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Admission Identification
(팔찌, 발도장 등)
· apgar score
· Wt. check
· Ht. check
· head cir. check
· vital sign check
· history taking
(gestational age estimation) ▶Assist with specimen
collection
· urine collect
· suprapubic puncture
- spinal fluid collection
- blood collection
· arterial pucture
· umbilical cath. regurgitation▶general hygiene
· eye care, eye drop
· bath
-partial bath
-complete bath
· umblical cord care▶medication
· oral medication
· I.V.
· Suppo
· apply▶incubator care
· 온도, 습도조절
· positioning
· feeding
· 청결 및 소독
▶feeding
· bottle
· gavage tube
· TPN
▶resictant
· mummy
· clove- hitch
· jacket
· 경정맥 채혈을 위한 억제법
· 대퇴동, 정맥 채혈을 위한 억제 법
▶enema
· saline enema
· batium enema
▶skin condition & care
· skin condition
-desquamation
-rash
-skin tugor
- color
(icteric, cyanotic, pale 등)
· skin care
- diaper rash
- icteric skin
- skin breakdown due
to plaster
▶respiration retraction
· substernal
· intercostal
· subcostal
· supraclavicle
▶depression
· substernal
· suprasternal
· dyspnea
· tachypnea
· See-saw respiration
▶respiratory care
· postural drainage
· percussion
· vibration
· positioning
· suction
- endotracheal
- oral&nasal
▶inhalation care
· oxygen supply
· oxyhood
· O2 flow meter
▶ventilator care
· setting check
- type
- mode C.R.R.
· humidification
· nebulization
· circuit sterilization
▶jaundice care
· 안대 apply
· bilirubin check
· photo therapy
· exchange transfusion
▶seizure
· tremor
· generalized seizure
· focal, micro seizure
▶crying
· moaning sound
· high pitched crying
▶resuscitation technique
· intubation
· keep air way
- position
- neck extension
· ambu bagging
· cardiac massage
· Pt. stimulation
▶monitoring
· E.K.G monitor
· O2 saturation monitor
(팔찌, 발도장 등)
· apgar score
· Wt. check
· Ht. check
· head cir. check
· vital sign check
· history taking
(gestational age estimation) ▶Assist with specimen
collection
· urine collect
· suprapubic puncture
- spinal fluid collection
- blood collection
· arterial pucture
· umbilical cath. regurgitation▶general hygiene
· eye care, eye drop
· bath
-partial bath
-complete bath
· umblical cord care▶medication
· oral medication
· I.V.
· Suppo
· apply▶incubator care
· 온도, 습도조절
· positioning
· feeding
· 청결 및 소독
▶feeding
· bottle
· gavage tube
· TPN
▶resictant
· mummy
· clove- hitch
· jacket
· 경정맥 채혈을 위한 억제법
· 대퇴동, 정맥 채혈을 위한 억제 법
▶enema
· saline enema
· batium enema
▶skin condition & care
· skin condition
-desquamation
-rash
-skin tugor
- color
(icteric, cyanotic, pale 등)
· skin care
- diaper rash
- icteric skin
- skin breakdown due
to plaster
▶respiration retraction
· substernal
· intercostal
· subcostal
· supraclavicle
▶depression
· substernal
· suprasternal
· dyspnea
· tachypnea
· See-saw respiration
▶respiratory care
· postural drainage
· percussion
· vibration
· positioning
· suction
- endotracheal
- oral&nasal
▶inhalation care
· oxygen supply
· oxyhood
· O2 flow meter
▶ventilator care
· setting check
- type
- mode C.R.R.
· humidification
· nebulization
· circuit sterilization
▶jaundice care
· 안대 apply
· bilirubin check
· photo therapy
· exchange transfusion
▶seizure
· tremor
· generalized seizure
· focal, micro seizure
▶crying
· moaning sound
· high pitched crying
▶resuscitation technique
· intubation
· keep air way
- position
- neck extension
· ambu bagging
· cardiac massage
· Pt. stimulation
▶monitoring
· E.K.G monitor
· O2 saturation monitor
본문내용
oto therapy
exchange transfusion
황달의 주요 치료는 광선 요법과 교환수혈이다. 광선 요법은신생아로부터 45~60cm 거리에서 이루어져야하며 노출을 극대화하기 위해 체위를 자주 변경한다. 안구 손상 예방을 위해 안대 착용하고 고환을 가려준다. 빌리루빈이 체외로 배출되면서 묽은 변이 있을 수 있다.
매일 빌리루빈 수치를 측정해야한다.
