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제1일: 자궁수축과 태아 심박동을 직접 재어보고 정리해 보시오.
제2일: Leopolds maneuver를 직접 해보고 정리하시오.
제3일: 분만실에서의 소독 간호사와 부소독 간호사의 하는 일에 대해 알아보시오.
제4일: Ritgens maneuver와 회음열상의 종류, 예방법에 대해 알아보시오.
제5일: 분만 중 Hyperventilation(과다호흡)에 대해 알아보시오.
제6일: 산과병동으로 산모 이송 시 확인할 사항들을 나열해 보시오.
제2일: Leopolds maneuver를 직접 해보고 정리하시오.
제3일: 분만실에서의 소독 간호사와 부소독 간호사의 하는 일에 대해 알아보시오.
제4일: Ritgens maneuver와 회음열상의 종류, 예방법에 대해 알아보시오.
제5일: 분만 중 Hyperventilation(과다호흡)에 대해 알아보시오.
제6일: 산과병동으로 산모 이송 시 확인할 사항들을 나열해 보시오.
본문내용
평활근에 직접 선택적으로 작용하여 수축, 분만 후의 출혈량 감소시킴
② 투약방법: 근육/정맥 주사, 경구투여
③ 적응증과 효과: 자궁수축제, 자궁수축 지혈제
④ 부작용: 호산구증가, 간장애, 발열, 용혈성빈혈, 백혈구 혈소판 감소증, 두통, 탈력감, Parkinsonism, 위장장애, 발진, 체중증가, 여성형 유방
⑤ 금기: 임부 고혈압, 임신 중독증, 만출 전 임부
< methergin >
① 용법: 경구로 1회 1~2 T, 1일 2~4회, 2일간 최대 7일간 가능하며, 주사 1회 0.1~0.2mg SC, IM, IV (필요시 6시간마다 심한 출혈 시 2~4시간마다 IM)를 해준다.
② 약리작용 및 효능: 강력한 자궁수축작용 및 지혈작용, 태반만출/제왕절개 수술/유산 후 출 혈예방 및 치료, 자궁 퇴축 부전, Prolactin 분비 억제
③ 부작용, 주의 및 금기는 Ergometrine과 동일
< Ergometrine >
① 용법: 1회 0.2mg SC, IM, IV(필요시 6시간마다 IM), 심한 출혈 시 2~4시간마다 IM으로 투여
② 약리작용 및 효능: 분만 제 3기를 단축시키는 속효성이고 지속성인 경련성 자궁수축효과를 나타내며 혈액손실을 감소시킨다. IV후 즉시, IM후 2~5분안에 작용이 발현되며, 태반 만출후, 분만 후 이완, 출혈, 퇴축부전에 사용한다.
③ 부작용: 구토, 설사, 혈압상승, 흉부압박감, 졸음, 피부냉감, 이명, 후두부 마비감, 열감
④ 금기: 분만유도 및 절박유산환자
⑤ 신중투여: 고혈압, 패혈증, 말초혈관질환, 심질환 갖고 있는 환자
⑥ 주의: IV 투여는 피하나(부작용증가) 꼭 필요하면 BP측정하면서 1분 이상에 걸쳐 투여
< prostaglandin E2 >
① 용법: Fornix 깊숙이 1T투여. 6~8시간이내에 분만되지 않으면 1T 추가 투여한다.(Max 2T)
② 약리작용과 효능: 자궁근의 수축작용과 자궁경관 수화작용이 있다. 28주 내의 태아 사망, 불완전유산, 포상기태 및 임신말기유도분만에 사용함.
