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기업소개
1) 회사소개 및 선정이유
2) 한국 외식업계의 흐름
2. 놀부의 SWOT 분석
1) Strength(강점)
2) Weakness(약점)
3) Opportunity(기회)
4) Threat(위협)
3. STP 분석
1) Segmention (시장 세분화)
2) Target (표적시장 설정)
3) Positioning (포지셔닝)
4. Marketing Mix Strategy
1) Product (제품)
2) Price (판매가격)
3) Place - 가맹점의 효율적 운영
4) Promotion (판매촉진)
5) Process (공정) - 메뉴의 매뉴얼화
6) Physical evidence (물리적 증거) - 우리나라 문화를 체험
7) People (사람) - 전 사원의 지식 경영화
5. 마케팅 성과
1) 성공요인
2) 실패위험
3)경쟁기업 분석
6. 앞으로의 방향성
1) 기다리는 시간의 지루함 해결
2) 어린이 놀이공간과 어린이를 위한 메뉴 개발
7. 결론 : 우리나라 놀부의 해외진출 활성화 방안
1) 회사소개 및 선정이유
2) 한국 외식업계의 흐름
2. 놀부의 SWOT 분석
1) Strength(강점)
2) Weakness(약점)
3) Opportunity(기회)
4) Threat(위협)
3. STP 분석
1) Segmention (시장 세분화)
2) Target (표적시장 설정)
3) Positioning (포지셔닝)
4. Marketing Mix Strategy
1) Product (제품)
2) Price (판매가격)
3) Place - 가맹점의 효율적 운영
4) Promotion (판매촉진)
5) Process (공정) - 메뉴의 매뉴얼화
6) Physical evidence (물리적 증거) - 우리나라 문화를 체험
7) People (사람) - 전 사원의 지식 경영화
5. 마케팅 성과
1) 성공요인
2) 실패위험
3)경쟁기업 분석
6. 앞으로의 방향성
1) 기다리는 시간의 지루함 해결
2) 어린이 놀이공간과 어린이를 위한 메뉴 개발
7. 결론 : 우리나라 놀부의 해외진출 활성화 방안
본문내용
각해 어린이를 위한 안전한 놀이공간을 제공함으로써 이용하는 고객들에게 아이들을 안전하게 놀게 하면서 식사를 편하게 할 수 있다는 이미지를 제공하고 어른들만 좋아하는 한식이 아니라 어린아이들에게도 친근하게 다가갈 수 있는 또는 어린이들의 관심을 끌 수 있는 메뉴를 개발해야 할 것이다.
■ 위협요인에서 소비자들의 서구화된 입맛을 지닌 고객들을 잡기위해 꾸준한 제품연구와 퓨전요리 같은 신 메뉴 개발에 신경을 쓴다면 위협요인을 극복할 수 있을 것이다.
7. 결론
* 해외시장 진출
- 현재 말레이시아에 해외 1호점 개설되있음
해외시장 진출 성공의 가장 큰 관건은 문화적 차이 극복과 국내와 똑같은 품질의 유지.
그곳 식생활에 맞춘 상품의 특색 개발.(불고기 버거, 라이스 버거의 예를 주시할 것)
중앙공급 방식의 장점을 살릴 수 있어야 함.
- 원가관리, 매뉴얼 개발, 메뉴변화 및 개발, 주변 상권에 대한 주기적인 조사와 분석을 통한 대응능력 향상, 서비스 수준 향상, 경영주의 자질 향상, 탄력적인 가격전략, 효과 적인 판촉 및 마케팅 전략
- 식당업이 3D 업종으로 분류되면서 종업원의 직업의식(서비스 의식)이 결여된 경우가 많은데 처음부터 체계적인 교육을 통해 전문 종업원 양성의 필요
* 현재 우리나라 외식산업은 아래의 미국/일본/한국의 외식시장 규모에서 볼 수 있듯이 이미 포화상태에 이르렀다. 하지만 미국은 외식시장의 규모 증가율이 8.3%, 일본의 외식시장규모는 2.0% 증가율을 보이고 있다. 이처럼 이미 포화상태에 이른 한국보다 더 넓은 해외시장을 타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그럼 이런 해외시장을 공략하기 우리가 노력해야 할 부분을 알아보도록 하겠다.
