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필로멜라 신화
2. Sweeney Among the Nightingales - T. S. Eliot
3. 시에 나타난 신화의 의미
2. Sweeney Among the Nightingales - T. S. Eliot
3. 시에 나타난 신화의 의미
본문내용
언니와 함께 형부의 아들을 죽여 그에게 먹였기 때문에 결코 아름다운 사랑의 결과라고 볼 수 없는 것이다. 그리고 그 나이팅게일들은 “The Convent of the Sacred Heart (성심수도원)” 근처에서 노래하고 있다. 나이팅게일이주는 성적 방종의 이미지와 sacred heart (성스러운 마음)이 주는 신성한 사랑의 이미지를 함께 두면서 세상의 위선적인 사랑에 대하여 표현했다. 이를 현재 진행형으로 표현한 것은 현재에도 여전히 그러한 상황이라는 것을 강조하기 위함이다.
And sang within the bloody wood
When Agamemnon cried aloud,
And let their liquid siftings fall
To stain the stiff dishonoured shroud.
그 새는 옛날 아가멤논이 비명을 질렀을 때
그 피비린내 나는 숲 속에서도 울었고
그리고 그의 액체를 떨어뜨려
그 경직된 치욕의 수의를 더럽혔다.
10연에서는 나이팅게일과 아가멤논의 이미지가 더욱 구체적으로 나온다. “bloody wood"는 필로멜라가 형부인 테레우스에게 능욕을 당한 곳이 숲속의 오두막이었기 때문에, 아가멤논이 죽을 때 나이팅게일이 그 피비린내 나는 숲속에서 울었다는 표현을 한 것이다. 그리고 아가멤논이 죽은 곳은 욕조였는데도, 아가멤논이 죽을 때 그 울음소리가 들렸다고 표현을 한 것은, 성적 방종이 시간과 공간을 넘어서 존재한다는 것을 말해 주는 것 같다.
bloody wood를 아가멤논 측면으로 이해할 수도 있다. 트로이 전쟁의 원인이 된 헬레네는 백조로 변신한 제우스와 레다 사이에서 태어났는데 이 역시 겁탈에 의한 것이었다. 레다가 백조에게 당한 곳도 숲 속 이었기 때문에 bloody wood 라고 볼 수 있고, 그 결과로 태어난 헬레네로 인해 수많은 사상자를 낸 트로이 전쟁이 생긴 것이다. 트로이 전쟁은 아가멤논의 죽음을 낳았고 아가멤논의 죽음으로 인해 그의 자식들은 어머니에게 복수를 했으니, 정욕에 의한 사랑, 타락한 사랑에 의해 피 비릿내 나는 역사가 되풀이 된 것이다. “And let their liquid siftings fall / To stain the stiff dishonoured shroud.”에서 “ liquid”는 “액체, 배설물, 눈물, 피”등으로 설명 할 수 있는데 필로멜라가 능욕을 당할 때의 치욕, 고통이 드러나며, 이는 더러운 사랑의 결과물이라고도 볼 수 있다.
전체적으로 이 시는 성적 방종과 현대 사회의 잘못된 사랑의 방식에 대해 비판적으로 표현했다. 필로멜라 신화는 인간의 추악하고 정욕적인 사랑과 그에 대한 결과에 대한 내용을 담고 있으며 "sweeney among the nightingales"는 인간의 전쟁 같은 사랑, 정복과 복종의 관계 같은 사랑에 대하여 nightingale(필로멜라)과 아가멤논의 이미지로 표현하고 있는 것이다. 현대 사회의 비판하는 것에 고대 신화를 이용함으로써 과거와 현재의 역사가 된다는 것을 강조 하고자 한 것으로 볼 수 있다.
And sang within the bloody wood
When Agamemnon cried aloud,
And let their liquid siftings fall
To stain the stiff dishonoured shroud.
그 새는 옛날 아가멤논이 비명을 질렀을 때
그 피비린내 나는 숲 속에서도 울었고
그리고 그의 액체를 떨어뜨려
그 경직된 치욕의 수의를 더럽혔다.
10연에서는 나이팅게일과 아가멤논의 이미지가 더욱 구체적으로 나온다. “bloody wood"는 필로멜라가 형부인 테레우스에게 능욕을 당한 곳이 숲속의 오두막이었기 때문에, 아가멤논이 죽을 때 나이팅게일이 그 피비린내 나는 숲속에서 울었다는 표현을 한 것이다. 그리고 아가멤논이 죽은 곳은 욕조였는데도, 아가멤논이 죽을 때 그 울음소리가 들렸다고 표현을 한 것은, 성적 방종이 시간과 공간을 넘어서 존재한다는 것을 말해 주는 것 같다.
bloody wood를 아가멤논 측면으로 이해할 수도 있다. 트로이 전쟁의 원인이 된 헬레네는 백조로 변신한 제우스와 레다 사이에서 태어났는데 이 역시 겁탈에 의한 것이었다. 레다가 백조에게 당한 곳도 숲 속 이었기 때문에 bloody wood 라고 볼 수 있고, 그 결과로 태어난 헬레네로 인해 수많은 사상자를 낸 트로이 전쟁이 생긴 것이다. 트로이 전쟁은 아가멤논의 죽음을 낳았고 아가멤논의 죽음으로 인해 그의 자식들은 어머니에게 복수를 했으니, 정욕에 의한 사랑, 타락한 사랑에 의해 피 비릿내 나는 역사가 되풀이 된 것이다. “And let their liquid siftings fall / To stain the stiff dishonoured shroud.”에서 “ liquid”는 “액체, 배설물, 눈물, 피”등으로 설명 할 수 있는데 필로멜라가 능욕을 당할 때의 치욕, 고통이 드러나며, 이는 더러운 사랑의 결과물이라고도 볼 수 있다.
전체적으로 이 시는 성적 방종과 현대 사회의 잘못된 사랑의 방식에 대해 비판적으로 표현했다. 필로멜라 신화는 인간의 추악하고 정욕적인 사랑과 그에 대한 결과에 대한 내용을 담고 있으며 "sweeney among the nightingales"는 인간의 전쟁 같은 사랑, 정복과 복종의 관계 같은 사랑에 대하여 nightingale(필로멜라)과 아가멤논의 이미지로 표현하고 있는 것이다. 현대 사회의 비판하는 것에 고대 신화를 이용함으로써 과거와 현재의 역사가 된다는 것을 강조 하고자 한 것으로 볼 수 있다.
추천자료
고전문학사(기원.서정시.서사시.가요.장르.신화.설화.향가)
<<질마재 신화>> 미당 서정주의 시 토속성
박목월 시의 기독교적 세계관과 신화적 시간 및 상징언어
『금오신화』의 비극적 세계관의 연원과 소설화, 극복의 시도 -「만복사저포기」와 「이생규...
현대시에 나타난 신화와 신화적 요소
[로마][로마 도시][로마 건축][로마 서정시][로마 게임][로마신화][그리스신화][로마 황제][...
매월당 김시습 생애, 매월당 김시습 사상, 매월당 김시습 소설과 시 금오신화, 만복사저포기,...
[부바의 나체] 사진에 나타난 시 기호학과 신화적 담화_저자: 장 마리 플로슈(Jean - Marie F...
[동양문학의 이해] 금오신화(金鰲新話) - 아름다운 시와 비극적 결말의 이야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