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대분석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인물 관계도

2.클로드브레몽의 ‘서술적 가능성에 대한 분석’

3.그레마스 기호의 사각형

4.그레마스의 ‘행동소 분석’

5.시점 분석

6.크로노토프 시ㆍ공간적 배경의 공식

본문내용

각형
조덕기
(대립)
조의관(봉건적 유습)
(함축) (모순) (함축)
조상훈
(전통의 전면적 부정)
(대립)
조창훈
조덕기
(대립)
조상훈
(전통의 전면적 부정,
도덕적 타락)
(함축) (모순) (함축)
조의관
(전통적 가치, 재산)
(대립)
- 교회(서구의 가치관)
- 매당집, 김의경
--------------------------------------------------------------------
조덕기
(대립)
수원집
(함축) (모순) (함축)
조의관(재산)
(대립)
조창훈, 최참봉
조덕기
(자본주의)
(대립)
김병화
(사회주의)
조의관, 조상훈
(대립)
이우삼(피혁), 장훈
그레마스의 ‘행동소 분석’
<송신자> <대상> <수신자>
온건적 이념주의자
(세대 간의 가치를 통합하여 식민지 현실을 극복하고자 함)
실제는 3세대에 해당하지만 앞선 세대간의 갈등을 해소하려는 1.5세

1930년 전, 후의 세대 간 갈등에 혼란스러워 하는 한국 국민
<협조자> <주체> <방해자>
조의관(경제력)
조상훈, 수원댁, 최참봉, 조창훈 등
조덕기
시점 분석
<실제작가>----<내포작가>-----<화자>-----<청자>-----<내포독자>----<실제독자>
구한말 세대와 개화기 세대의 화해와 통합을 이루려는 온건적 이념주의자
염상섭
3인칭
전지적
작가시점
각 장면
인물시점
사용
불특정
다수
내포작가의
의도를
파악하며
읽는 독자
1930년
전, 후
세대 간,
이념 간,
갈등에
혼란스러
워하는
한국인
1931.1.1
~9.17
조선일보
연재
크로노토프 시ㆍ공간적 배경의 공식
시간적 배경 : 1930년 전, 후 (일제 식민지 시대)
공간적 배경 : 당대 한국사회(식민지 조선), 서울, 조의관(나중에는 덕기)의 집
<조덕기를 중심으로>
조의관의 집
바커스 (술집)
북미청정
(홍경애의 집)
일본에서 공부하다가 방학 중에 잠시 귀국
덕기의 부친 조상훈과 홍경애에 대한 소개
어린 누이동생을
만남
홍경애의 회상
경도 (일본)
조의관의 집
병화의 하숙집
학업을 마치기 위해 경도로 감
문중회의를 통한 남자들의 갈등. 덕기 모친과 처, 수 원집 사이의 갈등. 홍경애 로 인한 덕기와 상훈의 갈 등
병화의 하숙집에서 필순과 그의 부모를 봄
서울
병화의 가게
경찰서
조부의 급환으로 귀국.
조의관이 덕기에게 재산을 물려줌
조의관의 사망을 계기로 그 주의를 둘러싼 임눌들에 대한 일본겨찰의 일제검거.
덕기는 무혐의로 풀려남.
  • 가격1,0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07.12.14
  • 저작시기2006.6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4207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