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나아렌트의 인간관, 사회관, 국가관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본문내용

았고, 더불어 내가 생각하는 이상적인 인간관과 사회국가관에 대하여 논의했다. 머리말에서부터 언급했듯이 그녀의 사상에 있어서 독일 나치즘의 경험은 절대적이다. 그녀의 사상적 동기이기 때문이다.
사실 사상가 조사를 시작할 때와는 다르게 한나 아렌트의 저작들을 읽어 나가며 참 많은 후회를 했다. 내가 읽고 이해하기에 상당히 어려웠고 더군다나 그녀의 사상을 통해 나의 인간간과 사회국가관을 전개한다는 것 역시 보통 일이 아니었기 때문이다. 사실 <인간의 조건>을 처음 도서관에서 빌렸을 때 두께의 묵직함 보다도 수많은 사람들의 손때와 흔적들을 통해 전해지는 묵직함이 더했다. 또한 비교적 가벼운 두께이지만 어려움에 혀를 내두를 수밖에 없는 <폭력의 세기>역시 별반 다를 것은 없었다. 그저 ‘한나 아렌트는 난해한 문체로 유명하며, 다루는 주제의 무게 역시 엄청나기에 선뜻 다가서기 어렵고, 그 때문인지 국내에서 그녀의 저작들은 거의 번역되지 못했고 번역된 것들도 각기 상당한 시간적 간격을 두고 있을 정도’라는 옮긴이의 말에 위안을 삼을 뿐이다.
하지만 인간의 노력으로 인한 기술의 발달이 최고의 인간 활동인 ‘사유’마저도 잃어버린 피조물로서의 인간으로 전락하게 할 수 있다는 그녀의 통찰이나, 폭력의 반대말은 비폭력이 아닌 권력이라는 그녀의 외침은 오래도록 나의 뇌리에 남아 많은 생각을 하게 할 것이다.
끝으로 부족하지만 한나 아렌트에 도전할 기회를 부여한 교수님과, 거룩하고도 갸륵한 믿음위에 있는 의지의 영역을 넘어 육체의 행동까지 포함하는 全人의 삶, 그러한 인간관에 대하여 생각하도록 지혜를 주신 하나님께 감사드린다.

키워드

  • 가격800
  • 페이지수5페이지
  • 등록일2007.12.15
  • 저작시기2007.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4235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