<표 1-1> 미국일본한국의 외식시장 규모 (단위: 조달러, 조엔, 조원, %)
구 분
1990
1991
1992
1993
1994
1995
1996
1997
1998
미국
금액
0.23
0.25
0.26
0.27
0.28
0.30
0.32
0.33
0.26
증가율
-
8.0
3.8
3.7
3.6
6.7
6.3
3.0
8.3
일본
금액
25.9
27.5
28.4
29.3
31.2
32.1
33.0
33.9
34.6
증가율
-
5.9
3.2
3.1
6.1
2.8
2.7
2.7
2.0
한국
금액
10.7
12.5
14.6
15.5
17.0
18.0
20.0
21.0
21.0
증가율
-
14.4
14.4
5.8
8.8
5.6
10.0
4.1
0
* 해외진출 시 전망
국내의 외식시장은 ‘92년 이후 시장개방이 가속화 되면서 풍부한 자본력과 강한 마케팅 능력을 갖춘 해외 유명 브랜드들이 외식시장에 대거 등장하면서 프랜차이즈가 추구하였던 단순화, 전문화, 표준화의 개념이 다양화, 개성화, 차별화의 개념으로 바뀌고 있다. 현재 국내의 프랜차이즈의 수는 가맹본부 777개, 가맹점 약 5,000여개에 이르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그 중 외식사업이 559 점포로서 단일 시장으로는 가장 많은 점포를 기록하였다. 이처럼 지속적으로 성장하는 국내 외식 프랜차이즈산업은 점차 성숙기로 접어드는 양상을 보이고 있다. 또한 이미 비좁은 국내 시장보다는 프랜차이즈를 통한 사업 확장을 이룬 여러 업체들이 있다.
표1-2)에서 보듯이 이 우리나라에서 성공을 거둔 대표적인 메뉴와 컨셉이 해외에서도 충분히 통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대표적으로 BBQ, 서라벌, 투다리는 이미 중국 내에서 현지 토착화가 끝난 프랜차이즈로서 가맹을 통해 사업을 확장하고 있다. 한국관광공사에 따르면 2000년 한국을 방문한 외래 관광객은 5,321,792명으로 사상최초로 500만명을 돌파하여, 전년대비 14.2%가 성장해 90년대 들어 가장 높은 성장률을 기록하였다. 입국목적별로는 관광을 목적으로 하는 입국자가 전체 입국자의 72.8%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1997년부터 2000년도까지 외국인 관광객에게 한국에서 가장 인상 깊었던 점을 조사한 결과 친절한 국민성이 1위였고, 그 다음이 우리나라의 전통음식을 꼽았다고 한다. 즉 한국음식이 외국관광객들에게 관광거리가 충분히 될 수 있음을 말해주고 있다. 한국전통음식의 중요성에 대한 좋은 예로 이미 세계적으로 잘 알려진 “김치”를 구입하기 위해 방문하는 일본관광객도 많고, 또한 ‘인삼‘은 프랑스 FDA에서 건강의약품으로 정식인정을 받고 있다. 김치, 고려인삼 이외에도 한국처럼 약 2,800여 종류의 다양한 음식메뉴를 가지고 있는 나라도 드물다. 게다가 한국음식은 대부분이 건강식, 보양식인데, 21세기에 들어서 세계적으로 더욱 관심이 모아지고 있는 주제가 건강이라는 점은 한국전통음식의 세계 먹거리 시장에서의 도전이 그다지 무모한 일이 아님을 시사하고 있다.
♠ 우리나라 놀부의 해외진출 활성화 방안
1) 점포 이미지 개선
현지 한인이 한인을 상대로 하는 한식당이 아닌 그 나라의 국민들을 겨냥하여 세계적 점 포의 이미지를 심어줌
2) 메뉴의 단순화 및 상품화
현재 국내에서 실시중인 중앙공급 시스템의 적용 성공여부가 중요함
3) 국가별 문화차이를 극복하고 그 취향에 맞는 독특한 서비스
국가별로 소고기, 돼지고기에 대한 선입견들이 다르고 우리나라의 개고기 문화에 민감한 나라들, 각 나라 사람들마다 각기 다른 음식 취향들
4) 자본력 및 식자제 관리 (대기업과의 대결에서 이겨내자)
외국 시장에 진출하면 자본력 있는 대기업과의 대결을 피할 수 없다. 이에 따라 자본력 확보의 중요성이 상당히 커지는데 글로벌 기업화 하여 주식시장 상장 또는 채권발행 등을 통한 자본력 확보가 요구된다.
5) 전문인력 양성
흔히들 요식업 종사자들은 그들의 서비스업종을 3D업종이라 인식하고 있으며 노동에 따른 정당한 처우를 제대로 받지 못한다고 생각하는 경우가 많은데, 처음부터 체계적인 교 육을 통해 직업에 대한 자부심과 전문의식을 고취시킴으로서 업체의 전문 인력으로 양성시 킬 필요가 있다.
