적 통합의 망으로 발전
새로운 서비스의 신속한 제공이 용이, 고유 전문분야에 집중 가능.
서비스에 계층 3rd party의 다양한 참여 가능
다양한 접속망 기술 수용
응용 서비스 : NGN 전달계층과 호제어/신호계층을 기반으로 서비스/응용계층의 다양한 부가장치를 통합 제어하여 제공되는 서비스
12.NGcN과 정부의 역할
사업자별 NGcN 추진에 대한 조정자 역할
- 통신사업자는 향 후 경쟁력 확보를 목표로 'NGcN 구축과 이를 통한 신규서비스 제공을 통한 가치창출'을 위해 전략적 전환을 추진
- 향 후 국가 전체 통신망의 구조는 사업자의 NGcN 추진에 따라 결정
- 개별 NGcN 추진이 공익을 저해할 가능성 존재
NGcN에 따른 현행 통신 규제의 개선 추진
- 현행 규제 체계와 향 후 개선방향은 NGcN 구축과 서비스 제공에 영향을 미침
- 특정망, 특정 서비스를 중심으로 사전 구분된 역무를 별도의 규제를 가하고 있는 현행 제도의 개선이 불가피
13.NGcN에 따른 법 제도 정비사안
중복 투자의 최소화
- 설비의 공동구축, 공동사용, 가입자선로 공동활용 등 중복투자 감축을 위한 제 한적인 수단을 규정
- NGcN 구축을 위한 투자 활성화를 유도하되 중복투자를 최소화하는 적절한 수 단필요
역무 및 사업자 분류 제도 개선
- 현행 음성과 데이터 서비스를 독립된 역무로 구분
- NGcN 환경하에서는 음성과 데이터 전송망간 통신과 방송 전송망간 물리적 구분이 사라짐.
허가 제도 개선
- NGcN에 의해 단일 통합망(하나의 전기통신회선설비)으로 다양한 역무 제공이 가능해짐에 따라 현행 허가제도가 부적합해짐.
- NGcNdp 따른 계충 분화에 적합한 허가제도의 고려 공정경쟁제도 개선
공정경쟁제도 개선
- 시장지배적 사업자 지정제도
- 서비스 결합 판매 규제 : 기간 통신역무 시장 점유율 1위 사업자에 대한 결합 판매 금지
- 상호접속 제도 : 음성망과 데이터망의 접속 불가피
- 요금 제도 : 데이터 요금 체계의 합리적 개선
- 번호 체계 : 유무선I 데이터 통합으로 단말기 식별번호 체계의 통합 불가피
- 보편적 서비스 : 구축 단계에 적절한 번호체계 수립 기술 규제
기술규제
- 통합에 따라 다양한 서비스 품질의 보장이 필요
- 일정 수준이상의 보완을 강제하는 방안을 고려
컨텐츠 규제
- 통신과 방송의 내용 규제가 분리 운영
- 전송경로 다원화에 의해 컨텐츠에 대한 직접적이고 효과적인 규제가 필요.
14. 현재의 네트워크와 미래(NGcN)의 네트워크
가. 현재의 네트워크는 수직적 통합의 구조
서비스 별로 독립적인 접속계층/ 전송 및 제어 계층 서비스 계층이 전재하며 상호 연동되지 않음
물리계층 :PSTN, PSDN,Cellular/PCS는 공통의 물리계층을 공유
네트워크 계층 : 본질적으로 분리되어 운영
응용계충 : 하부의 특정한 네트워크에 의존적임
나. NGcN 미래의 네트워크는 수평적 통합의 구조
수평적 통합의 망으로 발전
새로운 서비스의 신속한 제공이 용이, 고유 전문분야에 집중 가능.
서비스에 계층 3rd party의 다양한 참여 가능
다양한 접속망 기술 수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