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I. 행정이념의 의의와 중요성
II. 행정이념의 종류
1. 행정이념의 변천과 유형
2. 행정의 이념
1) 합법성
2) 합리성
3) 능률성
4) 민주성
5) 효과성
6) 생산성
7) 신뢰성
8) 투명성
III. 결론
II. 행정이념의 종류
1. 행정이념의 변천과 유형
2. 행정의 이념
1) 합법성
2) 합리성
3) 능률성
4) 민주성
5) 효과성
6) 생산성
7) 신뢰성
8) 투명성
III. 결론
본문내용
6) 생산성
생산성의 개념은 다양하게 정의되고 있으나 협의의 개념과 광의의 개념으로 구분할 수 있다. 생산성을 특정활동을 위한 ‘투입에 대한 산출의 비율’이라고 정의하는 것은 좁게 정의 내린 전통적인 개념이며, 생산성을 ‘비용을 줄이는 것’ 혹은 ‘좋은 관리와 관련된 모든 것’이라고 정의하는 것은 넓게 정의한 경우이다. 전통적인 기술적 측면에서 본 생산성은 능률성의 관점에서 투입량에 대한 산출량의 비율이다. 이와는 달리 공공서비스나 정부프로그램을 연구하는 많은 학자들은 생산성이란 용어를 단순한 투입에 대한 산출의 관계로 파악해서는 안되며, 서비스의 효과성 측면이나 서비스의 질의 측면을 측정에 포함시켜 정의해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다. 따라서 정부 생산성은 공공서비스의 효과적인 전달에서 자원이 능률적으로 소비되는 경우의 그런 능률성을 의미한다. 따라서 오늘날 정부생산성이란 서비스 산물을 생산하기 위해 사용된 인적·물적 자원을 포함하는 모든 자원의 투입에 대한 서비스의 질적 측면이 포함된 산출의 비율로 볼 수 있으며, Epstein(1984)이 지적한 대로 능률성과 효과성의 결합이라 할 수 있다. 최근 신공공관리론하의 거버넌스 등에 의하여 강조되는 ‘성과중심의 행정’이라는 것도 모두 정부생산성 증대를 위한 노력이라고 할 수 있다. 오늘날 생산성은 ‘성과(산출+효과)’로 이해되고 있다.
7) 신뢰성
① 개 념
행정의 신뢰성이란 정부의 정책이나 각종 행태가 국민에게 믿을 만한 것으로 비쳐 행정의 예측가능성을 높이고 정부와 국민간의 일체감을 이루는 것을 의미한다. 오늘날처럼 국민의 행정의존도가 커지고 있는 복리국가에 있어서 행정의 신뢰성은 행정의 민주화․인간화를 이룩하고 아울러 진정한 능률성과 효과성을 가져올 수 있는 중요한 행정이념으로 인식되고 있다.
② 신뢰행정의 필요성
가. 예측가능성의 제고 : 신뢰행정은 행정의 예측가능성을 높여주어 국민들이 이를 믿고 각종 사업계획이나 행동지침을 결정할 수 있게 한다.
생산성의 개념은 다양하게 정의되고 있으나 협의의 개념과 광의의 개념으로 구분할 수 있다. 생산성을 특정활동을 위한 ‘투입에 대한 산출의 비율’이라고 정의하는 것은 좁게 정의 내린 전통적인 개념이며, 생산성을 ‘비용을 줄이는 것’ 혹은 ‘좋은 관리와 관련된 모든 것’이라고 정의하는 것은 넓게 정의한 경우이다. 전통적인 기술적 측면에서 본 생산성은 능률성의 관점에서 투입량에 대한 산출량의 비율이다. 이와는 달리 공공서비스나 정부프로그램을 연구하는 많은 학자들은 생산성이란 용어를 단순한 투입에 대한 산출의 관계로 파악해서는 안되며, 서비스의 효과성 측면이나 서비스의 질의 측면을 측정에 포함시켜 정의해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다. 따라서 정부 생산성은 공공서비스의 효과적인 전달에서 자원이 능률적으로 소비되는 경우의 그런 능률성을 의미한다. 따라서 오늘날 정부생산성이란 서비스 산물을 생산하기 위해 사용된 인적·물적 자원을 포함하는 모든 자원의 투입에 대한 서비스의 질적 측면이 포함된 산출의 비율로 볼 수 있으며, Epstein(1984)이 지적한 대로 능률성과 효과성의 결합이라 할 수 있다. 최근 신공공관리론하의 거버넌스 등에 의하여 강조되는 ‘성과중심의 행정’이라는 것도 모두 정부생산성 증대를 위한 노력이라고 할 수 있다. 오늘날 생산성은 ‘성과(산출+효과)’로 이해되고 있다.
7) 신뢰성
① 개 념
행정의 신뢰성이란 정부의 정책이나 각종 행태가 국민에게 믿을 만한 것으로 비쳐 행정의 예측가능성을 높이고 정부와 국민간의 일체감을 이루는 것을 의미한다. 오늘날처럼 국민의 행정의존도가 커지고 있는 복리국가에 있어서 행정의 신뢰성은 행정의 민주화․인간화를 이룩하고 아울러 진정한 능률성과 효과성을 가져올 수 있는 중요한 행정이념으로 인식되고 있다.
② 신뢰행정의 필요성
가. 예측가능성의 제고 : 신뢰행정은 행정의 예측가능성을 높여주어 국민들이 이를 믿고 각종 사업계획이나 행동지침을 결정할 수 있게 한다.
추천자료
전자금융 시스템에 대하여
감성공학
e-Biz 차원의 CRM 마케팅과 e프라이버시 침해 문제
재정과 재정정책의 분석 및 정책과제
[인적자원관리]성과평가(다면평가, MBO, BSC 등) 의 개념과 유형, 장단점 및 활용사례 분석 (...
[마케팅]국내항공사의 마케팅전략
에릭슨의 8단계 발달이론
[재무비율분석] 재무비율분석의 필요성과 판단방법
[품질, 품질 정의, 품질 특성, 품질 분류, 품질 선구자, 품질 발전, 품질평가, 품질인식, 품...
에릭슨의 자아심리학에 근거하여 자신이 속한 발달단계의 특성과 사회복지실천의 과제를 본인...
[간호정보학][처방전달시스템][OCS][EMR][PACS]효과,요약정리
[행정학개론] 행정이념의 기능 - 행정이념의 본질(개념과 기능), 변화의 관점에 따른 행정이...
[기업마케팅][기업][마케팅][사회성][유통환경][정보시스템]기업마케팅의 개념, 기업마케팅의...
스포츠 경영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