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분만실의 수술도구&기구
☆신생아에게 사용되는 기구와 사용방법
☆산모에게 사용되는 기구와 방법
2.분만실에서 쓰이는 약물
3.분만실에서 실시하는 검사
☆신생아에게 사용되는 기구와 사용방법
☆산모에게 사용되는 기구와 방법
2.분만실에서 쓰이는 약물
3.분만실에서 실시하는 검사
본문내용
상 지속되는 자궁수푹이 10분에 3회이상 지속되어도 태아심박수 의 저하가 없는 경우
Suspicious : late deceleration이 자궁수축마다 일관되지 않게 나타나는 경우
Hyperstimulation : 자궁수축이 2분미만마다 자주 오거나 수축기간이 90초이상 되 는 경우 혹은 지속적으로 자궁이 고긴장상태(hypertonus)에 있 는 경우는 late deceleration이 반드시 자궁태만질환을 의미하지 는 않는다.
Unsatisfactory : 수축의 빈도가 10분에 3회미만이거나 기록이 불량한 경우
⑶도플러 초음파 검사
Ⅰ.기초원리(Basic Principles)
도플러 초음파는 transducer에서 주사된 ultrasound beam이 혈관내 적혈구에 부딪혀 반사되어 돌아오는 것을 transducer에서 인지하여 혈류 속도를 측정하는 장치이다. 처음 초음파기기에서 발사된 ultrasound의 frequency(fo)와 움직이는 적혈구에 반사되어 되돌아오는 ultrasound의 frequency(fr)사이에는 미세한 차이가 있고 이 frequencyshift(df)를 이용하여 혈류의 속도를 측정한다.
Ⅱ.도플러 초음파의 종류
ⅰ)Continuous Wave Doppler 초음파
가장 간단한 형태의 초음파로 초음파를 지속적으로 내보내고 받으므로 초음파 beam이 거쳐가는 모든 혈관에서 Doppler신호가 얻어지고 결과적으로 어느 혈관에서 Doppler 신호가 나오는지 알지 못하는 단점이 있다.
ⅱ)Pulsed Wave Doppler 초음파
초음파를 짧은 일정한 시간 간격을 내보내고 혈관의 적혈구와 부닥쳐 되돌아오는 Doppler 신호를 얻기 때문에 혈류가 관찰되는 깊이를 측정할 수 있고 결과적으로 어느 혈관에서 Doppler 신호가 나오는지 알 수 있다.
ⅲ)Puplex Doppler 초음파
Doppler B-mode 초음파를 결합시킨 것을 말한다. 이것의 장점은 B-mode image가 Doppler beam의 움직임에 지침을 줄 수 있고 spectrum으로 얻는 혈관 및 주변기관의 해부학적, 구조학적 정보를 함께 볼 수 있다는 점이다.
ⅳ)Color Doppler Imaging(CID)
CID는 Doppler frequency변이를 색으로 코드화시켜 B-mode image에 mapping 한 것이다. 혈류의 방향은 초음파 transducer를 향해 다가오는 경우는 빨간색의 transducer에서 멀어지는 경우는 파란색으로 나타난다.
