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신 생 아 의 특 성
Ⅰ. 신생아의 정상적인 특성
1. 신생아의 전신소견
1) 피부
2) 머리
3) 흉부
4) 신경계반사
5) 위장계
Ⅱ. 신생아의 비정상적인 특성
․ 두혈종(cephalhematoma)
․ 한진(Miliaria)
․ 간찰진(Intertrigo)
․ 기저귀 발진(Diaper rash)
Ⅲ. 그 밖의 특성
․ 생리적 체중 감소(Physiologic Weight Loss)
․ 생리적 탈수(Physiologic Dehydration)
․ 생리적 황달(Physiologic Jaundice)
․ 아프가 점수(Apgar Score)
Ⅰ. 신생아의 정상적인 특성
1. 신생아의 전신소견
1) 피부
2) 머리
3) 흉부
4) 신경계반사
5) 위장계
Ⅱ. 신생아의 비정상적인 특성
․ 두혈종(cephalhematoma)
․ 한진(Miliaria)
․ 간찰진(Intertrigo)
․ 기저귀 발진(Diaper rash)
Ⅲ. 그 밖의 특성
․ 생리적 체중 감소(Physiologic Weight Loss)
․ 생리적 탈수(Physiologic Dehydration)
․ 생리적 황달(Physiologic Jaundice)
․ 아프가 점수(Apgar Score)
본문내용
bin이 증가하는 위험 요소는 산모의 당뇨, 인종 , 미숙아, 약물, 고도, 적혈구 증다증, 남성, 다운 증후군, 피부 멍, 두 개 혈종, 옥시토신 유도분만, 모유 수유, 체중감소, 배변 지연 등이다. 특시 bilirubin치는 인종에 따라 상당한 차이를 나타내고 있으며, 백인의 정상치를 동양인에서 그대로 적용하기는 어렵다.
만삭아에서는 생후 약 10-14일째에 간접 bilirubin치가 성인치인 1mg/dl까지 떨어진다. 생 후 2주 이상까지 지속되는 간접 고bilirubin혈증인 경우 용혈, 유전적 glucuronyl transfera-se 결핍, 모유 황달, 갑상선 기능 저하증, 또는 장관 폐쇄를 의심할 수 있다. 유문 협착 시에는 칼로리 부족, 간 UDP-glucuronyl transferase 결핍, 또는 장 운동마비에 의한 bilirubin의 장간 순환의 증가로 황달이 발생한다. 미숙아에서 혈청 bilirubin의 증가는 만삭아와 비숫할 수 있으나 약간 늦게 나타나 오래 지속되어 생후 5일에서 7일 사이에 최고 치인 8-12mg/dl이에 이르며 10일이후에는 거의 황달을 관찰할 수 없다. 미숙아가 빌리루 빈대사 및 배설 기전이 성숙해지는데 걸리는 시간에 황달의 지속 기간이 달라질 수 있다.
만삭아와 미숙아에서 생리적 황달의 진단은 기왕력, 임상적 그리고 검사적 소견을 기초 로 하여 다른 원인이 되는 황달을 배제함으로써 내려질 수 있다. 일반적으로 반드시 황달 의 원인을 찾아야 하는 사항으로는 (1) 첫 24시간 내에 발생하였을 때, (2) 혈청 bilirubin 이 5mg/dl/24hr 이상의 비율로 상승할 때, (3) 위험요소가 없는 상황에서 만삭아가 12mg/dl 이상의 혈청 bilirubin치를 보이거나 미숙아에서 10-14mf/dl 이상일 때, (4) 황달이 2주이상 지속할 때, (5) 시기를 막론하고 직접형 bilirubin이 1mg/dl 이상일 때이다. 비생 리적 황달을 시사하는 다른 요인들로는 용혈성 질환의 가족력, 창백, 간비대, 비장비대, 낮 은 bilirubin치에 대한 photo therapy 실패, 구토, 기면성, 잘 못먹음, 과도한 체중감소, 무호흡, 서맥, 저체온 같은 활력 증후 이상, 밝은 색의 대변, 짙은 소면, bilirubin 양성, 핵황달 의 증후들이 있다.
아프가 점수(Apgar Score) : 신생아의 가사상태를 표현하는 점수이고 1953년 미국의 아 프가에 의해 제안된 것이다. 생후 1분간의 심박수 호흡 근긴장 반사 피부색의 5가지징후 에 대해서 그 정도에 따라 각 항목에 0,1,2점의 3단계 점수를 붙여서 합계하고 그 점수에 의해서 신생아의 가사상태를 평가하는 것이다.
증상 / 점수
0
1
2
심박수
없음
<100
>100
호흡노력
없음
느리거나 불규칙
양호, 잘움
자극에 대한 반응
반응 없음
얼굴을 찡그림
기침, 재채기 함
근력
늘어져 있음
사지를 야간 굴곡
활발히 웁직임
피부색
청색 또는 창백
몸통은 분홍색, 손발은 청색
전신이 분홍색
신생아의 자궁외 생활에 대한 최초의 적응을 사정하기 위해 가장 흔히 사용되는 방법이 다. 출생 1분과 5분후에 평가하며 영아상태가 안정될 때까지 반복한다.
해석 : 5가지 항목에 대해 총점이 0-3점이면 적응에 심한 곤란이 있음을 나타내고 4-6점 이면 중정도의 곤란, 7-10점이면 어려움이 없는 것을 의미한다.
