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화와 민족주의의 대립
본 자료는 5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해당 자료는 5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5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목 차

Ⅰ. 서 설 1

Ⅱ. 세계화 2
1. 세계화의 의의 2
2. 자본논리에서의 세계화 3
3. 세계화를 파악하는 관점 3
1) 기능주의적, 상호의존적 관점 3
2) 지배-종속의 관점 4
4. 세계화의 두 측면 5
1) 상호 경쟁적 측면 5
2) 상호 협력적 측면 6

Ⅲ. 민족주의 7
1. 민족주의의 의의 7
2. 세계민족주의 개념의 변천 7
3. 한국민족주의의 발생 및 변화 7
4. 민족주의의 두 측면 8

Ⅳ. 세계화와 민족주의의 상관관계 9
1. 세계화와 민족주의의 대립 9
2. 세계화와 민족주의의 공존 12

Ⅴ. 결 론 15

참고문헌 17

본문내용

수 있다.
도식화의 위험을 무릅쓰고, 세계성-민족성의 관계를 그림으로 설명한다면 아래 그림과 같다. 세계화가 국민국가나 민족주의를 와해시키고 흡수할 것이라는 생각은 그림1과 같이 표현할 수 있다. 하지만 현실적으로는 세계성과 민족성의 관계는 그림2와 같고, 세계화가 계속 진행된다고 하더라도, 세계성은 각각의 민족성의 공통부분의 형태로 존재할 것이므로 그림2의 형태를 벗어나지는 않을 것이다. 물론 세계성의 영역이 확대될 수는 있지만 민족성을 완전히 흡수할 수는 없다는 것이다.
세계화가 보편성일 수 있는 것은 민족이나 민족주의와의 관계 속에서 그러하며, 민족이라는 범주 전체를 포괄하는 범주가 될 수는 없을 것이다. 세계화와 민족주의가 보편과 특수의 관계로서 공존하는 것은 자연스런 현상이며 이런 상호보완적 관계에서 서로가 존재의 의미를 가질 수 있다. 글로벌리티를 추구하고 지향하는 흐름은 막을 수 없겠지만 어떠한 경우에도 글로벌리티가 내셔낼러티를 부정하고 대체할 수는 없으리라는 것이다. 이렇게 볼 때 세계성과 민족성, 세계화와 민족주의는 자연스러운 상호보완, 공존의 가능성을 가질 수 있다. 최연구, op. cit., pp.102-105.
Ⅴ. 결 론
세계화는 국제 정세이며 피할 수 없는 순리이다. 또한, 민족주의는 우리 민족의 유구한 역사가 증명하듯 우리의 숙명과도 같은 것이다. 이처럼 둘 모두는 우리 사회에 없어서는 안 될 존재들이다. 하지만 물과 기름처럼 섞이지 못하고 불과 물처럼 서로에게 제제를 가하며 강과 약을 증명하려하고 있다. 이 때문에 더 진보된 세계화, 더 고차원적인 민족주의의 실현이 불가능하리만큼 멀리 보인다.
세계화가 됐다고 가정하자. 과연 세계화가 새로운 범지구적 국가를 형성하며 국제 정세에 새로운 국면 불러올 수 있을까? 이는 세계화가 국민국가에 기초한 민족주의를 대체할 수 있는가 하는 질문과 상통한다. 이 질문에 대해 프랑스의 저명한 국제정치학자 필립 모로 드파르쥐는 다음과 같이 답변한다.
“세계화가 지역과 시간의 지구적인 통합이라고 할 때, 세계화는 인류역사상 초유의 국면을 열고 있다고 할 수 있다. 하지만 그렇다고 세계화가 인간 자체를 변화시키지는 않을 것이다. 특수한 역사, 즉 개인사, 지역사, 민족사는 여전히 지속된다. 물론 세계화에 의해 형태가 다소 바뀌겠지만 결코 해소되지는 않을 것이다” [한겨례], 2005년 05월08일자.
.
즉, 세계화가 민족적인 것에 지대한 영향을 끼칠 수는 있지만 민족성 자체를 대체할 수는 없다는 것이다. 그렇기에 불가능한 시비(是非) 가르기는 중단하는 것이 더 이상의 에너지 낭비를 막을 수 있는 방법이다.
세계화와 민족주의의 관계는 충분히 갈등의 요인이 될 수 있지만 여러 사례들이 증명하고 있듯이 상호공존 또한 자연스러울 수 있다. 서로를 이해하여 그 갈등을 최소화하고 상호 보완해 나간다면 진정한 의미의 세계화를 이룰 수 있을지 모른다. 이것이 앞으로의 해결해야 할 진정한 과제인 것이다. 그 길은 매우 멀고 험난한 길이지만 결코 불가능한 길이 아니다. 이 길의 끝은 분명 대한민국이 전 세계의 세계화와 민족주의 대립을 해결 할 모델로 역사에 남을 것이다.
참 고 문 헌
(2000. 10. 17) “민족주의”, 2007. 6. 9.
(2004. 7. 14) “역사를 통해서 본 베트남 민족주의의 두 가지 측면” 2007. 6. 9.
(2006. 12. 22) 연합뉴스 2007. 6. 9.
(2007. 1. 11) “이라크전 반대 포스터” 2007. 6. 9.
(2007. 6. 6) “한국민족주의의 전개” 2007. 6. 9.
(2007. 6. 8) “FTA에 대하여” 2007. 6. 9.
(2007. 6. 8) “이제 블로그도 세계화다” 2007. 6. 9.
(2007. 6. 11) “광제창생” 2007. 6. 11.
(2007. 6. 11) “화이사상” 2007. 6. 11.
(2007. 6. 11) “인내천” 2007. 6. 11.
(2007. 6. 11) “ 4.19” 2007. 6. 11.
[세계화의 정의], {해피캠퍼스}, 2006, 7.
[세계화], {해피캠퍼스}, 2006, 5.
김수자, [현대 한국 민족주의의 전개 양상], {동양정치사상서}, 한국ㆍ동양정치사상사학회, Vol.4, No2. 2005.
이대희, “세계화와 민족주의의 공존”, [21세기 정치학회보], Vol.12 No.2, 2002.
이상철 [세계화, 세계화 담론 그리고 한국사회], {인문학연구}, Vol.1, 1995.
최연구, [세계화와 민족주의, 그 갈등과 공존의 전망], {21세기 정치학회보} 11권, 한국학술정보, 2001.
{서울뉴스} 2007년 3월 13일자
{연합뉴스} 2004년 6월 4일자
{한겨례} 2005년 5월 8일자
Peter Alter, “Nationalismus” In Frankfurt am Main: Suhrkamp 1985.
Gesellschaft and staat:Lecikon, "der Politik" In Banden - Baden: Signal 1979.
  • 가격2,300
  • 페이지수17페이지
  • 등록일2007.12.31
  • 저작시기2007.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4532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