@참고자료
놀부홈페이지 : http://www.nolboo.co.kr/
한쿡 홈페이지 http://www.hancook.co.kr/
우리들의 이야기 홈페이지 -한국 패밀리 레스토랑 http://www.ourstory.co.kr/
못된형 ‘놀부’ 성공기 e-book 이은엽 지음
■ 위협요인에서 소비자들의 서구화된 입맛을 지닌 고객들을 잡기위해 꾸준한 제품연구와 퓨전요리 같은 신 메뉴 개발에 신경을 쓴다면 위협요인을 극복할 수 있을 것이다.
7. 결론
* 해외시장 진출
- 현재 말레이시아에 해외 1호점 개설되있음
해외시장 진출 성공의 가장 큰 관건은 문화적 차이 극복과 국내와 똑같은 품질의 유지.
그곳 식생활에 맞춘 상품의 특색 개발.(불고기 버거, 라이스 버거의 예를 주시할 것)
중앙공급 방식의 장점을 살릴 수 있어야 함.
- 원가관리, 매뉴얼 개발, 메뉴변화 및 개발, 주변 상권에 대한 주기적인 조사와 분석을 통한 대응능력 향상, 서비스 수준 향상, 경영주의 자질 향상, 탄력적인 가격전략, 효과 적인 판촉 및 마케팅 전략
- 식당업이 3D 업종으로 분류되면서 종업원의 직업의식(서비스 의식)이 결여된 경우가 많은데 처음부터 체계적인 교육을 통해 전문 종업원 양성의 필요
* 현재 우리나라 외식산업은 아래의 미국/일본/한국의 외식시장 규모에서 볼 수 있듯이 이미 포화상태에 이르렀다. 하지만 미국은 외식시장의 규모 증가율이 8.3%, 일본의 외식시장규모는 2.0% 증가율을 보이고 있다. 이처럼 이미 포화상태에 이른 한국보다 더 넓은 해외시장을 타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그럼 이런 해외시장을 공략하기 우리가 노력해야 할 부분을 알아보도록 하겠다.
<표 1-1> 미국일본한국의 외식시장 규모 (단위: 조달러, 조엔, 조원, %)
구 분
1990
1991
1992
1993
1994
1995
1996
1997
1998
미국
금액
0.23
0.25
0.26
0.27
0.28
0.30
0.32
0.33
0.26
증가율
-
8.0
3.8
3.7
3.6
6.7
6.3
3.0
8.3
일본
금액
25.9
27.5
28.4
29.3
31.2
32.1
33.0
33.9
34.6
증가율
-
5.9
3.2
3.1
6.1
2.8
2.7
2.7
2.0
한국
금액
10.7
12.5
14.6
15.5
17.0
18.0
20.0
21.0
21.0
증가율
-
14.4
14.4
5.8
8.8
5.6
10.0
4.1
0
* 해외진출 시 전망
국내의 외식시장은 ‘92년 이후 시장개방이 가속화 되면서 풍부한 자본력과 강한 마케팅 능력을 갖춘 해외 유명 브랜드들이 외식시장에 대거 등장하면서 프랜차이즈가 추구하였던 단순화, 전문화, 표준화의 개념이 다양화, 개성화, 차별화의 개념으로 바뀌고 있다. 현재 국내의 프랜차이즈의 수는 가맹본부 777개, 가맹점 약 5,000여개에 이르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그 중 외식사업이 559 점포로서 단일 시장으로는 가장 많은 점포를 기록하였다. 이처럼 지속적으로 성장하는 국내 외식 프랜차이즈산업은 점차 성숙기로 접어드는 양상을 보이고 있다. 또한 이미 비좁은 국내 시장보다는 프랜차이즈를 통한 사업 확장을 이룬 여러 업체들이 있다.
