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7년11월]NGN(Next Generation Network )-차세대 네트워크에 관한 전망 및 조사자료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개요

2. NGN의 구조와 프로토콜

3. NGN의 주요 이슈

4. NGN의 구성

5. KT의 NGN 진화를 위한 중장기 계획

6. 표준화동향

본문내용

광 전송 네트워크 구축
- 3단계 : 2007년 이루 WDM+OXC에 의한 지능적인 관 기반 기간 전송 네트워크 완성. 광 네트워크 기반의 All-Optical 전달 네트워크 구축 완성
。교환기
- 음성용 교환기는 패킷 교환 방식의 차세대 교환기로 대체.
- 음성/데이터 통합을 위한 패킷 중계망 구축
- 반 전자 교환기를 패킷 기반의 차세대 장비로 대체
- 패킷 음성 처리를 위한 패킷 백본망(ATM/IP) 도입
。 데이터 네트워크
- KORNET 네트워크를 대용량화, 고도화함.
- 초고속 AIM 네트워크의 공중용 전환 활용 확대 및 품질 보장형 프리미엄 서비스 제공 추진
6. 표준화동향
。세계적인 추세는 기존 유선 전화망을 패킷 기반 네트워크로 전환시키고 있고 이동 네트 워크도 ALL-IP개념이 도입된 음성, 데이터, 영상이 통합되는 멀티미디어 서비스 구현임
。국내에서도 회선 교환망을 패킷 기반으로 하여 음성, 데이터, 영상을 동시에 수용하면서 인터넷 전화 멀티미디어 메시징 등 다양한 부가서비스를 효율적으로 지원할 수 있는 NGN으로의 진화가 적극 추진됨.
。KT는 기존의 반전자 교환기의 교체시 이를 액세스 게이트웨이 기반의 패킷 네트워크로 전환한다는 방침
。연구기관, 장비제조업체도 엑세스 게이트웨이, 소프트스위치와 같은 해심 장비에 대한 연구개발을 적극 추진됨
。이동통신업체들도 ALL-IP기반의 3세대 이동통신 네트워크의 구축과 서비스 개발을 적극추진 및 4세대 이동통신 서비스에 대한 연구 개발에 착수함.
。 TTA는 통신망 기술 위원회 산하에 NGN 전담반을 두어 표준화 추진.

키워드

  • 가격1,500
  • 페이지수5페이지
  • 등록일2007.12.06
  • 저작시기2007.1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4069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