③ 부작용: 구토, 설사, 혈압상승, 흉부압박감, 졸음, 피부냉감, 두통, 이명, 현기증
④ 금기: 분만유도 및 절박유산자
⑤ 신중투여: 고혈압, 패혈증, 말초혈관질환, 심질환, 임신중독증
⑥ 주의: IV투여는 피하나(부작용증가)꼭 필요하면 BP측정하면서 1분 이상에 걸쳐 투여
< Nalador >
① 투약방법: 정맥주사
② 적응증과 효과: 임신중절의 유도, IUFD의 분만 유도, 이완성 산후출혈의 치료
③ 금기: 기관지 천식, 경련성 기관지염, 심각한 고혈압
< Lidocaine >
① 용법: 용량은 마취부위 및 방법, 개인의 수용능력에 따라 다르나 일반적으로 초회 성인용량 을 투여한다. 경막외 혹은 척수마취시는 보존제 없는 용액을 사용해야 함
② 약리작용 및 효능: Amide계 마취제로 혈장 esterase에 의해 분해되지 않고 간에서만 대사된 다. 신경세포막에 작용하여 탈분극 속도를 감소시킴으로써 전도속도 감 소, 따라서 신경충동의 발생과 전도를 차단한다.
③ 부작용: 과량투여시 흥분, 신경질, 시야 몽롱, 진전, 저혈압, 심근억제, 서맥, 담마진, 부 종이 생길 수 있으며 다량에 의해 심실 전동 또는 심장정지로 사망할 수도 있다.
④ 금기: Amide-type의 국소마취제에 과민한자, 심한 쇽이나 heart block 환자
⑤ 주의사항: 반드시 소생술 기기를 갖추어야 한다. 혈관 수축제와 병용시 고혈압, 동맥경화성 심질환, 심장억제, 당뇨 등의 질환에 주의하고, 간질환 환자는 독성에 주의한다.
< Trandate >
① 원리: 알파-차단, 베타 -차단의 두가지 병용효과에따른 빈백유발 없이 혈압을 낮추거나 심 박동율을 감소시킨다. 증가된 혈장내 renins을 감소시킨다.
② 투약방법: 경구투여, 정맥주사
③ 적응증과 효과: 항고혈압제
* 경구: 경증, 중등도, 중증 고혈압, 협심증을 수반한 고혈압, 임신성 고혈압
* 주사: 응급을 요하는 중증 고혈압(임신성 고혈압 포함), 급성심근경색증에 의한 고혈압, 수 술마취시의 혈압강하제로 사용.
④ 부작용: 환각, 진전, 가성경련, 저혈압, 타액분비증가, 안압상승, 발진, 주사부위의 동통
⑤ 금기: 본제과민증 기왕력자, 심인성쇼크, 장기중증의 저혈압 또는 중증 서맥 관련 질환자, 심박출량 저하로 인해 말초혈관이 일어난 급성심근경색증환자
< Cytotec >
① 원리: 위산분비를 억제하여 위의 점막을 보호한다. 중탄산염과 점액생성을 증가한다
② 투약방법: 경구투여
③ 적응증과 효과: 제산제 및 궤양치료제
④ 부작용: 반동성고혈압, 빈맥, 협심증, 울혈성심부전, 폐부종, 졸림, 현기증, 두통, 우울, 오심, 구토, 여성형유방, 소양증, 발진, 다모증
⑤ 금기: Prostaglandin 과민증환자, 임부
제5일: 분만촉진 방법에 대해 알아보시오.
① 옥시토신: 불충분한 자궁수축을 느리게 진행되는 분만 과정을 유도하거나 촉진시키는 데 이 용된다. 분만 촉진은 자궁수축이 약하고 불규칙하여 효율적이지 않을 때 시도된다.
② prostaglandin: 경관의 소실과 연화를 성숙시켜 경관을 개대시키는 것이다. 경구나, 질정, 겔의 상태로 사용되고 있다.
③ 양막절개술: 양막겸자를 질내로 삽입하여 인위적으로 양막을 파막 시키는 것이다. 양막절개 술은 경관의 상태가 좋을 때 분만을 촉진하기 위하여 사용된다. 옥시토신에 의 해 분만진행이 어느 정도 진행된 후 실시하는 것이 효과적이나 감염, 제대탈출 및 제대압박, 아두 압박의 위험성이 있으므로 선진부가 진입되지 않았거나 둔 위, 횡위, 전치태반, 질의 herpes감염이 있을 때는 금해야 한다.
제6일: 산과병동으로 산모 이송 시 확인할 사항들을 나열해 보시오.
