핸드볼에 대하여
본 자료는 8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해당 자료는 8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8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서 론
1. 핸드볼의 역사
2. 핸드볼의 기원
3. 한국 핸드볼의 역사

본 론
1.핸드볼의 특성 및 효과
2. 시설 및 용구
1) 경기장 2) 골(goal) 3)공(ball) 4) 복장
3. 핸드볼의 개인 및 집단 기술
가. 개인기능
1) 패스(pass)와 캐치(catch) 2) 드리블(dribble)
3) 페인트(feint) 4) 슛(shot) 5) 블로킹(blocking)
나. 집단 기능
1) 공격법 2) 방어법
3) 지역 방어법 4) 대인방어법
4. 경기 방법 및 규칙
가. 경기방법
나. 경기규칙
5. 심판기술
가. 심판의 임무
나. 심판의 조건
다. 주심의(Referee)의 동작
6. 용어정리

결 론

본문내용

우측)으로 나가거나, 슛 하는 것 같이 보이면서 패스를 하거나 하는 플레이를 말한다.
포스트 플레이 (Post play) - 골 앞의 에리어 라인 가까이에서 유리한 위치를 점하고, 그 곳을 중심으로 하여 공격하는 방법을 말한다.
포인트 오버 (Point over) - 드로우 오프, 프리드로우, 코너 드로우, 페널티 드로우의 경우, 볼을 던지는 플레이어의 발 (몸의 중심이 실린 발)이 볼의 투구가 끝나기 전에 지면(바닥)에서 떨어지는 것. 반칙이 된다.
푸시 슛 (Push shoot) - 가슴 근처에서 밀어내듯이 행하는 슛.
푸싱 (Pushing) - 상대를 밀거나 찌르거나 하는 것. 반칙이 되며, 상대편에게 프리 드로 우가 주어진다.
풀링 (Pulling) - 수비를 유인해서 끌고 가는 것.
프레스 디펜스 (Press defence) - 공격 측 플레이어에게 밀착해서 자유롭게 움직일 수 없도록 해서 방어하는 방법을 말한다. 나머지 시간이 얼마 남지 않은 상태에서 지고 있을 때나, 상대편의 공격 리듬을 깨고 싶을 때 등에 사용한다.
프리-드로우 (Free trow) - 규칙을 위반한 플레이어의 상대편 팀에게 주어지는 드로우를 말한다, 명시된 지점에서 자유롭게 볼을 던질 수가 있다.
프리 드로우 라인 (Free throw line) - 골에서 9m, 골에어리어 라인에서 3m떨어진 곳에 그어진 파선(擺線)을 말한다. 공격측에게 주어지는 프리 드로우는 전부 이 프리드로우 -라인의 바깥쪽에서 행하여진다.
프리잉 원셀프 (Freeing oneself) - 블로킹한 다음 재등장(블로킹에서 벗어나는 것)하는 것.
프런젼 슛 (Plongeon shoot) - 다이빙 슛, 넘어지며 던져 넣는 슛을 말한다. 골 에리어 안으로 넘어지며 들어가거나 뛰어들어 옆으로 몸을 비틀거나 착지 후 전방 회전을 하는 등의 애크러 배틱한 슛을 말한다.
플레이어 (Palyer) - 경기자. 1팀은 필드플레이어 10명과 골키퍼 2명으로 구성되지만, 한 번에 출장할 수 있는 플레이어는 필드 플레이어 6명, 골키퍼 1명까지로 되어 있다. 플레이어는 정해진 위치에서 언제나 교체할 수 있으며 시간, 회수에 제한은 없다.
필드 플레이어 (Field player) - 골키퍼 이외의 플레이어를 말한다.
해킹 (Hacking) - 손으로 상대편 플레이어를 때리는 것. 반칙이 되며, 상대편에게 프리 드로우가 주어진다.
홀딩 (Holding) - 한 손 또는 양손으로 상대편 플레이어를 붙잡거나 껴안거나 하여 방해하는 것을 말한다. 반칙이 된다.
훅 패스 (Hook pass) - 몸 옆, 머리 위를 지나도록 보내는 패스를 말한다.
결 론