⑷양수천자
Ⅰ.적응증
①분만 당시 임신부의 나이가 35세 또는 그 이상일 때
②과거 염색체이상의 태아를 분만했을 때
③부모중 한 사람이 균형전좌보인자(balanced translocation carrier)이거나 염색체 구조의 이상이 있을 때
④가까운 친척 중에 다운증후군 또는 다른 염색체이상이 있을 때
⑤낭성섬유증, 태이-삭스병, 구순열 등의 멘델성 또는 다인자성 유전질환의 위험이 있을 때
⑥과거 자식이나 부모중에 신경관결손증이 있거나, 산전 임신부 혈청 알파태아단백치나 삼중 선별검사(triple screen test) 결과가 비정상적일 때
⑦초음파검사상 비정상 태아일 때
⑧과거 다발성 주기형아(multiple major malformation)을 분만 했으나 세포유전학적 검사를 시행하지 않았을 때
⑨심각한 반성(X-linked) 유전질환의 발생 위험이 있는 임신에서 태아의 성감별이 필요할 때
⑩유전학 설문지에 의미있는 답변을 얻었을 때
⑪산모가 태아기형의 불안으로 원할 때
Ⅱ.시행시기
일반적으로 임신 15주에서 18주 사이에 시행하는 것이 태아세포의 배양 성공률이 높아 이상적이다. 그러나 세포배양에 3주가량의 시간이 걸리는 것을 고려하면 양수 천자에서 이상이 발견되었을 당시는 약 5개월로 너무 늦으므로 최근에는 조기 양수천자라 하여 임신 11주에서 14주 이전에 시행하여 이와같은 단점을 보완한 시술이 행한다. 그러나 조기 양수천자는 임신 중기 양수천자보다 임신 손실률이 2.5배정도 높은 것이 단점이다.
Ⅲ.시행방법
임신부의 복부를 소독한후 약 3-6인치정도되는 긴 바늘을 복부와 자궁을 관통하여 양수가 있는 임신낭에서 양수를 채취. 보통 배양을 위하여 20-30ml 정도의 양수가 필요하며 DNA 분석을 위해서는 좀더 많은 양의 양수를 채취할 수 있다.
⑸소변검사
①소변의 당, 케톤, 단백질을 검사한다. 소변은 중간 소변을 깨끗하게 채취한다.
②신세뇨관 재흡수의 증가 없이 사구체 여과율만 증가함에 따라 소변에 당이 소량 나타날 수 있다. 이는 당뇨를 감별하기 위해 시행해야 한다.
③단백뇨는 임신성 고혈압이나 신장의 문제, 요로감염을 나타내는 징후이므로 반드시 보고 되어야 한다.
④소변속의 케톤은 과도한 체중감소, 탈수, 전해질 불균형, 이차적인 오심과 구토를 유발할 수 있으므로 반드시 보고되어야 한다.
⑤소변이 혼탁하거나 세균 또는 백혈구가 검출되면 소변 배양검사를 해야한다.
⑥빌리루빈의 검출은 간이나 담낭의 질환 또는 적혈구의 파괴를 의미한다.
⑦혈뇨는 요로감염, 신장질환, 질 감염 등을 나타낸다.
⑹감염검사
①VDRL 매독검사
②임질, 포진, Chlamydia, 풍진검사
③B형간염 표면항원검사, HIV 검사
⑺융모막 검사(Chorionic villus sampling)
태아의 염색체를 대신할 수 있는 임신초기의 태반 조직 중 일부를 얻어서 염색체 이상을 알아보기 위한 검사법으로 임신 10주부터 12주사이에 시행한다. 양수천자 검사와 비교했을 때 다소 태아 손실률은 높으나 조기에 결과를 얻을 수 있는 장점이 있다.
⑻내진
Ⅰ.목적
-개대정도와 거상을 알기 위해서
-분만시작의 여부를 알기 위해서
-선진부가 의심스러울 때
-Station을 확실히 알지 못할 때
-분만 2기를 알기 위해서
ⅰ) 양수막의 상태 : 파열여부의 판정에 Nitrazine test응용
ⅱ) 자궁경관상태
가. 소실도 : 2cm 기준으로 평가 예) 50% = 1/2 소실
나. 개대정도 : 10cm=만개대
다: 위치 -posterior: 조산통 의심
ⅲ) 태위 및 선진부의 하강정도
ⅳ) 골반구조
ⅴ) 회음부 및 질의 탄력성 평가
Suspicious : late deceleration이 자궁수축마다 일관되지 않게 나타나는 경우
Hyperstimulation : 자궁수축이 2분미만마다 자주 오거나 수축기간이 90초이상 되 는 경우 혹은 지속적으로 자궁이 고긴장상태(hypertonus)에 있 는 경우는 late deceleration이 반드시 자궁태만질환을 의미하지 는 않는다.