병동으로 옮기기 전에 분만의 유형, 임신력과 출산력, 연령, 사용한 마취제, 회음절개 유형과 열상, 자궁저부의 수축상태, 오로 양, 활력증후, 투약, 신생아에 대한 반응, 신생아의 성별, Apgar점수, 체중, 신체상태, 수유방법, 산모의 배뇨여부, 정맥수액 공급 및 음식의 섭취여부, 그리고 눈 점안, 비타민 K주사 등 신생아 간호도 자세히 기록하고 병실 간호사에게 보고한다.
② 투약방법: 근육/정맥 주사, 경구투여
③ 적응증과 효과: 자궁수축제, 자궁수축 지혈제
④ 부작용: 호산구증가, 간장애, 발열, 용혈성빈혈, 백혈구 혈소판 감소증, 두통, 탈력감, Parkinsonism, 위장장애, 발진, 체중증가, 여성형 유방
⑤ 금기: 임부 고혈압, 임신 중독증, 만출 전 임부
< methergin >
① 용법: 경구로 1회 1~2 T, 1일 2~4회, 2일간 최대 7일간 가능하며, 주사 1회 0.1~0.2mg SC, IM, IV (필요시 6시간마다 심한 출혈 시 2~4시간마다 IM)를 해준다.
② 약리작용 및 효능: 강력한 자궁수축작용 및 지혈작용, 태반만출/제왕절개 수술/유산 후 출 혈예방 및 치료, 자궁 퇴축 부전, Prolactin 분비 억제
③ 부작용, 주의 및 금기는 Ergometrine과 동일
< Ergometrine >
① 용법: 1회 0.2mg SC, IM, IV(필요시 6시간마다 IM), 심한 출혈 시 2~4시간마다 IM으로 투여
② 약리작용 및 효능: 분만 제 3기를 단축시키는 속효성이고 지속성인 경련성 자궁수축효과를 나타내며 혈액손실을 감소시킨다. IV후 즉시, IM후 2~5분안에 작용이 발현되며, 태반 만출후, 분만 후 이완, 출혈, 퇴축부전에 사용한다.
③ 부작용: 구토, 설사, 혈압상승, 흉부압박감, 졸음, 피부냉감, 이명, 후두부 마비감, 열감
④ 금기: 분만유도 및 절박유산환자
⑤ 신중투여: 고혈압, 패혈증, 말초혈관질환, 심질환 갖고 있는 환자
⑥ 주의: IV 투여는 피하나(부작용증가) 꼭 필요하면 BP측정하면서 1분 이상에 걸쳐 투여
< prostaglandin E2 >
① 용법: Fornix 깊숙이 1T투여. 6~8시간이내에 분만되지 않으면 1T 추가 투여한다.(Max 2T)
② 약리작용과 효능: 자궁근의 수축작용과 자궁경관 수화작용이 있다. 28주 내의 태아 사망, 불완전유산, 포상기태 및 임신말기유도분만에 사용함.
③ 부작용: 구토, 설사, 혈압상승, 흉부압박감, 졸음, 피부냉감, 두통, 이명, 현기증
④ 금기: 분만유도 및 절박유산자
⑤ 신중투여: 고혈압, 패혈증, 말초혈관질환, 심질환, 임신중독증
⑥ 주의: IV투여는 피하나(부작용증가)꼭 필요하면 BP측정하면서 1분 이상에 걸쳐 투여
< Nalador >
① 투약방법: 정맥주사
② 적응증과 효과: 임신중절의 유도, IUFD의 분만 유도, 이완성 산후출혈의 치료
③ 금기: 기관지 천식, 경련성 기관지염, 심각한 고혈압
< Lidocaine >
① 용법: 용량은 마취부위 및 방법, 개인의 수용능력에 따라 다르나 일반적으로 초회 성인용량 을 투여한다. 경막외 혹은 척수마취시는 보존제 없는 용액을 사용해야 함
② 약리작용 및 효능: Amide계 마취제로 혈장 esterase에 의해 분해되지 않고 간에서만 대사된 다. 신경세포막에 작용하여 탈분극 속도를 감소시킴으로써 전도속도 감 소, 따라서 신경충동의 발생과 전도를 차단한다.
