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소화기계의 구조와 기능
2.하부위장관 내시경검사
3.Levin tube(L-tube)
4.참고문헌
2.하부위장관 내시경검사
3.Levin tube(L-tube)
4.참고문헌
본문내용
막힘 방지위한 방법
60mL 주사기 이용하여 약물 주입 전, 중, 후 물 30mL 주입
대상자 체위변경
물 주입하거나 흡입
*비위관 제거
대상자를 반좌위로 취하게 한 후 대상자 가슴에 수건을 펴 놓은 후 위관을 잠금
대상자에게 숨을 깊이 들이마시게 한 상태에서 한 번에 중간 속도로 위관을 뽑음
제거 후 비강과 구강간호 실시함
*기록: 제거된 튜브 종류, 대상자 반응, 배액과 양의 양상, 비강과 비인두 상태
비위관 배액시 유의점
튜브 삽입이 용이하도록 입으로 숨을 삼키도록 교육함
시행 중 구역질과 목 부위 불편감이 있을 수 있다고 설명함
삽입 시 체위: 목을 뒤로 젖힌 채 좌위
인두를 지날 때는 고개를 약간 앞으로 숙이면 기도가 좁아지고 식도가 넓어져 삽입이 용이함
무의식 환자는 가능하면 오른쪽으로 측위를 취하거나 머리를 옆으로 돌려줌
금기: 구개반사, 기침반사 없는 환자 why)튜브가 폐로 잘못 들어갈 수 있으므로
위관
영양법
영양액의 날짜와 내용을 확인
영양액의 온도를 체온과 동일하도록 따뜻한 물에 데우거나 실온에 잠시 두었다 주입함
⇒오한과 복부경련 예방
반좌위나 좌위를 취해준다. ⇒영양액의 역류를 방해하기 위해
삽입된 튜브의 위치를 확인한다.
영양액 주입 전 위 잔류랑을 측정하여 100cc 이상이면 30분 정도 기다린 후 다시 확인한다. dr.보고
영양액 주입 전 물 20~30mL를 흘려보내 튜브가 막혔는지 확인한다.
⇒주사기를 이용해 약물 주입 전, 중, 후 물을 주입(관 막힘 방지)
영양액을 주입할 때 내용물이 비워지기 전 튜브를 꺾어 쥐고 공기가 들어가는 것을 방지한다.
영양액의 높이를 30cm 이상 올리지 않는다.⇒중력에 의해 천천히 들어가도록 함
영양액 주입 후 30~60cc의 물을 주입하여 위관을 씻어내림
⇒모든 영양액이 위장으로 주입되도록 하며, 영양액이 튜브 안에서 발효되거나 응고되는 것을 방지하며, 체액 균형을 위한 수분 공급
물이 모두 주입되면 튜브를 막아둠⇒공기주입 방지
주입 후 최소 30~60분간 침대머리를 높여준다⇒역류방지
4.참고문헌
-소화기계 구조와 기능-
김금순 외, 일곱째판 성인간호학 Ⅰ, 수문사, 2013, 381~389쪽
우원홍 외, 인체 해부학, 한미의학, 2012, 507쪽
성인간호학 및 실습 이론수업 프린트물
네이버 건강
http://health.naver.com/medical/bodyOrgan/detail.nhn?selectedTab=detail&bodyOrganCode=CA000069&isGroup=N&move=con5
소화기계 이미지: http://cafe.naver.com/zangganet/3552
-하부위장관 내시경 검사-
남울산보람병원 http://onsan.imc-boram.co.kr/Clinic/index_D.html
김정애 외, 진단적 검사와 간호, 수문사, 2013, 219~222쪽
-Levin tube-
손정태 외, 기본간호학 실습, 현문사, 2012, 282~295쪽
손정태 외, 기본간호학Ⅱ, 현문사, 2012, 553~558쪽
기본간호학 이론수업 프린트물
60mL 주사기 이용하여 약물 주입 전, 중, 후 물 30mL 주입
대상자 체위변경
물 주입하거나 흡입
*비위관 제거
대상자를 반좌위로 취하게 한 후 대상자 가슴에 수건을 펴 놓은 후 위관을 잠금