교환수혈의 목적은 혈액내 항체를 가지고 있는 적혈구와 빌리루빈을 제거하여 정상 혈액으로 바꾸어 줌으로써 빌리루빈의 독성효과를 예방하기 위함이다. 그 밖의 약물치료로 phenobarbital은 간에서 빌리루빈의 포합 및 배설을 증가시킨다.
빌리루빈 수치가 7mg/dl 이상일 때 치료적 처치를 한다.
거즈로 만든 소독된 안대를 눈에 부착시키고(반창고 부탁 부위 피부를 보호하기 위해 duodum을 먼저 부착 후 반창고를 붙이게 된다.) 기저귀를 채워서 생식기를 가려주고 나서 최대한의 부위에 광선이 쪼이도록 한다. 혈중 bilirubin을 매일 또는 필요할 경우 하루에도 수회 체크하며 정상으로 내려갈 때 까지 광선요법을 계속한다. 광선요법 시에는 열기로 인해 아기가 화상을 입지 않도록 40cm 이상 떨어진 곳에서 광선요법을 받도록 한다. 또한 hydration을 위해 수액요법과 빌리루빈 배출을 위해 Phenobarbital을 투여하고 있었으며 황달 치료를 하는 환아는 탈수, 부종, 발적 등의 피부 손상 증상이 있는지를 자주 관찰해 주어여 한다.
▶seizure
tremor
generalized seizure
focal, micro seizure
seizure는 근육 수축이 갑작스럽고 격렬하게 불수의적으로 발생함으로써 뇌에 있는 신경세포가 과도하게 흥분하는 것으로 간대성, 지속성, 국한적, 일측성 또는 양측성일 수 있다. 실습 기간 동안에는 관찰 할 수 없었다.
▶crying
moaning sound
high pitched crying
환아들은 기저귀가 젖어 있거나 배가고플 때, 필요한 처치(injection, 목욕)를 할 때, 열이 높을 때 울음소리를 내었다. 몇몇 신생아 (TTN)는 호흡 시 moaning sound(고양이 울음소리)를 내었고, fair crying, fair activity한 모습이 관찰되었다.
▶resuscitation technique
intubation
keep air way
- position
- neck extension
ambu bagging
cardiac massage
Pt. stimulation
호흡이 힘든 환아는 intubation tube를 삽입하고 있었으며 산소를 공급받고 있었다. 고개를 옆으로 누인 position을 취하고 있었으며 이는 기도로 이물질이 흡인되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서맥, 빈맥과 무호흡증상이 나타나면 우선 아기의 발을 톡톡 치거나 심장을 자극해 준다.
자극해서 정상으로 회복되지 않으면 목을 뒤로 젖혀서 숨을 쉬기 쉽도록 도와주고(기도 확보) ambu bagging을 해서 호흡이 돌아오도록 한다.
ambu-bagging 시 횟수를 너무 많이 하거나 힘을 주어 세게하면 호흡수가 갑자기 증가하거나 과다 환기가 될 수 있기 때문에 천천히 적당한 강도를 주어 실시하도록 해야 했다. ambu bagging을 해 주어도 SaO₂가 정상범위로 회복되지 않으면 Intubation을 실시하여 ventilator와 연결하여 인위적으로 압력을 주어 산소를 공급하게 된다.
cardiac massag는 심장정지 또는 심실제동 후 순환유지를 위해 손상되지 않은 흉벽을 통해 압박을 가하거나, 수술하는 동안 심장에 직접 반복적이고 율동적인 압박을 가하는 것이다.
▶monitoring
E.K.G monitor
O2 saturation monitor
EKG는 환아의 상태를 알 수 있는 가장 신속한 지표이며 Pulse, Raspiration, SaO2, BP가 표시되어있다. EKG는 심장, 상지, 대퇴 등에 팁이 부착되어있으며 이를 통해 모니터에 표시된다. 인큐베이터에 있는 대부분의 아기들은 EKG monitor와 SaO₂monitor를 달고 있다. 맥박 수나 호흡수 SaO₂(80-100%)가 정상범위를 벗어나게 되면 알람이 울려 신속하게 아기를 살펴볼 수 있도록 한다. 아이를 살펴볼 때 팁의 부착여부, chest retraction, 피부색 등을 확인하여 알람이 왜 울렸는지를 확인하고 이에 맞는 중재를 실시해야한다.
▣ 미숙아실 실습 checklist ▣
exchange transfusion
황달의 주요 치료는 광선 요법과 교환수혈이다. 광선 요법은신생아로부터 45~60cm 거리에서 이루어져야하며 노출을 극대화하기 위해 체위를 자주 변경한다. 안구 손상 예방을 위해 안대 착용하고 고환을 가려준다. 빌리루빈이 체외로 배출되면서 묽은 변이 있을 수 있다.