- 참고문헌 -
소아과학 홍창의 (1997) 대한교과서(주)
아동간호학Ⅰ 조결자외 7인 (1997) 현문사
임상아동간호학 권인수외 8인 (1997) 수문사
소아과 진료 홍창의 (1993) 고려의학
간호학대사전 대한간호학회 (1996) 한국사전연구사
만삭아에서는 생후 약 10-14일째에 간접 bilirubin치가 성인치인 1mg/dl까지 떨어진다. 생 후 2주 이상까지 지속되는 간접 고bilirubin혈증인 경우 용혈, 유전적 glucuronyl transfera-se 결핍, 모유 황달, 갑상선 기능 저하증, 또는 장관 폐쇄를 의심할 수 있다. 유문 협착 시에는 칼로리 부족, 간 UDP-glucuronyl transferase 결핍, 또는 장 운동마비에 의한 bilirubin의 장간 순환의 증가로 황달이 발생한다. 미숙아에서 혈청 bilirubin의 증가는 만삭아와 비숫할 수 있으나 약간 늦게 나타나 오래 지속되어 생후 5일에서 7일 사이에 최고 치인 8-12mg/dl이에 이르며 10일이후에는 거의 황달을 관찰할 수 없다. 미숙아가 빌리루 빈대사 및 배설 기전이 성숙해지는데 걸리는 시간에 황달의 지속 기간이 달라질 수 있다.
만삭아와 미숙아에서 생리적 황달의 진단은 기왕력, 임상적 그리고 검사적 소견을 기초 로 하여 다른 원인이 되는 황달을 배제함으로써 내려질 수 있다. 일반적으로 반드시 황달 의 원인을 찾아야 하는 사항으로는 (1) 첫 24시간 내에 발생하였을 때, (2) 혈청 bilirubin 이 5mg/dl/24hr 이상의 비율로 상승할 때, (3) 위험요소가 없는 상황에서 만삭아가 12mg/dl 이상의 혈청 bilirubin치를 보이거나 미숙아에서 10-14mf/dl 이상일 때, (4) 황달이 2주이상 지속할 때, (5) 시기를 막론하고 직접형 bilirubin이 1mg/dl 이상일 때이다. 비생 리적 황달을 시사하는 다른 요인들로는 용혈성 질환의 가족력, 창백, 간비대, 비장비대, 낮 은 bilirubin치에 대한 photo therapy 실패, 구토, 기면성, 잘 못먹음, 과도한 체중감소, 무호흡, 서맥, 저체온 같은 활력 증후 이상, 밝은 색의 대변, 짙은 소면, bilirubin 양성, 핵황달 의 증후들이 있다.
아프가 점수(Apgar Score) : 신생아의 가사상태를 표현하는 점수이고 1953년 미국의 아 프가에 의해 제안된 것이다. 생후 1분간의 심박수 호흡 근긴장 반사 피부색의 5가지징후 에 대해서 그 정도에 따라 각 항목에 0,1,2점의 3단계 점수를 붙여서 합계하고 그 점수에 의해서 신생아의 가사상태를 평가하는 것이다.
증상 / 점수
0
1
2
심박수
없음
<100
>100
호흡노력
없음
느리거나 불규칙
양호, 잘움
자극에 대한 반응
반응 없음
얼굴을 찡그림
기침, 재채기 함
근력
늘어져 있음
사지를 야간 굴곡
활발히 웁직임
피부색
청색 또는 창백
몸통은 분홍색, 손발은 청색
전신이 분홍색
신생아의 자궁외 생활에 대한 최초의 적응을 사정하기 위해 가장 흔히 사용되는 방법이 다. 출생 1분과 5분후에 평가하며 영아상태가 안정될 때까지 반복한다.
해석 : 5가지 항목에 대해 총점이 0-3점이면 적응에 심한 곤란이 있음을 나타내고 4-6점 이면 중정도의 곤란, 7-10점이면 어려움이 없는 것을 의미한다.
- 참고문헌 -
소아과학 홍창의 (1997) 대한교과서(주)
아동간호학Ⅰ 조결자외 7인 (1997) 현문사
임상아동간호학 권인수외 8인 (1997) 수문사
소아과 진료 홍창의 (1993) 고려의학
간호학대사전 대한간호학회 (1996) 한국사전연구사
추천자료
신생아 간호력 & 신생아 건강사정
미숙아, 호흡곤란 증후군(=초자양막질환 , RDS), 패혈증, 미숙아 망막증, 태변 흡입 증후군, ...
정상신생아 간호-신생아실
신생아실 실습후 ..신생아에 대한 모든것/ 신생아 간호
신생아 고위험신생아 미숙아 NR 신생아실 케이스
[영아발달 보육] 태아와 신생아 발달 - 유전과 태아발달, 환경과 태아발달, 신생아의 반사행...
[아동간호실습] 신생아실 케이스 신생아 TTN 일과성빈호흡 - 신생아 일과성 빈호흡 (Transien...
[출산 및 신생아기 발달] 출산과정과 출산시 발생하는 문제, 신생아의 측정방법과 신생아기 ...
1. 죽음을 앞둔 아동과 의사소통 할 때 유념해야 할 점들을 아동의 발달 단계별로 논하시오 2...
[피부노화] 피부노화 원인, 특징, 피부노화 예방 및 관리 - 피부노화 원인, 예방, 관리 방법
1. 고위험 신생아의 영양 2. 고위험 신생아의 발달 간호 3. 고위험 신생아의 비외상성 간호
정상신생아, 고위험신생아
[신생아발달] 신생아기 신체발달 및 운동능력발달, 신생아 김각기관(청각,촉각,시각,미각,후...
[신생아발달] 신생아기 두뇌성장과 반사운동, 신생아기 감각능력 발달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