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영아기
제 1단계: 신뢰감 대 불신감
(2) 유아기
제 2단계: 자율성 대 수치심 및 회의감
제 3단계: 주도성 대 죄책감
(3) 학령기
제 4단계: 근면성 대 열등감
(4) 청년기
제 5단계: 정체감 대 정체감 혼동
(5) 성년기
제 6단계: 친밀감 대 고립감
제 7단계: 생산성 대 침체성
(6) 노년기
제 8단계: 자아 통합감 대 절망감
Ⅲ. 결론
<참고문헌>
Ⅱ. 본론
(1) 영아기
제 1단계: 신뢰감 대 불신감
(2) 유아기
제 2단계: 자율성 대 수치심 및 회의감
제 3단계: 주도성 대 죄책감
(3) 학령기
제 4단계: 근면성 대 열등감
(4) 청년기
제 5단계: 정체감 대 정체감 혼동
(5) 성년기
제 6단계: 친밀감 대 고립감
제 7단계: 생산성 대 침체성
(6) 노년기
제 8단계: 자아 통합감 대 절망감
Ⅲ. 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온 삶을 돌아보게 된다. 자신의 생애를 돌아보면서 보람 있었고, 가치가 있었다는 것을 인지하고 오랜 삶을 통해 노련한 지혜를 획득하게 되면 자아 통합감을 얻게 된다. 반면에 젊음을 잃고 직업에서 은퇴한 후 신체적, 경제적으로 무력감을 느끼며, 지나온 자신의 삶이 무의미하다고 느끼면 절망감을 느끼게 된다. 절망감과 죽음에 대한 공포를 느끼는 노인들은 성취감을 이루지 못한 지금까지의 인생을 다른 방향으로 바꾸기에는 시간이 너무 짧게 남았다는 점 때문에 초조해 지기 시작한다.
이 시기의 대상자는 만 72세의 여성이다. 체중 45kg, 키 155cm로 나이에 비해 무척 정정하셨으나 체구가 무척 작아보였다. 대상자는 현재 큰 아들 내외의 집에서 남편과 함께 살고 있었다. 대상자는 자신의 인생에 걸쳐 해놓은 것이 없다고 말을 하였지만, 자신의 자녀들을 무척 자랑스러워 하셨고, 생활함에 있어서도 특별한 불만을 표현하지 않았다. 또한 부부사이가 무척 좋았고, 죽음이라는 것에 대해 대상자는 부정적인 시각보다는 당연한 발달과업의 하나로 생각하고 있었다. 이러한 것을 보아 대상자는 자아 통합감을 느끼고 있는 듯 했다.
Ⅲ. 결론
우리는 지금까지 인간발달의 각 단계적 특성을 알아보았고, 각 단계는 그 전 단계의 발달을 바탕으로 하여 그 다음 단계의 발달이 일어나는 누적적인 특성을 지님을 알았다. 또한 발달에는 일정범위 안에서 개인차이가 있음을 알았다. 우리는 이 과목을 학습하는 동안 면담자의 역할을 하였지만 어떻게 보면 우리 자신이 가장 정확하고 관찰하기 쉬운 대상자일 것이다. 우리는 이 시간을 통해 우리 자신의 발달단계를 잘 이해하고, 그 특성을 이해하여 다른 사람과 비교해 보고 왜 차이가 나며, 어떻게 다른지 알 수 있었다. 우리가 공부하고 있는 간호학이란 것은 병 그 자체 보다는 그 병을 가지고 있는 대상자를 중점적으로 보기 때문에, 이러한 인간에 대한 전반적인 이해는 우리가 간호학을 계속 공부하는데 많은 도움을 줄 것이다. 또한 실제로 대상자와 만나 사정을 하는 훈련을 통해서 임상에서 좀 더 쉽게 대상자에게 다가설 수 있는 기술과 경험을 조금이나마 습득할 수 있었다.
<참고문헌>
1. 조복희 외(1999), 인간발달, 서울: 교문사
3. 정옥분(2006), 발달심리학 , 서울 : 학지사
3. 정옥분(1991), 인간발달이론, 서울 : 학지사
4. 이화자 외(2003), 발달단계별 아동간호학, 서울: 정담미디어
이 시기의 대상자는 만 72세의 여성이다. 체중 45kg, 키 155cm로 나이에 비해 무척 정정하셨으나 체구가 무척 작아보였다. 대상자는 현재 큰 아들 내외의 집에서 남편과 함께 살고 있었다. 대상자는 자신의 인생에 걸쳐 해놓은 것이 없다고 말을 하였지만, 자신의 자녀들을 무척 자랑스러워 하셨고, 생활함에 있어서도 특별한 불만을 표현하지 않았다. 또한 부부사이가 무척 좋았고, 죽음이라는 것에 대해 대상자는 부정적인 시각보다는 당연한 발달과업의 하나로 생각하고 있었다. 이러한 것을 보아 대상자는 자아 통합감을 느끼고 있는 듯 했다.
Ⅲ. 결론
우리는 지금까지 인간발달의 각 단계적 특성을 알아보았고, 각 단계는 그 전 단계의 발달을 바탕으로 하여 그 다음 단계의 발달이 일어나는 누적적인 특성을 지님을 알았다. 또한 발달에는 일정범위 안에서 개인차이가 있음을 알았다. 우리는 이 과목을 학습하는 동안 면담자의 역할을 하였지만 어떻게 보면 우리 자신이 가장 정확하고 관찰하기 쉬운 대상자일 것이다. 우리는 이 시간을 통해 우리 자신의 발달단계를 잘 이해하고, 그 특성을 이해하여 다른 사람과 비교해 보고 왜 차이가 나며, 어떻게 다른지 알 수 있었다. 우리가 공부하고 있는 간호학이란 것은 병 그 자체 보다는 그 병을 가지고 있는 대상자를 중점적으로 보기 때문에, 이러한 인간에 대한 전반적인 이해는 우리가 간호학을 계속 공부하는데 많은 도움을 줄 것이다. 또한 실제로 대상자와 만나 사정을 하는 훈련을 통해서 임상에서 좀 더 쉽게 대상자에게 다가설 수 있는 기술과 경험을 조금이나마 습득할 수 있었다.
<참고문헌>
1. 조복희 외(1999), 인간발달, 서울: 교문사
3. 정옥분(2006), 발달심리학 , 서울 : 학지사
3. 정옥분(1991), 인간발달이론, 서울 : 학지사
4. 이화자 외(2003), 발달단계별 아동간호학, 서울: 정담미디어
추천자료
교육정의론 Term Paper
간호학 실습 Term paper
<교육철학사 Term Paper > 창의력을 주도하는 국어 교육
[Term paper] “자기 주도적 학습과 인터넷 교육”
[Term Paper] 한미 입시와 대학교육을 통해본 한국교육의 나아갈 방향
[Term Paper] 세계에서 가장 가난한 나라 방글라데시의 교육
영어구문 통사론 term paper 입니다.(촘스키의 unanswered questions)
[금융생활]나의 재무설계(My life-time financial plan) term-paper
인공치아 세라믹스 Term paper (재료물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