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화도 조약 이후 개항과 관련된 여러가지 사건들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Ⅰ. 머리말

Ⅱ. 강화도조약의 체결, 그 후 점점 밀려오는 서양의 사상과 편리한 문물
1. 개항 초기 조선의 몇가지 사건들과 이방인의 눈에비친 조선의 이미지
2. 강화도 조약으로 세상에 문을 연 조선
3. 개항이후 조선여성의 삶과 의식변화

Ⅲ. 약육강식의 세계. 식민지다툼의 희생자들
1. 세계대전의 발발
2. 대만, 필리핀, 베트남, 인도의 식민지 통치 비교
3. 과거사 정리의 필요성과 각국의 사례비교

Ⅳ. 맺음말

본문내용

고 1945년 5월에는 영국, 미국, 소련이 베를린을 점령함으로써 마침내 독일은 무조건 항복하였다. 한편 8월에는 미국이 일본의 히로시마와 나가사키에 원자 폭탄을 투하하였고, 소련이 일본에 대해 선전 포고를 함으로써 1945년 8월 15일에 일본은 포츠담 선언을 수락하여 무조건 항복하게 되었다.
[결과]
6년간에 걸친 전쟁에서 약 5, 000만 명에 이르는 사상자를 냈고, 1조 1, 540억 달러의 전비가 들었다. 이 전쟁이 참전국이나 그 밖의 여러 나라에 미친 피해는 너무나 컸기 때문에, 온 세계 사람들은 영원한 평화를 유지하기 위해 국제 연합을 만들기에 이르렀다.
그러나 미국과 소련은 그 사상과 정치 체제를 달리하는 데서 빚어진 대립이 날로 깊어 갔고, 그 때문에 세계는 미국을 중심으로 하는 자유 진영과 소련을 중심으로 하는 공산 진영으로 갈리게 되었다. 그리하여 이른바 냉전을 펴기도 하고, 평화 공존을 모색하기도 하였다.
특히 이 전쟁의 결과 우리 나라는 남북으로, 독일은 동서로 분단되는 새로운 비극을 맞게 되었다. 그리고 아시아와 아프리카에서는 민족 운동이 활발히 일어나 새로운 독립국이 잇달아 생겨났다.
출처 : 네이버 지식검색 ID: shareuser
위 자료에서 보는것처럼 세계열강의 이해관계 속에서 약소국은 식민지 지배를 받아야만 했다. 우리나라를 비롯한 대만 필리핀 베트남 인도 등의 나라는 각각 네덜란드, 일본, 스페인,미국, 프랑스, 영국의 지배를 받았으며 각 나라에 따라 식민지 통치 방법도 달랐다.
2. 대만, 필리핀, 베트남, 인도의 식민지 통치 비교
대만은 네덜란드의 통치를 받았다. 1642년부터 네덜란드는 동인도회사를 통해 대만을 직접
관할하였다. 네덜란드 동인도회사는 이후 대만을 이 지역을 교역의 중심지로 육성 하였다.
중국으로부터 비단, 도자기 및 약재를 수입하여 다시 일본 및 네덜란드로 재수출 하는 둥
경제면에 많은 관심을 갖고 대만을 통치했다.
필리핀은 1521년부터 1945년까지 스페인과 미국의 지배를 받았다.
필리핀의 끈질긴 저항운동에 미국은 필리핀의 점진적인 자치를 허용하기도 한다.
미국은 필리핀을 지배하는 동안 필리핀에 많은 경제 정책 밑 유산을 남겨 주었다.
베트남은 프랑스의 통치를 받았다.
일본이 우리나라를 문화통치할라고 개명하고, 우리말을 못쓰게 한것처럼, 프랑스도 베트남의 한자를 못쓰게 하였다. 그로인해 지금 베트남의 중고등학생 및 대학생 들이 거의 한자를 몰라서, 문화단절 문제를 격고있다고 한다. 또 어린아이들과 학생들의 금연과, 음주의 제한을 없애고 또한 금연장소도 모두다 없애는 등 일반적인 생활 양식까지 간섭하는 등 깊게 파고들었던 것으로 보인다.
인도는 영국의 통치를 받았다.
영국은 인도에 동인도 회사를 만드는 등 경제적인 면에 많은 간섭을 하였다.
산업혁명으로 인해서 영국은 물자와 자본이 쏟아지게 되었는데 그것을 쏟아 부을곳을 찾고 있었던 중 인도에 다다랐다고 한다..
