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론
Ⅱ. 기본적인 검색방법
Ⅲ. 디지털 북한 백과사전 및 인명사전 검색
Ⅳ. 검색 이외의 것
Ⅱ. 기본적인 검색방법
Ⅲ. 디지털 북한 백과사전 및 인명사전 검색
Ⅳ. 검색 이외의 것
본문내용
데이터베이스에 관한 정보를 쉽게 찾아 낼 수 있고 자료에 대한 업데이트가 자주 되기 때문에 새로운 정보를 빠르게 얻을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하지만 등록기관내에서만 원문이 열람 가능하기 때문에 집이나 PC방에서 이용하는 경우에는 원문을 열람 할 수 없다는 단점도 있다.
이제 기본적인 검색 방법에 대한 설명을 마치고, 검색 이외의 것들에 대해 간략히 설명 하겠다.
4. 이용안내, 열린 광장, 관련 사이트
4.1 먼저 이용안내는 원문 열람 안내와 검색안내 그리고 FAQ로 구성되어 있다.
원문열람 안내는
▶ 원문열람권한
▶ 원문을 볼 수 있는 시스템 최적 환경
▶ 저작물 및 원문 검색에 대한 간단한 설명
▶ 논문 작성 시, 출처인용방식
▶ K-Reader 메뉴설명
▶ 읽기 편한 화면설정
▶ 건의 및 전달
이렇게 구성되어 있으며, 각 주제에 대한 설명들이 나와 있다.
검색안내는 기본검색과 트리검색에 관하여 나와 있다. 위에 설명을 해 놓았기 때문에 굳이 상세 설명은 하지 않겠다.
그리고 FAQ는 사이트와 관련하여 궁금한 것들이 나와 있으며, 그와 관련된 상세 설명이 나와 있다. 아쉬운 점이 있다면 질문이 몇 가지밖에 없다는 점과 FAQ에 나와 있지 않은 질문을 하려면 담당자에게 전화 문의나 이메일을 통한 문의를 해야 하는 번거로운 점이 있다.
4.2 열린 광장, 관련 사이트
다음은 열린 광장과 관련 사이트에 관하여 설명을 하겠다. 각각의 설명이 짧아서 두 개를 한꺼번에 했다.
열린 광장은 특별한 것은 없고 이 사이트의 회원들과 관련이 있다. 사이트 로그인 기능과 회원가입안내, 회원게시판이 있다. 회원게시판이 궁금해서 가입을 해봤는데 이 곳 게시판은 활성화가 안 되어 있어서 글이 몇 개 없고, 별 특별한 것이 없다.
마지막으로 관련 사이트를 살펴보겠다. 관련 사이트라는 항목을 눌러보면 상당수의 연구 기관과 도서관, 북한 관련 사이트 및 해외 한국학과 관련된 사이트가 정렬되어 있다. 이곳에서 수집하지 못한 자료나 좀 더 많은 자료를 구하고자 하는 경우 이용하면 편리하다.
이것으로 한국 현대사 통합 데이터베이스에 대한 설명을 마치겠습니다.
목 차
Ⅰ. 서론
Ⅱ. 기본적인 검색방법
Ⅲ. 디지털 북한 백과사전 및 인명사전 검색
Ⅳ. 검색 이외의 것
그림 목차
(그림 1) 기본 검색 화면
(그림 2) 기본 검색 결과 화면
(그림 3) 트리 검색 화면
(그림 4) 트리 검색 결과 화면
(그림 5) 체크 박스
이제 기본적인 검색 방법에 대한 설명을 마치고, 검색 이외의 것들에 대해 간략히 설명 하겠다.
4. 이용안내, 열린 광장, 관련 사이트
4.1 먼저 이용안내는 원문 열람 안내와 검색안내 그리고 FAQ로 구성되어 있다.
원문열람 안내는
▶ 원문열람권한
▶ 원문을 볼 수 있는 시스템 최적 환경
▶ 저작물 및 원문 검색에 대한 간단한 설명
▶ 논문 작성 시, 출처인용방식
▶ K-Reader 메뉴설명
▶ 읽기 편한 화면설정
▶ 건의 및 전달
이렇게 구성되어 있으며, 각 주제에 대한 설명들이 나와 있다.
검색안내는 기본검색과 트리검색에 관하여 나와 있다. 위에 설명을 해 놓았기 때문에 굳이 상세 설명은 하지 않겠다.
그리고 FAQ는 사이트와 관련하여 궁금한 것들이 나와 있으며, 그와 관련된 상세 설명이 나와 있다. 아쉬운 점이 있다면 질문이 몇 가지밖에 없다는 점과 FAQ에 나와 있지 않은 질문을 하려면 담당자에게 전화 문의나 이메일을 통한 문의를 해야 하는 번거로운 점이 있다.
4.2 열린 광장, 관련 사이트
다음은 열린 광장과 관련 사이트에 관하여 설명을 하겠다. 각각의 설명이 짧아서 두 개를 한꺼번에 했다.
열린 광장은 특별한 것은 없고 이 사이트의 회원들과 관련이 있다. 사이트 로그인 기능과 회원가입안내, 회원게시판이 있다. 회원게시판이 궁금해서 가입을 해봤는데 이 곳 게시판은 활성화가 안 되어 있어서 글이 몇 개 없고, 별 특별한 것이 없다.
마지막으로 관련 사이트를 살펴보겠다. 관련 사이트라는 항목을 눌러보면 상당수의 연구 기관과 도서관, 북한 관련 사이트 및 해외 한국학과 관련된 사이트가 정렬되어 있다. 이곳에서 수집하지 못한 자료나 좀 더 많은 자료를 구하고자 하는 경우 이용하면 편리하다.
이것으로 한국 현대사 통합 데이터베이스에 대한 설명을 마치겠습니다.
목 차
Ⅰ. 서론
Ⅱ. 기본적인 검색방법
Ⅲ. 디지털 북한 백과사전 및 인명사전 검색
Ⅳ. 검색 이외의 것
그림 목차
(그림 1) 기본 검색 화면
(그림 2) 기본 검색 결과 화면
(그림 3) 트리 검색 화면
(그림 4) 트리 검색 결과 화면
(그림 5) 체크 박스
추천자료
고객만족 경영에 관한 연구-A+자료
마케팅을 위한 지식경영과 자료수집
삼국지연의 사상성 발표자료
훈민정음과 중국 음운학 비교 자료
청소년 교류활동 자료조사
사업계획서 정보 검색과 자료조사 회사 창업
학교생활만족도에관한설문결과보고서(spss,자료분석)-조사방법,가설과 변수 설정,조사 설계,...
[우수 평가 자료]한미 FTA체결- 그 장단점과 앞으로의 전망에 대한 분석
인공지능에 관한 발표자료
시간속으로의 여행 동굴 자료집
자살문제의 실태와 대책방안에 대한 자료입니다.
Flash를 이용한 초급영어 학습자료 구현
바로크시대의 기독교교육 자료(미리보기 및 목차확인요^^)
[2016]최신A+자료][전두환대통령의업적과과오&인물평가][전두환대통령의일대기와리더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