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간과 의복문화 모자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본문내용

20년대와 1960년대에 유행한 스타일의 모자이다.
(12) 태머섄터(tam-o’-shanter): 전통 적인 스코틀랜드의 모자로, 2겹의 원형 모직 천으로 가운 데에 주름을 잡아 볼륨 있게 만든 캡이다.
(13) 탑(top): 높고 편평한 크라운과 양 옆으로 약간 휘어 올라간 좁은 브림의 남성용 모자이다. 주로 윤기가 나는 검정 실크로 만든 정장 차림의 모자이다.
(14) 터번(turban): 중동 아시아나 인도에서 쓰는 터번을 모방하여 서양 여성들이 이브닝 드레스에 맞춰 쓰는 모자이다. 1930년대와 1970년대에 많이 유행하였다.
(15) 토크(toque): 작고 부드럽고 브림이 없으며 주름이 많이 잡혀 있어 머리에 꼭 맞도록 되어 있다. 19세기에 이브닝 드레스를 착용할 때 함께 썼으며, 꽃이나 베일로 장식하였다.
(16) 티롤모자(tyrolean hat): 부드러운 펠트 천으로 만들며, 뒤의 브림은 휘어 올라가고 앞은 약간 내려졌으며 크라운에는 리본을 두르고 옆에 깃털을 꽂아 장식한다.
(17) 파나마모자(panama hat): 곱고 옅은 빛깔의 파나마풀로 만든 모자가 본래의 것이나, 오늘날은 파나마풀과 비슷한 섬유로 만든 것도 이렇게 부른다. 여름에 쓰는 남성용 모자다.
(18) 페즈(fez): 크라운의 중심에 길고 검은 비단실 술이 늘어져 있는 사다리꼴의 빨간 펠트 모자인데, 터키모자라고도 한다. 시리아인 ·팔레스타인인 ·알바니아인들이 많이 썼으며, 술 없이 여성용 모자로도 쓴다. 모로코의 페스(Fez)라는 도시에서 유래한 명칭이다.
(19) 픽처(picture): 브림이 넓은 반면 크라운이 낮고 작은 여성용 모자이다.
(20) 필박스(pillbox): 브림이 없는 고전적 둥근 여성용 모자로서 아무런 장식도 달지 않는다. 둥근 약상자 같다 하여 붙여진 이름이다.
(21) 헤드 타이(head tie): 스카프나 천으로 머리를 감싸 목 뒤에서 묶어 고정시키거나, 머리에 맞게 모자 모양으로 박은 스타일이다.
(22) 후드(hood): 보닛 모양으로 부드러운 천을 박아 머리 전체를 감싸 턱밑에서 끈으로 매거나, 케이프나 코트에 달아 방한용으로 덮어쓰는 두건 모양의 모자이다.
(23) 홈버그(homburg): 부드러운 펠트 천으로 크라운의 가운데가 움푹 들어가고 좁은 브림이 휘어 올라가게 만든 스타일의 모자이다. 1870년경부터 정장 차림을 할 때 남성이 착용한 모자이다.
3. 모자 패션연출
- 우리는 모자를 쓴다. 어떤 이에게는 `감지 않은 머리카락`을 숨기기 위한 수단일지 모르지만 패션리더들에겐 자신의 의상을 한 단계 업그레이드시키는 중요한 패션 아이템임에 틀림없다.
얼굴에서 가장 가까운 위치에서 얼굴을 돋보이게 코디네이션 할 수 있으므로 얼굴모양, 헤어 스타일, 의복과의 전체적인 조화를 고려하여 적절히 착용하면 효과적으로 연출 할수 있다.
(모자 종류에 따른 코디법]
챙있는 모자는 갸름한 얼굴형에 잘 어울린다. 챙끝이 살짝 말려 올라간 기본적인 스타일의 모자로 귀엽고 여성스러운 분위기로 변신할 수 있다. 키가 작은 사람은 브림이 좁은 모자가 좋고, 키가 큰 사람은 브림이 넓은 모자가 어울린다. 베레모는 쓰는 방법에 따라 분위기 변신이 자유로워 무난한 옷을 입어도 세련되어 보인다. 여성미를 갖춘 귀여운 스타일을 연출하고 싶을때는 머리를 가지런히 하고 이마를 덮을 만큼 눌러쓰면 예쁘다. 겨울철 보온성을 높이는 동시에 패션성을 가미한 컬러풀한 니트 모자는 전체 의복 스타일에 악센트를 주어 경쾌하고 발랄한 이미지를 표현해준다.
Ⅲ. 결론 : 맺음말
우리가 모자를 쓰는 이유는 크게 신체 보호와 장식, 그리고 표시를 위한 것으로 나누어 볼 수 있다. 열대지방에서는 강한 햇빛이나 비를 가리기 위해, 극지방에서는 추위로부터의 보호를 위해 모자가 발달되었을 것이고 집단의 우두머리는 타인과의 구별을 목적으로 신체 가장 윗부분인 머리에 표시를 했을 것이다. 챙과 운두(韻頭)를 가진 모자의 원형은 고대 그리스까지 거슬러 올라가는데 여성들이 햇빛을 가리기 위해 사용한 톨리아가 바로 현대 모자의 전신이라고 전해진다.
오늘날까지도 모자는 종교 의식이나 졸업식, 특정 직업의 제복 등에서 신분과 위치를 상징하고 있다. 모자는 개인적인 장식품이자 자기 표현으로 사용되는 동시에 시대와 사회 속에서 통용되는 의미의 표출이라 할 수 있다.곧, 모자는 얼굴과 가장 가까운 위치에서 자신의 의상을 한 단계 업그레이드 시킬 수 있는 중요하고 실용적인 패션 아이템인 것이다.
  • 가격1,000
  • 페이지수9페이지
  • 등록일2007.12.22
  • 저작시기2004.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4397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