그래서 정치적인 간섭은 안하고 경제적으로 지배했다.
출처 : 네이버 지식검색 www.naver.com ID prettyship
위 자료를 정리하면서 식민지를 만든 세계대전도 여러 열강의 이해관계 속에 일어났던 것처럼 식민통치 역시 각 나라의 이해관계 상황과 문화 성격에 따라 다르게 나타났다.
3. 과거사 정리의 필요성과 각국의 사례비교
얼마 전 국가에서 친일파 명단을 공개한 적이 있다. 우리나라는 해방 이후 미군주둔으로 인
해 친일문제를 깔끔하게 처리하지 못했고 친일세력이 우리 사회의 모든 기득권을 장악했기
때문이다. 여기에 학연 지연 혈연을 매개로 그들의 후계조직이 그것을 이어받으면서 이른
바 '한국사회의 메인트렌드"가 형성된 결과, 친일문제에 대한 가치 평가가 거의 이루어지지 못했다. 해방 60년이 다되어 때늦게 친일논란이 일어나는, 다른 나라에서
는 상상하기 힘든 이런 일이 벌어지고 있는 것이다.
이는 심각한 문제이다.
다른나라의 사례를 몇가지 알아보자.
남아프리카 공화국은 1995년 6월 과거 청산을 위한 법적 근거를 마련하기 시작하여 진실과화해위원회를 구성했고 진실과화해위원회 보고서 5권을 넬슨 만델라 대통령에게 전달하는등 과거사 청산에 힘을 기울였다.
칠례또한 “진실과 화해를 위한 국가위원회”를 설치하고 과거사 청산에 힘을 쏟았다고 한다.
아래 표에서 보는바와 같이 여러 사례가 있다.
출처:안병직<서울대교수,서양사학> http://cafe.naver.com/ephilosopy.cafe?iframe_url=/ArticleRead.nhn%3Farticleid=44
2005.09.01 20:59 입력 / 2005.09.02 05:33 수정
위 사례의 공통적인 특성은 국가에서 과거의 잘못을 바로잡으려는 노력을 했다는 것이다.
그리고 거의 모든 국가에서 보여지는 현상이다.
하지만 우리나라의 경우 과거사 문제를 청산할 기회를 잡아 놓고도 여러 문제점 특히 국회나 정부내의 직접 피해를 입는 권력자들 탓에 바로잡지 못한 것이다.
외국의 예를 그대로 답습하기엔 문제가 있다.
외국의 여러 국가의 경우 대대적인 책임 추긍과 처벌이 있었지만 현 정부 상황에선 그게 안되기 때문이다. 가장 좋은 방법은 그들의 잘못을 파헤쳐서 추긍하기보다 과거에 이러이러한 잘못이 있었다는 것을 국민들이 알게 하고 국민들로 하여금 친일과 과거 잘못에 대한 인식을 바로심어 주는 것이 아닐까 싶다.
Ⅳ. 맺음말
대학에 입학하여 첫 레포트를 작성하면서 양식 맞추는 것과 주제의 방향을 정하는 것에 많은 어려움을 겪었지만 이번 레포트를 쓰면서 우리나라 과거사 청산의 필요성을 절실히 느꼈다. 소위 후진국이라 말하는 아르헨티나도 정부주도로 과거사 정리에 힘을 쏟고 일을 추진하고 있는데 우리나라는 기득권 층의 이해관계속에 그것이 발현되지 못한다는것에 부끄러움을 느꼈다. 또한 우리나라 국민들에게 친일파 과거 잘못에대한 인식을 바로 심어주기 위해서 무엇인가 구체적인 방안이 필요하다고 생각했으며, 필자 또한 우리나라 국민의 한 사람으로 과거사 정리에 더더욱 관심을 가져야 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앞으로 우리나라의 잘못된 과거사에 대하여 많은 관심을 갖고 알리는데 노력할 것이다.

키워드

  • 가격2,300
  • 페이지수12페이지
  • 등록일2008.01.02
  • 저작시기2007.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4546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