매일 빌리루빈 수치를 측정해야한다.
교환수혈의 목적은 혈액내 항체를 가지고 있는 적혈구와 빌리루빈을 제거하여 정상 혈액으로 바꾸어 줌으로써 빌리루빈의 독성효과를 예방하기 위함이다. 그 밖의 약물치료로 phenobarbital은 간에서 빌리루빈의 포합 및 배설을 증가시킨다.
빌리루빈 수치가 7mg/dl 이상일 때 치료적 처치를 한다.
거즈로 만든 소독된 안대를 눈에 부착시키고(반창고 부탁 부위 피부를 보호하기 위해 duodum을 먼저 부착 후 반창고를 붙이게 된다.) 기저귀를 채워서 생식기를 가려주고 나서 최대한의 부위에 광선이 쪼이도록 한다. 혈중 bilirubin을 매일 또는 필요할 경우 하루에도 수회 체크하며 정상으로 내려갈 때 까지 광선요법을 계속한다. 광선요법 시에는 열기로 인해 아기가 화상을 입지 않도록 40cm 이상 떨어진 곳에서 광선요법을 받도록 한다. 또한 hydration을 위해 수액요법과 빌리루빈 배출을 위해 Phenobarbital을 투여하고 있었으며 황달 치료를 하는 환아는 탈수, 부종, 발적 등의 피부 손상 증상이 있는지를 자주 관찰해 주어여 한다.
▶seizure
tremor
generalized seizure
focal, micro seizure
seizure는 근육 수축이 갑작스럽고 격렬하게 불수의적으로 발생함으로써 뇌에 있는 신경세포가 과도하게 흥분하는 것으로 간대성, 지속성, 국한적, 일측성 또는 양측성일 수 있다. 실습 기간 동안에는 관찰 할 수 없었다.
▶crying
moaning sound
high pitched crying
환아들은 기저귀가 젖어 있거나 배가고플 때, 필요한 처치(injection, 목욕)를 할 때, 열이 높을 때 울음소리를 내었다. 몇몇 신생아 (TTN)는 호흡 시 moaning sound(고양이 울음소리)를 내었고, fair crying, fair activity한 모습이 관찰되었다.
▶resuscitation technique
intubation
keep air way
- position
- neck extension
ambu bagging
cardiac massage
Pt. stimulation
호흡이 힘든 환아는 intubation tube를 삽입하고 있었으며 산소를 공급받고 있었다. 고개를 옆으로 누인 position을 취하고 있었으며 이는 기도로 이물질이 흡인되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서맥, 빈맥과 무호흡증상이 나타나면 우선 아기의 발을 톡톡 치거나 심장을 자극해 준다.
자극해서 정상으로 회복되지 않으면 목을 뒤로 젖혀서 숨을 쉬기 쉽도록 도와주고(기도 확보) ambu bagging을 해서 호흡이 돌아오도록 한다.
ambu-bagging 시 횟수를 너무 많이 하거나 힘을 주어 세게하면 호흡수가 갑자기 증가하거나 과다 환기가 될 수 있기 때문에 천천히 적당한 강도를 주어 실시하도록 해야 했다. ambu bagging을 해 주어도 SaO₂가 정상범위로 회복되지 않으면 Intubation을 실시하여 ventilator와 연결하여 인위적으로 압력을 주어 산소를 공급하게 된다.
cardiac massag는 심장정지 또는 심실제동 후 순환유지를 위해 손상되지 않은 흉벽을 통해 압박을 가하거나, 수술하는 동안 심장에 직접 반복적이고 율동적인 압박을 가하는 것이다.
▶monitoring
E.K.G monitor
O2 saturation monitor
EKG는 환아의 상태를 알 수 있는 가장 신속한 지표이며 Pulse, Raspiration, SaO2, BP가 표시되어있다. EKG는 심장, 상지, 대퇴 등에 팁이 부착되어있으며 이를 통해 모니터에 표시된다. 인큐베이터에 있는 대부분의 아기들은 EKG monitor와 SaO₂monitor를 달고 있다. 맥박 수나 호흡수 SaO₂(80-100%)가 정상범위를 벗어나게 되면 알람이 울려 신속하게 아기를 살펴볼 수 있도록 한다. 아이를 살펴볼 때 팁의 부착여부, chest retraction, 피부색 등을 확인하여 알람이 왜 울렸는지를 확인하고 이에 맞는 중재를 실시해야한다.
▣ 미숙아실 실습 checklist ▣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