Unsatisfactory : 수축의 빈도가 10분에 3회미만이거나 기록이 불량한 경우
⑶도플러 초음파 검사
Ⅰ.기초원리(Basic Principles)
도플러 초음파는 transducer에서 주사된 ultrasound beam이 혈관내 적혈구에 부딪혀 반사되어 돌아오는 것을 transducer에서 인지하여 혈류 속도를 측정하는 장치이다. 처음 초음파기기에서 발사된 ultrasound의 frequency(fo)와 움직이는 적혈구에 반사되어 되돌아오는 ultrasound의 frequency(fr)사이에는 미세한 차이가 있고 이 frequencyshift(df)를 이용하여 혈류의 속도를 측정한다.
Ⅱ.도플러 초음파의 종류
ⅰ)Continuous Wave Doppler 초음파
가장 간단한 형태의 초음파로 초음파를 지속적으로 내보내고 받으므로 초음파 beam이 거쳐가는 모든 혈관에서 Doppler신호가 얻어지고 결과적으로 어느 혈관에서 Doppler 신호가 나오는지 알지 못하는 단점이 있다.
ⅱ)Pulsed Wave Doppler 초음파
초음파를 짧은 일정한 시간 간격을 내보내고 혈관의 적혈구와 부닥쳐 되돌아오는 Doppler 신호를 얻기 때문에 혈류가 관찰되는 깊이를 측정할 수 있고 결과적으로 어느 혈관에서 Doppler 신호가 나오는지 알 수 있다.
ⅲ)Puplex Doppler 초음파
Doppler B-mode 초음파를 결합시킨 것을 말한다. 이것의 장점은 B-mode image가 Doppler beam의 움직임에 지침을 줄 수 있고 spectrum으로 얻는 혈관 및 주변기관의 해부학적, 구조학적 정보를 함께 볼 수 있다는 점이다.
ⅳ)Color Doppler Imaging(CID)
CID는 Doppler frequency변이를 색으로 코드화시켜 B-mode image에 mapping 한 것이다. 혈류의 방향은 초음파 transducer를 향해 다가오는 경우는 빨간색의 transducer에서 멀어지는 경우는 파란색으로 나타난다.
⑷양수천자
Ⅰ.적응증
①분만 당시 임신부의 나이가 35세 또는 그 이상일 때
②과거 염색체이상의 태아를 분만했을 때
③부모중 한 사람이 균형전좌보인자(balanced translocation carrier)이거나 염색체 구조의 이상이 있을 때
④가까운 친척 중에 다운증후군 또는 다른 염색체이상이 있을 때
⑤낭성섬유증, 태이-삭스병, 구순열 등의 멘델성 또는 다인자성 유전질환의 위험이 있을 때
⑥과거 자식이나 부모중에 신경관결손증이 있거나, 산전 임신부 혈청 알파태아단백치나 삼중 선별검사(triple screen test) 결과가 비정상적일 때
⑦초음파검사상 비정상 태아일 때
⑧과거 다발성 주기형아(multiple major malformation)을 분만 했으나 세포유전학적 검사를 시행하지 않았을 때
⑨심각한 반성(X-linked) 유전질환의 발생 위험이 있는 임신에서 태아의 성감별이 필요할 때
⑩유전학 설문지에 의미있는 답변을 얻었을 때
⑪산모가 태아기형의 불안으로 원할 때
Ⅱ.시행시기
일반적으로 임신 15주에서 18주 사이에 시행하는 것이 태아세포의 배양 성공률이 높아 이상적이다. 그러나 세포배양에 3주가량의 시간이 걸리는 것을 고려하면 양수 천자에서 이상이 발견되었을 당시는 약 5개월로 너무 늦으므로 최근에는 조기 양수천자라 하여 임신 11주에서 14주 이전에 시행하여 이와같은 단점을 보완한 시술이 행한다. 그러나 조기 양수천자는 임신 중기 양수천자보다 임신 손실률이 2.5배정도 높은 것이 단점이다.
