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독자반응 이론의 본질과 특성
(2) Rosenblatt의 독자반응 이론
1) 다른 독자반응 이론가와의 차이점
2) Rosenblatt의 독자반응 이론의 주요 개념
참고자료
(2) Rosenblatt의 독자반응 이론
1) 다른 독자반응 이론가와의 차이점
2) Rosenblatt의 독자반응 이론의 주요 개념
참고자료
본문내용
문제에 있어서 저자의 의도에 충실하게 해석하는 것을 독자에게 강요할 수는 없다고 보고 있다. 이렇게 그녀는 독자의 다양한 해석을 인정하면서도, 모든 해석을 다 타당한 해석이라고 볼 수는 없다고 보고, 일정한 기준에 의해 해석의 타당성을 판단할 수 있다고 하였다. 그러면서 Rosenblatt(1994a:1078)은 John Dewey가 말한 ‘타당성있는 주장(warranted assertibility)’ 개념을 받아들여, 해석에서 검토의 방법과 증거의 종류에 대해 합의된 기준을 갖는다면, 어떤 해석이 타당성있는 주장이며 증거를 갖는 건전한 해석인지 결정을 내릴 수 있다고 보았다. 즉, 그녀는 텍스트에 단 하나의 정확한 의미가 있다고 주장하지 않고서도, 공통의 문화적 환경과 공통의 해석의 타당성 기준을 가지고, 해석에 합의를 할 수도 있다고 본 것이다.
이런 관점에서 Rosenblatt(1994a:1079)은 타당성있는 주장을 만족시키는 기본적인 기준을 다음과 같이 제시하였다. - 1)독서의 상황과 목적, 또는 전체적인 교류를 고려하여야 한다. 2)해석은 전체 텍스트에 위배되거나 전체 텍스트를 이해하지 못한 것이어서는 안된다. 3)해석은 텍스트 지면 위의 기호와 관련되지 않은 의미들을 투영하지 않는다. 이러한 항목들 외에도, 공통된 문화적, 사회적, 언어학적, 수사적 가정들의 전체 구조에서 나온, 해석과 평가를 위한 기준이 세워질 수 있다. 따라서 Rosenblatt은 ‘햄릿’이라는 텍스트가 여러 가지로 읽힐 수 있음을 인정하지만, 그래도 어떤 일정한 기준(예를 들어, 지적 정서적 요소의 복잡성과 내재적인 가치 체계의 본질)에 의하여, 어떤 독서가 다른 독서보다 뛰어나다고 간주할 수 있다고 하였다. Rosenblatt이 말한 해석의 타당성 개념은 반응중심 문학 토의를 하는 데 유효한 시사점을 제공해 준다. Rosenblatt에 의하면, 각 학생의 반응의 유효성(validity)은 텍스트와의 확인에 의해 수립된다. 그러므로 만약 반응이 텍스트에 위배되는 것이라면, 그 반응은 가치가 없는 것이다(Cullinan, 1989:46). 따라서 문학 토의를 할 때 학생들이 문학 작품에 대하여 나름대로 내린 해석은 존중되어야 하고 그 다양성을 인정해야 하지만, 그래도 텍스트를 잘못 이해하거나 자신의 선입견에서 비롯된 반응, 그리고 그 사회공동체의 가치에 위배되는 해석은 다시 생각해 보도록 유도해야 한다. 또 토의를 할 때 학생들의 해석 활동이 문학 텍스트의 절대적인 의미를 풀어서 이해하는 개념이 아닌, 학생들이 텍스트와의 교류를 통해 느끼고 생각한 것들을 다시 회상해 보고 명료화하는 개념으로 확장될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
참고자료
구인환박대호박인기우한용최병우(1989). 문학교육론. 서울: 삼지원.
권낙원(1997). 토의수업의 이론과 실제. 서울: 현대교육출판.
권혁준(1997). 문학 이론과 시교육. 서울: 박이정.
김민환(1997). 실제적 교육방법론. 서울: 양서원.
김상욱(1996). 소설교육의 방법 연구. 서울: 서울대학교출판부.
이런 관점에서 Rosenblatt(1994a:1079)은 타당성있는 주장을 만족시키는 기본적인 기준을 다음과 같이 제시하였다. - 1)독서의 상황과 목적, 또는 전체적인 교류를 고려하여야 한다. 2)해석은 전체 텍스트에 위배되거나 전체 텍스트를 이해하지 못한 것이어서는 안된다. 3)해석은 텍스트 지면 위의 기호와 관련되지 않은 의미들을 투영하지 않는다. 이러한 항목들 외에도, 공통된 문화적, 사회적, 언어학적, 수사적 가정들의 전체 구조에서 나온, 해석과 평가를 위한 기준이 세워질 수 있다. 따라서 Rosenblatt은 ‘햄릿’이라는 텍스트가 여러 가지로 읽힐 수 있음을 인정하지만, 그래도 어떤 일정한 기준(예를 들어, 지적 정서적 요소의 복잡성과 내재적인 가치 체계의 본질)에 의하여, 어떤 독서가 다른 독서보다 뛰어나다고 간주할 수 있다고 하였다. Rosenblatt이 말한 해석의 타당성 개념은 반응중심 문학 토의를 하는 데 유효한 시사점을 제공해 준다. Rosenblatt에 의하면, 각 학생의 반응의 유효성(validity)은 텍스트와의 확인에 의해 수립된다. 그러므로 만약 반응이 텍스트에 위배되는 것이라면, 그 반응은 가치가 없는 것이다(Cullinan, 1989:46). 따라서 문학 토의를 할 때 학생들이 문학 작품에 대하여 나름대로 내린 해석은 존중되어야 하고 그 다양성을 인정해야 하지만, 그래도 텍스트를 잘못 이해하거나 자신의 선입견에서 비롯된 반응, 그리고 그 사회공동체의 가치에 위배되는 해석은 다시 생각해 보도록 유도해야 한다. 또 토의를 할 때 학생들의 해석 활동이 문학 텍스트의 절대적인 의미를 풀어서 이해하는 개념이 아닌, 학생들이 텍스트와의 교류를 통해 느끼고 생각한 것들을 다시 회상해 보고 명료화하는 개념으로 확장될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
참고자료
구인환박대호박인기우한용최병우(1989). 문학교육론. 서울: 삼지원.
권낙원(1997). 토의수업의 이론과 실제. 서울: 현대교육출판.
권혁준(1997). 문학 이론과 시교육. 서울: 박이정.
김민환(1997). 실제적 교육방법론. 서울: 양서원.
김상욱(1996). 소설교육의 방법 연구. 서울: 서울대학교출판부.
키워드
추천자료
반응중심문학교육
반응중심학습모형(반응중심문학교육)의 개념과 유형, 반응중심학습모형(반응중심문학교육)의 ...
반응중심학습(반응중심문학교육) 특징, 반응중심학습(반응중심문학교육) 의의, 반응중심학습(...
반응중심학습(반응중심수업, 반응중심문학교육) 정의, 반응중심학습(반응중심수업, 반응중심...
반응중심학습(반응중심문학교육)의 발생배경과 환경조성, 반응중심학습(반응중심문학교육)의 ...
반응중심학습(반응중심문학교육)의 기본개념, 반응중심학습(반응중심문학교육)의 배경과 중요...
반응중심학습모형(반응중심문학교육)의 개념과 목표, 반응중심학습모형(반응중심문학교육) 단...
[문학교육][교재][독자반응][언어교육][문학교육 관련 제언]문학교육의 목적, 문학교육의 성...
반응중심학습모형(반응중심문학교육) 목표와 배경, 반응중심학습모형(반응중심문학교육)학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