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서 언
2. 이른 시기 국문학 연구와 구비문학
3. 학문체계의 정립과 질적 변환
4. 양적 확장, 매너리즘, 새로운 모색
5. 결 어
2. 이른 시기 국문학 연구와 구비문학
3. 학문체계의 정립과 질적 변환
4. 양적 확장, 매너리즘, 새로운 모색
5. 결 어
본문내용
해야 할 문제이기도 하다. 하지만 '모양 내기'에 이끌린 형태의 섣부른 접근은 오히려 학문적 정체성에 혼란을 가져올 수도 있어 주의가 요청된다. 우리의 것에 대한 충실한 인식에 기초하여, 문제의식과 방법론을 가다듬은 상태에서 신중히 길을 찾아나가야 할 것이다.
5. 결 어
구비문학회에서는 향후 2년간의 공동주제로 '현대사회와 구비문학'을 설정했다고 한다. '현단계 구비문학 연구의 좌표'로부터 시작해서 '현장에서 본 구비문학의 과거와 현재', '현대 미디어사회와 구비문학', '구비문학 연구의 미래' 등의 주제에 대한 공동 연구발표를 연속적으로 수행함으로써 앞으로 구비문학 연구는 무엇을 왜 어떻게 감당해 나갈 것인가를 근본적·종합적으로 점검할 예정이라고 한다.
이제 새로운 구술문화의 시대로서의 21세기를 맞이한 상황에서 구비문학 연구가 감당해야 할 가장 본질적이고 결정적인 문제에 정면으로 맞부딪칠 시점이 다가온 셈이다. 구비문학은 본래 현재적으로 존재하는 것으로서 언제 어느 시대에든 그 세상에 걸맞는 형태로 숨쉬어 왔다. 과거도 그랬고 현재도 그러하며 미래도 그럴 것이다. 구비문학의 살아있음에 눈뜨고 과거에서 현재로 이어지는 구비문학의 존재양상과 의미를 정확히 꿰뚫어본다면 구비문학의 미래를 가늠할 수 있을 것이다. 그를 통해 구비문학 연구의 정체성을 새롭게 세울 수 있을 것이다. 사람들의 삶과 더불어 가는 살아있는 연구의 길을 찾을 수 있을 것이다. 그 과업이 훌륭하게 성취되기를 소원한다.
<참고문헌>
▶ 장덕순·조동일·서대석·조희웅, 『구비문학개설』, 일조각, 1971.
▶ 조동일, 『구비문학의 세계』, 새문사, 1980.
▶ 최인학·최래옥·임재해 편, 『한국민속연구사』, 지식산업사, 1994.
▶ 서대석, 「구비문학의 연구현황과 과제」, 『광복50년의 국학, 성과와 전망』, 광복50주년기념 전국국학자대회 발표논문집, 1995.
▶ 사진실, 「구비문학연구동향」, 『국문학연구』 1997(국문학연구회, 1997)
▶ 박경신, 「구비문학연구동향」 『국문학연구』 1998(국문학연구회, 1998)
▶ 이강옥, 「구비문학연구동향」, 『국문학연구』 1999(국문학연구회, 1999)
▶ 신동흔, 「구비문학연구동향」, 『국문학연구』 2000(국문학연구회, 2000)
▶ 강등학 외 8인, 『한국 구비문학의 이해』, 월인, 2000.
▶ 서대석, 「21세기 구비문학 연구의 새로운 관점」, 『고전문학연구』 제18집, 2000.
5. 결 어
구비문학회에서는 향후 2년간의 공동주제로 '현대사회와 구비문학'을 설정했다고 한다. '현단계 구비문학 연구의 좌표'로부터 시작해서 '현장에서 본 구비문학의 과거와 현재', '현대 미디어사회와 구비문학', '구비문학 연구의 미래' 등의 주제에 대한 공동 연구발표를 연속적으로 수행함으로써 앞으로 구비문학 연구는 무엇을 왜 어떻게 감당해 나갈 것인가를 근본적·종합적으로 점검할 예정이라고 한다.
이제 새로운 구술문화의 시대로서의 21세기를 맞이한 상황에서 구비문학 연구가 감당해야 할 가장 본질적이고 결정적인 문제에 정면으로 맞부딪칠 시점이 다가온 셈이다. 구비문학은 본래 현재적으로 존재하는 것으로서 언제 어느 시대에든 그 세상에 걸맞는 형태로 숨쉬어 왔다. 과거도 그랬고 현재도 그러하며 미래도 그럴 것이다. 구비문학의 살아있음에 눈뜨고 과거에서 현재로 이어지는 구비문학의 존재양상과 의미를 정확히 꿰뚫어본다면 구비문학의 미래를 가늠할 수 있을 것이다. 그를 통해 구비문학 연구의 정체성을 새롭게 세울 수 있을 것이다. 사람들의 삶과 더불어 가는 살아있는 연구의 길을 찾을 수 있을 것이다. 그 과업이 훌륭하게 성취되기를 소원한다.
<참고문헌>
▶ 장덕순·조동일·서대석·조희웅, 『구비문학개설』, 일조각, 1971.
▶ 조동일, 『구비문학의 세계』, 새문사, 1980.
▶ 최인학·최래옥·임재해 편, 『한국민속연구사』, 지식산업사, 1994.
▶ 서대석, 「구비문학의 연구현황과 과제」, 『광복50년의 국학, 성과와 전망』, 광복50주년기념 전국국학자대회 발표논문집, 1995.
▶ 사진실, 「구비문학연구동향」, 『국문학연구』 1997(국문학연구회, 1997)
▶ 박경신, 「구비문학연구동향」 『국문학연구』 1998(국문학연구회, 1998)
▶ 이강옥, 「구비문학연구동향」, 『국문학연구』 1999(국문학연구회, 1999)
▶ 신동흔, 「구비문학연구동향」, 『국문학연구』 2000(국문학연구회, 2000)
▶ 강등학 외 8인, 『한국 구비문학의 이해』, 월인, 2000.
▶ 서대석, 「21세기 구비문학 연구의 새로운 관점」, 『고전문학연구』 제18집, 2000.
추천자료
구비 문학과 기록 문학의 비교
구비설화에 담긴 `효`관념의 연구
무가의 문학성과 문학사적 의의
한국문학의 이해, 설화와 신화 연구
[문학][인간학][인간][인간문제][소설][대중문학][문학교육]문학과 인간학, 문학 교육과 인간...
전승문학을 재화하는데 있어서 문제점과 그 해결책을 논하시오
[구비서사시][구비서사시 종류][구비서사시 특징][판소리]]구비서사시의 개념, 구비서사시의 ...
[구비서사시][제주도][아이누][허저족][므엉족]제주도 구비서사시, 아이누 구비서사시, 폴란...
[서사시][서사시 개념][서사시 환경][서사시 역사][서사시 전개][중세문학][서사한시][문학][...
시가(시가문학)와 전환기시가, 시가(시가문학)와 개화기시가, 시가(시가문학)와 신라시대시가...
[구비 문학의 이론과 실제] 동양의 신화(神話) - 한국의 신화, 중국의 신화, 인도의 신화, 일...
[고전문학 교육론] 봉산 탈춤 지도 방안
[고전문학 교육론] 살아있는 민요교육-노동요를 중심으로
[고전문학 교육론] 사회적 삶을 고려한 ‘민요’ 배우기 - 시집살이 노래를 중심으로 -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