구기 종목은 개인적으로 참 어려워하는 종목이었다. 평소에도 볼을 가지고 하는 운동을 거의 접하지 않다보니 더욱 친밀해질 기회가 멀어졌던 것 같다. 어렸을 때부터 즐기면서 공을 자주 접했다면 좋았을 텐데 하는 아쉬움이 가득했다. 오랜 시간을 공과자주 접한다면 볼 조정력 감각 균형감각 들과 같은 운동 기능이 향상 되었을 텐데 하는 아쉬움은 살면서 많이 느꼈던 감정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개선해보려는 노력을 전혀 하지 않았던 것이 매우 이상 할 정도이다. 가만히 생각해 보면 구기 운동을 잘 못하고 그러다 보니 계속 피하고 멀어지게 되는 악순환의 반복이었던 것 같다. 언젠가는 그 순환의 고리를 한번쯤 끊어 주기 위한 계기가 있어야 했고 그렇다면 많은 노력을 경주할 수 있는 동기부여가 되었을 것이다. 이번 졸업 시험도 그런 동기 부여를 위한 자극으로써 지금까지의 다른 자극들처럼 약간 부족했었나보다. 생각해 보면 각종 구기 종목 중 잘하는 것이 없는 것 같다. 그나마 야구에 약간 관심이 있을 뿐이지 잘한다는 것은 아니다.
이번 실패 요인을 생각해 보았다. 우선 신체의 상태에 가장 큰 원인이 있다고 생각했다. 평소에 운동을 하지 않다 보니 신체가 활성화되지 못하였고, 체지방량이 증가해서 체중의 증가와 근력의 아트로피 현상 때문에 더욱 힘들었던 것 같다. 한 달 정도 계획을 세우고 트레이닝을 하며 준비 했었는데 소기의 목적한 바를 이루지 못한 가장 큰 요인이 부상 때문 이었다. 기초 체력 향상을 위해 매일 기본적으로 유산소 운동으로 조깅을 HR 70% 정도의 강도로 30분 정도 했었다. 또한 무산소 운동으로 근력 향상을 위해 웨이트 트레이닝을 했는데 최대 근력향상과 근 지구력 트레이닝을 위해 1 RM의 60 ~ 80 % 강도로 트레이닝을 했었다. 나름대로 마크로 운동 프로그램도 계획하여 체계적인 훈련을 해왔다고 생각했는데 가장 큰 문제가 심리적 요인에 있었다. 구기 종목의 기술 향상을 위해서 나에게 가장 필요한 처방은 흥미 유발과 동기 부여인 것 같다. 그 점을 생각 하지 못하고 졸업 시험이 임박 했다고 스스로 다그치면 무의미 하고 재미없는 동작의 반복으로 구성된 훈련의 효율성이란 그리 기대 하지 않아도 좋은 만한 것이었다. 이미 지난일은 아쉽지만 원인을 알았다는 점과 이론적인 정보를 재무장 할 수 있었던 것에 감사를 하고 앞으로 학생들을 가르칠 때를 대비해서 지금의 문제점인 동기부여와 흥미유발을 스스로에게 지도해 보겠다고 다짐을 하며 이번 조사를 마치겠다.
서 론
1. 핸드볼의 역사
2. 핸드볼의 기원
3. 한국 핸드볼의 역사
본 론
1.핸드볼의 특성 및 효과
2. 시설 및 용구
1) 경기장 2) 골(goal) 3)공(ball) 4) 복장
3. 핸드볼의 개인 및 집단 기술
가. 개인기능
1) 패스(pass)와 캐치(catch) 2) 드리블(dribble)
3) 페인트(feint) 4) 슛(shot) 5) 블로킹(blocking)
나. 집단 기능
1) 공격법 2) 방어법
3) 지역 방어법 4) 대인방어법
4. 경기 방법 및 규칙
가. 경기방법
나. 경기규칙
5. 심판기술
가. 심판의 임무
나. 심판의 조건
다. 주심의(Referee)의 동작
6. 용어정리
결 론
참고문헌
대한핸드볼협회 handball.sports.or.kr
최신 핸드볼(1993). 박종갑. 세진출판사.
핸드볼(1996). 박순철 외2명. 동화문화사.
핸드볼(중등학교 체육지도서)(1997). 문성철. 인하대학교 출판부
  • 가격3,000
  • 페이지수24페이지
  • 등록일2007.12.20
  • 저작시기2007.1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4360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