표1-2)에서 보듯이 이 우리나라에서 성공을 거둔 대표적인 메뉴와 컨셉이 해외에서도 충분히 통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대표적으로 BBQ, 서라벌, 투다리는 이미 중국 내에서 현지 토착화가 끝난 프랜차이즈로서 가맹을 통해 사업을 확장하고 있다. 한국관광공사에 따르면 2000년 한국을 방문한 외래 관광객은 5,321,792명으로 사상최초로 500만명을 돌파하여, 전년대비 14.2%가 성장해 90년대 들어 가장 높은 성장률을 기록하였다. 입국목적별로는 관광을 목적으로 하는 입국자가 전체 입국자의 72.8%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1997년부터 2000년도까지 외국인 관광객에게 한국에서 가장 인상 깊었던 점을 조사한 결과 친절한 국민성이 1위였고, 그 다음이 우리나라의 전통음식을 꼽았다고 한다. 즉 한국음식이 외국관광객들에게 관광거리가 충분히 될 수 있음을 말해주고 있다. 한국전통음식의 중요성에 대한 좋은 예로 이미 세계적으로 잘 알려진 “김치”를 구입하기 위해 방문하는 일본관광객도 많고, 또한 ‘인삼‘은 프랑스 FDA에서 건강의약품으로 정식인정을 받고 있다. 김치, 고려인삼 이외에도 한국처럼 약 2,800여 종류의 다양한 음식메뉴를 가지고 있는 나라도 드물다. 게다가 한국음식은 대부분이 건강식, 보양식인데, 21세기에 들어서 세계적으로 더욱 관심이 모아지고 있는 주제가 건강이라는 점은 한국전통음식의 세계 먹거리 시장에서의 도전이 그다지 무모한 일이 아님을 시사하고 있다.
♠ 우리나라 놀부의 해외진출 활성화 방안
1) 점포 이미지 개선
현지 한인이 한인을 상대로 하는 한식당이 아닌 그 나라의 국민들을 겨냥하여 세계적 점 포의 이미지를 심어줌
2) 메뉴의 단순화 및 상품화
현재 국내에서 실시중인 중앙공급 시스템의 적용 성공여부가 중요함
3) 국가별 문화차이를 극복하고 그 취향에 맞는 독특한 서비스
국가별로 소고기, 돼지고기에 대한 선입견들이 다르고 우리나라의 개고기 문화에 민감한 나라들, 각 나라 사람들마다 각기 다른 음식 취향들
4) 자본력 및 식자제 관리 (대기업과의 대결에서 이겨내자)
외국 시장에 진출하면 자본력 있는 대기업과의 대결을 피할 수 없다. 이에 따라 자본력 확보의 중요성이 상당히 커지는데 글로벌 기업화 하여 주식시장 상장 또는 채권발행 등을 통한 자본력 확보가 요구된다.
5) 전문인력 양성
흔히들 요식업 종사자들은 그들의 서비스업종을 3D업종이라 인식하고 있으며 노동에 따른 정당한 처우를 제대로 받지 못한다고 생각하는 경우가 많은데, 처음부터 체계적인 교 육을 통해 직업에 대한 자부심과 전문의식을 고취시킴으로서 업체의 전문 인력으로 양성시 킬 필요가 있다.
@참고자료
놀부홈페이지 : http://www.nolboo.co.kr/
한쿡 홈페이지 http://www.hancook.co.kr/
우리들의 이야기 홈페이지 -한국 패밀리 레스토랑 http://www.ourstory.co.kr/
못된형 ‘놀부’ 성공기 e-book 이은엽 지음
추천자료
[네슬레][네슬레 역사][네슬레의 성공요인][네슬레 글로벌경영전략][네슬레 마케팅전략][네슬...
[서비스][서비스마케팅 사례][귀족마케팅 전략]서비스의 정의와 금융기관의 서비스마케팅 사...
[경제불황]경제불황의 개념, 경제불황기 기업경쟁력 제고를 위한 경영전략, 경제불황기 탈출...
가전제품의 색채가 소비자에게 미치는 영향 - 가전제품컬러마케팅,컬러마케팅전략,컬러마케팅...
Emotional Marketing - 감성마케팅,감성마케팅전략,감성마케팅사례,스타벅스의감성전략,스타...
국제마케팅전략,삼성물산마케팅전략,삼성물산국제마케팅
매스티지(masstige) 마케팅 - 매스티지마케팅,매스티지마케팅전략,매스티지마케팅사례및분석,...
빕스마케팅전략,빕스마케팅,VIPS마케팅전략,VIPS분석,CJ푸드빌
신세계 이마트 - 글로벌 시장전략 및 글로벌 마케팅 전략 분석 (이마트해외진출,이마트중국시...
[베니건스][베니건스 특성][베니건스 경쟁사][베니건스 마케팅 전략][향후 베니건스 개선 방...
[창업기업 전략][창업][기업][아웃소싱][마케팅]창업기업의 아웃소싱전략, 창업기업의 경영전...
[현대중공업] 현대중공업 경영전략분석과 현대중공업 마케팅전략분석 및 새로운마케팅전략 제...
≪ 클라우드맥주 (Kloud) 마케팅전략 ≫ 클라우드맥주 브랜드분석과 마케팅전략 분석 및 클라우...
필립스(PHILIPS) 경영분석과 필립스 글로벌마케팅전략분석 및 필립스 브랜드확장전략분석 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