Ⅲ.시행방법
임신부의 복부를 소독한후 약 3-6인치정도되는 긴 바늘을 복부와 자궁을 관통하여 양수가 있는 임신낭에서 양수를 채취. 보통 배양을 위하여 20-30ml 정도의 양수가 필요하며 DNA 분석을 위해서는 좀더 많은 양의 양수를 채취할 수 있다.
⑸소변검사
①소변의 당, 케톤, 단백질을 검사한다. 소변은 중간 소변을 깨끗하게 채취한다.
②신세뇨관 재흡수의 증가 없이 사구체 여과율만 증가함에 따라 소변에 당이 소량 나타날 수 있다. 이는 당뇨를 감별하기 위해 시행해야 한다.
③단백뇨는 임신성 고혈압이나 신장의 문제, 요로감염을 나타내는 징후이므로 반드시 보고 되어야 한다.
④소변속의 케톤은 과도한 체중감소, 탈수, 전해질 불균형, 이차적인 오심과 구토를 유발할 수 있으므로 반드시 보고되어야 한다.
⑤소변이 혼탁하거나 세균 또는 백혈구가 검출되면 소변 배양검사를 해야한다.
⑥빌리루빈의 검출은 간이나 담낭의 질환 또는 적혈구의 파괴를 의미한다.
⑦혈뇨는 요로감염, 신장질환, 질 감염 등을 나타낸다.
⑹감염검사
①VDRL 매독검사
②임질, 포진, Chlamydia, 풍진검사
③B형간염 표면항원검사, HIV 검사
⑺융모막 검사(Chorionic villus sampling)
태아의 염색체를 대신할 수 있는 임신초기의 태반 조직 중 일부를 얻어서 염색체 이상을 알아보기 위한 검사법으로 임신 10주부터 12주사이에 시행한다. 양수천자 검사와 비교했을 때 다소 태아 손실률은 높으나 조기에 결과를 얻을 수 있는 장점이 있다.
⑻내진
Ⅰ.목적
-개대정도와 거상을 알기 위해서
-분만시작의 여부를 알기 위해서
-선진부가 의심스러울 때
-Station을 확실히 알지 못할 때
-분만 2기를 알기 위해서
ⅰ) 양수막의 상태 : 파열여부의 판정에 Nitrazine test응용
ⅱ) 자궁경관상태
가. 소실도 : 2cm 기준으로 평가 예) 50% = 1/2 소실
나. 개대정도 : 10cm=만개대
다: 위치 -posterior: 조산통 의심
ⅲ) 태위 및 선진부의 하강정도
ⅳ) 골반구조
ⅴ) 회음부 및 질의 탄력성 평가
추천자료
간호관리실습레포트-A대학병원
사회복지현장실습 - SOS 아동복지센터에서
사회복지현장실습 - SOS 프란치스카의 집에서
사회복지현장실습 - 사회복지법인 기아대책에서
간호학실습레포트-소화기내과(간병동) C바이러스 간암(C-Virus HCC) 환자 대상자
간호학 실습 - 신경외과 뇌수종(수두증) 대상자 실습 리포트
모성간호학실습
(기본간호)활력징후, 진단적검사
미숙아실 실습 checklist 실습내용과 이론적 근거, 관찰사항
간호실습 소화기 내과 췌두부암
소화기계 선행학습 (구조,기능, 하부위장관 내시경검사, L-tube) 사진포함
ICU(중환자실) 실습 전 학습내용 /실습내용/중환자실 장비,기구, 질환명 정의, CCU입원대상자...
간호과정 내과실습 간경화 LC (Liver cirrhosis)
간호학과케이스스터디실습레포트ppt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