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인물 관계도
2.클로드브레몽의 ‘서술적 가능성에 대한 분석’
3.그레마스 기호의 사각형
4.그레마스의 ‘행동소 분석’
5.시점 분석
6.크로노토프 시ㆍ공간적 배경의 공식
2.클로드브레몽의 ‘서술적 가능성에 대한 분석’
3.그레마스 기호의 사각형
4.그레마스의 ‘행동소 분석’
5.시점 분석
6.크로노토프 시ㆍ공간적 배경의 공식
본문내용
각형
조덕기
(대립)
조의관(봉건적 유습)
(함축) (모순) (함축)
조상훈
(전통의 전면적 부정)
(대립)
조창훈
조덕기
(대립)
조상훈
(전통의 전면적 부정,
도덕적 타락)
(함축) (모순) (함축)
조의관
(전통적 가치, 재산)
(대립)
- 교회(서구의 가치관)
- 매당집, 김의경
--------------------------------------------------------------------
조덕기
(대립)
수원집
(함축) (모순) (함축)
조의관(재산)
(대립)
조창훈, 최참봉
조덕기
(자본주의)
(대립)
김병화
(사회주의)
조의관, 조상훈
(대립)
이우삼(피혁), 장훈
그레마스의 ‘행동소 분석’
<송신자> <대상> <수신자>
온건적 이념주의자
(세대 간의 가치를 통합하여 식민지 현실을 극복하고자 함)
실제는 3세대에 해당하지만 앞선 세대간의 갈등을 해소하려는 1.5세
대
1930년 전, 후의 세대 간 갈등에 혼란스러워 하는 한국 국민
<협조자> <주체> <방해자>
조의관(경제력)
조상훈, 수원댁, 최참봉, 조창훈 등
조덕기
시점 분석
<실제작가>----<내포작가>-----<화자>-----<청자>-----<내포독자>----<실제독자>
구한말 세대와 개화기 세대의 화해와 통합을 이루려는 온건적 이념주의자
염상섭
3인칭
전지적
작가시점
각 장면
인물시점
사용
불특정
다수
내포작가의
의도를
파악하며
읽는 독자
1930년
전, 후
세대 간,
이념 간,
갈등에
혼란스러
워하는
한국인
1931.1.1
~9.17
조선일보
연재
크로노토프 시ㆍ공간적 배경의 공식
시간적 배경 : 1930년 전, 후 (일제 식민지 시대)
공간적 배경 : 당대 한국사회(식민지 조선), 서울, 조의관(나중에는 덕기)의 집
<조덕기를 중심으로>
조의관의 집
바커스 (술집)
북미청정
(홍경애의 집)
일본에서 공부하다가 방학 중에 잠시 귀국
덕기의 부친 조상훈과 홍경애에 대한 소개
어린 누이동생을
만남
홍경애의 회상
경도 (일본)
조의관의 집
병화의 하숙집
학업을 마치기 위해 경도로 감
문중회의를 통한 남자들의 갈등. 덕기 모친과 처, 수 원집 사이의 갈등. 홍경애 로 인한 덕기와 상훈의 갈 등
병화의 하숙집에서 필순과 그의 부모를 봄
서울
병화의 가게
경찰서
조부의 급환으로 귀국.
조의관이 덕기에게 재산을 물려줌
조의관의 사망을 계기로 그 주의를 둘러싼 임눌들에 대한 일본겨찰의 일제검거.
덕기는 무혐의로 풀려남.
조덕기
(대립)
조의관(봉건적 유습)
(함축) (모순) (함축)
조상훈
(전통의 전면적 부정)
(대립)
조창훈
조덕기
(대립)
조상훈
(전통의 전면적 부정,
도덕적 타락)
(함축) (모순) (함축)
조의관
(전통적 가치, 재산)
(대립)
- 교회(서구의 가치관)
- 매당집, 김의경
--------------------------------------------------------------------
조덕기
(대립)
수원집
(함축) (모순) (함축)
조의관(재산)
(대립)
조창훈, 최참봉
조덕기
(자본주의)
(대립)
김병화
(사회주의)
조의관, 조상훈
(대립)
이우삼(피혁), 장훈
그레마스의 ‘행동소 분석’
<송신자> <대상> <수신자>
온건적 이념주의자
(세대 간의 가치를 통합하여 식민지 현실을 극복하고자 함)
실제는 3세대에 해당하지만 앞선 세대간의 갈등을 해소하려는 1.5세
대
1930년 전, 후의 세대 간 갈등에 혼란스러워 하는 한국 국민
<협조자> <주체> <방해자>
조의관(경제력)
조상훈, 수원댁, 최참봉, 조창훈 등
조덕기
시점 분석
<실제작가>----<내포작가>-----<화자>-----<청자>-----<내포독자>----<실제독자>
구한말 세대와 개화기 세대의 화해와 통합을 이루려는 온건적 이념주의자
염상섭
3인칭
전지적
작가시점
각 장면
인물시점
사용
불특정
다수
내포작가의
의도를
파악하며
읽는 독자
1930년
전, 후
세대 간,
이념 간,
갈등에
혼란스러
워하는
한국인
1931.1.1
~9.17
조선일보
연재
크로노토프 시ㆍ공간적 배경의 공식
시간적 배경 : 1930년 전, 후 (일제 식민지 시대)
공간적 배경 : 당대 한국사회(식민지 조선), 서울, 조의관(나중에는 덕기)의 집
<조덕기를 중심으로>
조의관의 집
바커스 (술집)
북미청정
(홍경애의 집)
일본에서 공부하다가 방학 중에 잠시 귀국
덕기의 부친 조상훈과 홍경애에 대한 소개
어린 누이동생을
만남
홍경애의 회상
경도 (일본)
조의관의 집
병화의 하숙집
학업을 마치기 위해 경도로 감
문중회의를 통한 남자들의 갈등. 덕기 모친과 처, 수 원집 사이의 갈등. 홍경애 로 인한 덕기와 상훈의 갈 등
병화의 하숙집에서 필순과 그의 부모를 봄
서울
병화의 가게
경찰서
조부의 급환으로 귀국.
조의관이 덕기에게 재산을 물려줌
조의관의 사망을 계기로 그 주의를 둘러싼 임눌들에 대한 일본겨찰의 일제검거.
덕기는 무혐의로 풀려남.
추천자료
삼국유사에서 인간과 기이(奇異)한 인물, 힘 또는 영물(靈物)과의 관계
염상섭 ‘삼대’에 나타난 종축인물구조와 횡축인물구조의 배경
염상섭 ‘삼대’의 가족사적 인물구조와 이념적 인물구조의 교차구조
사랑이지나간자리-고전정신분석, 대상관계이론-등장인물 분석
5)국어-5. 사실과 발견 - 인물의 성격이 사건전개와 어떤 관계가 있는지 생가하며 글 읽기
자신의 어린 시절, 부모 또는 중요 인물과의 대인관계 특성(예, 의존적인 성향 등)이 성인기 ...
5)국어-사실과 발견 - 인물의 성격이 사건 전개와 어떤 관계가 있을지 생각하며 글 읽기(중안)
5학년 국어 지도안-깊은 생각 바른 판단-인물의 삶과 시대 상황의 관계 생각하며 전기문 읽기...
태백산맥(조정래 대하소설)의 내용요약과 작가, 태백산맥(조정래 대하소설)의 역사적 배경,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