대상자에게 숨을 깊이 들이마시게 한 상태에서 한 번에 중간 속도로 위관을 뽑음
제거 후 비강과 구강간호 실시함
*기록: 제거된 튜브 종류, 대상자 반응, 배액과 양의 양상, 비강과 비인두 상태
비위관 배액시 유의점
튜브 삽입이 용이하도록 입으로 숨을 삼키도록 교육함
시행 중 구역질과 목 부위 불편감이 있을 수 있다고 설명함
삽입 시 체위: 목을 뒤로 젖힌 채 좌위
인두를 지날 때는 고개를 약간 앞으로 숙이면 기도가 좁아지고 식도가 넓어져 삽입이 용이함
무의식 환자는 가능하면 오른쪽으로 측위를 취하거나 머리를 옆으로 돌려줌
금기: 구개반사, 기침반사 없는 환자 why)튜브가 폐로 잘못 들어갈 수 있으므로
위관
영양법
영양액의 날짜와 내용을 확인
영양액의 온도를 체온과 동일하도록 따뜻한 물에 데우거나 실온에 잠시 두었다 주입함
⇒오한과 복부경련 예방
반좌위나 좌위를 취해준다. ⇒영양액의 역류를 방해하기 위해
삽입된 튜브의 위치를 확인한다.
영양액 주입 전 위 잔류랑을 측정하여 100cc 이상이면 30분 정도 기다린 후 다시 확인한다. dr.보고
영양액 주입 전 물 20~30mL를 흘려보내 튜브가 막혔는지 확인한다.
⇒주사기를 이용해 약물 주입 전, 중, 후 물을 주입(관 막힘 방지)
영양액을 주입할 때 내용물이 비워지기 전 튜브를 꺾어 쥐고 공기가 들어가는 것을 방지한다.
영양액의 높이를 30cm 이상 올리지 않는다.⇒중력에 의해 천천히 들어가도록 함
영양액 주입 후 30~60cc의 물을 주입하여 위관을 씻어내림
⇒모든 영양액이 위장으로 주입되도록 하며, 영양액이 튜브 안에서 발효되거나 응고되는 것을 방지하며, 체액 균형을 위한 수분 공급
물이 모두 주입되면 튜브를 막아둠⇒공기주입 방지
주입 후 최소 30~60분간 침대머리를 높여준다⇒역류방지
4.참고문헌
-소화기계 구조와 기능-
김금순 외, 일곱째판 성인간호학 Ⅰ, 수문사, 2013, 381~389쪽
우원홍 외, 인체 해부학, 한미의학, 2012, 507쪽
성인간호학 및 실습 이론수업 프린트물
네이버 건강
http://health.naver.com/medical/bodyOrgan/detail.nhn?selectedTab=detail&bodyOrganCode=CA000069&isGroup=N&move=con5
소화기계 이미지: http://cafe.naver.com/zangganet/3552
-하부위장관 내시경 검사-
남울산보람병원 http://onsan.imc-boram.co.kr/Clinic/index_D.html
김정애 외, 진단적 검사와 간호, 수문사, 2013, 219~222쪽
-Levin tube-
손정태 외, 기본간호학 실습, 현문사, 2012, 282~295쪽
손정태 외, 기본간호학Ⅱ, 현문사, 2012, 553~558쪽
기본간호학 이론수업 프린트물
키워드
추천자료
갑상선자극호르몬 (TSH, Thyroid Stimulating Hormo)
중증 장애아의 배변관리
위암 case study(간호과정적용)
골관절염 케이스 스터디(OA)
stomach ca. case
보건교육안
음식물의 소화흡수
총담관결석 CASE (Common Bile Duct stone) 진단3개
[성인간호학] Chapter 14. 신장·요로계 건강문제와 간호
천식성_기관지염
[간호학 임상 CASE] 직장암 (rectal cancer)
배뇨곤란과 관련한 의학적 검토
위절제술의 과정과 간호 - 수술 간호실습 (수술실 / 회복실).pptx
간경변증 진단과 치료 A++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