③ 부작용: 과량투여시 흥분, 신경질, 시야 몽롱, 진전, 저혈압, 심근억제, 서맥, 담마진, 부 종이 생길 수 있으며 다량에 의해 심실 전동 또는 심장정지로 사망할 수도 있다.
④ 금기: Amide-type의 국소마취제에 과민한자, 심한 쇽이나 heart block 환자
⑤ 주의사항: 반드시 소생술 기기를 갖추어야 한다. 혈관 수축제와 병용시 고혈압, 동맥경화성 심질환, 심장억제, 당뇨 등의 질환에 주의하고, 간질환 환자는 독성에 주의한다.
< Trandate >
① 원리: 알파-차단, 베타 -차단의 두가지 병용효과에따른 빈백유발 없이 혈압을 낮추거나 심 박동율을 감소시킨다. 증가된 혈장내 renins을 감소시킨다.
② 투약방법: 경구투여, 정맥주사
③ 적응증과 효과: 항고혈압제
* 경구: 경증, 중등도, 중증 고혈압, 협심증을 수반한 고혈압, 임신성 고혈압
* 주사: 응급을 요하는 중증 고혈압(임신성 고혈압 포함), 급성심근경색증에 의한 고혈압, 수 술마취시의 혈압강하제로 사용.
④ 부작용: 환각, 진전, 가성경련, 저혈압, 타액분비증가, 안압상승, 발진, 주사부위의 동통
⑤ 금기: 본제과민증 기왕력자, 심인성쇼크, 장기중증의 저혈압 또는 중증 서맥 관련 질환자, 심박출량 저하로 인해 말초혈관이 일어난 급성심근경색증환자
< Cytotec >
① 원리: 위산분비를 억제하여 위의 점막을 보호한다. 중탄산염과 점액생성을 증가한다
② 투약방법: 경구투여
③ 적응증과 효과: 제산제 및 궤양치료제
④ 부작용: 반동성고혈압, 빈맥, 협심증, 울혈성심부전, 폐부종, 졸림, 현기증, 두통, 우울, 오심, 구토, 여성형유방, 소양증, 발진, 다모증
⑤ 금기: Prostaglandin 과민증환자, 임부
제5일: 분만촉진 방법에 대해 알아보시오.
① 옥시토신: 불충분한 자궁수축을 느리게 진행되는 분만 과정을 유도하거나 촉진시키는 데 이 용된다. 분만 촉진은 자궁수축이 약하고 불규칙하여 효율적이지 않을 때 시도된다.
② prostaglandin: 경관의 소실과 연화를 성숙시켜 경관을 개대시키는 것이다. 경구나, 질정, 겔의 상태로 사용되고 있다.
③ 양막절개술: 양막겸자를 질내로 삽입하여 인위적으로 양막을 파막 시키는 것이다. 양막절개 술은 경관의 상태가 좋을 때 분만을 촉진하기 위하여 사용된다. 옥시토신에 의 해 분만진행이 어느 정도 진행된 후 실시하는 것이 효과적이나 감염, 제대탈출 및 제대압박, 아두 압박의 위험성이 있으므로 선진부가 진입되지 않았거나 둔 위, 횡위, 전치태반, 질의 herpes감염이 있을 때는 금해야 한다.
제6일: 산과병동으로 산모 이송 시 확인할 사항들을 나열해 보시오.
병동으로 옮기기 전에 분만의 유형, 임신력과 출산력, 연령, 사용한 마취제, 회음절개 유형과 열상, 자궁저부의 수축상태, 오로 양, 활력증후, 투약, 신생아에 대한 반응, 신생아의 성별, Apgar점수, 체중, 신체상태, 수유방법, 산모의 배뇨여부, 정맥수액 공급 및 음식의 섭취여부, 그리고 눈 점안, 비타민 K주사 등 신생아 간호도 자세히 기록하고 병실 간호사에게 보고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