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뇨병에 관한 문헌고찰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당뇨병의 원인
2.당뇨병의 종류
3.당뇨병 선별 검사 및 진단
4.당뇨병의 치료
5.당뇨병의 합병증
7.인슐린의 기능
8.글루카곤 분비,기능
9.자가관리법

본문내용

가 난후 48시간 안에 치유되지 않으면 병원을 방문하도록 한다.
♧ 자가관리법
1) 자가혈당 측정
당뇨병 치료의 목적은 합병증을 예방하고 건강하게 삶을 사는 것이다, 그러기 위해서는 무 엇보다도 정상에 가까운 혈당을 유지해야 한다.
자가혈당검사는 섭취한 음식량,운동량,스트레스에 의해 변화되는 혈당을 점검 및 관찰하여 혈당관리를 보다 잘 하기 위한 방법이다.
<자가혈당 측정이 반드시 필요한 분>
혈당 변동이 너무 심한 분
인슐린 주사나 경구용 혈당 강하제를 드시는 분
임신성 당뇨나 당뇨병환자가 임신한 경우
저혈당 증상을 잘 느끼지 못하는 분
--
다른 질환을 가지고 있는 분
근무시간이나 식사시간이 불규칙한 분
당뇨병 합병증이 생긴 분
(1) 혈당 측정법
①혈당검사에 필요한 물품을 준비하고 먼저 시험지의 유효 기간을 확인한다.
흐르는 물에 손을 비누로 깨끗이 닦고 말리거나 알코올로 소독한 경우는 완전히 마른 다 음에 실시한다.
②손을 따뜻하게 하고 약10~15초 동안 아래로 떨군 후 채혈하려는 손가락의 끝 방향으로 압박을 주면서 밀어주어 피가 모이도록 한다.
③이때 기계를 켜고 검사용 시험지와 혈당기의 번호가 일치하는지 확인한다.
④검사용 시험지를 삽입홈에 깊숙이 끼우고 나서 손가락의 가장자리에서 패혈(가운데 찌르 는 것보다 통점이 덜함)한다.
⑤손끝의 가장자리를 찌른 후 피(큰 피1방울 정도만)가 충분히 나오도록 손가락을 심장보 다 낮추어서 살짝 손끝을 누른다.
⑥화면에 혈액을 떨어뜨리라는 표시가 나오면 시험지 반응 부위에 충분한 양의 혈액을 떨 어뜨린다.
⑦ 결과를 기다린다.
⑧당뇨수첩에 기록한다.
당뇨 수첩은 당뇨병 관리를 위해 검사한 혈당 측정수치와 처방 받은 인슐린 및 경구용 혈당 강하제의 종류와 용량,체중과 혈압을 기록한다.
(2) 당뇨병 환자에서의 혈당조절의 지표
지표(mg/dl)
정상
목표
조절 안됨
전혈검사
평균 식전 혈당
평균 취침시 혈당
〈100
〈100
80~120
100~140
〈80, 〉140
〈100, 〉160
혈장검사
평균 식전 혈당
평균 취침시 혈당
〈100
〈120
90~130
110~150
〈90, 〉150
〈110, 〉180
HbA₁C(%)
6%
8%
10%
(미국당뇨병학회, 2001년)
(3) 혈당검사 측정 시간
아침 식전, 점심 식전, 저녁 식전, 취침 전, 매 식후 2시간, 새벽3시
(4) 혈당검사 빈도
--
당뇨병의 종류
조절방법
검사빈도
제1형 당뇨병
인슐린 요법
4회/일 또는 3회/주
매 식전과 잠자기전
제 2형 당뇨병
식사요법
운동요법
1~2회/주
아침식전 혹은 식후 2시간
경구혈당강하제
2회/일
아침 식전과 다양한 시간대
인슐린 요법
2~4회/일
아침식전과 다양한 시간대
<교육보고서>
2) 발관리
건강한 발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매일 한번씩 발의 상태를 점검하고 발위생과 보호에 특별한 관심을 가져야한다.
혈당조절이 불량하면

혈관 손상과 말초신경의 손상 가능성이 높아진다.

발의 외상→발의 궤양

절단
(1) 발관리의 중요성
① 혈관 손상
혈액이 끈적해지고 혈관에 찌거기와 같은 지방 덩어리가 붙어 혈액 순환을 방해하는데 이는 산소와 영양분, 노폐물을 제거하는 데 장애가 된다.
② 말초신경의 손상
감각, 자율신경과 운동신경의 손상은 발의 보호감각을 상실시키고, 피부가 건조하게 되 며, 발근육의 위축과 발모양의 변형을 가져온다.
(2) 일반적인 발관리 방법
① 발씻기와 말리기
매일 발을 깨끗이 닦는다.
발가락 사이까지 잘 말린다.
발을 10분 이상 물에 담그지 않도록 한다.
미지근한 물에 순한 비누를 사용한다. 너무 뜨거운 물은 화상 위험이 있으며 발을 오 랫동안 물에 담가두면 피부를 지나치게 건조하게 한다.
② 발톱자르기
--
발톱은 너무 짧거나 길지 않게 일자로 자르고 날카로운 부분은 줄로 다듬어 준다.
발톱이 파고 든다고 가장자리를 파는 것은 금지해야 하며 병원에서 적절한 치료를 받아 야 한다.
③ 피부관리
피부 건조를 방지하기 위해 로션이나 크림을 바른다.
발가락 사이는 바르지 않는다.
피부가 습하면 베이비 파우더를 이용한다.
건조되고 갈라진 피부는 미생물의 통로로 감염의 원인이 된다.
크림은 더 오래 수분유지가 가능하다.
알콜이 함유된 로션은 사용을 금지한다.
발꿈치를 중점적으로 발바닥, 발등에 로션을 바른다.
④ 양말의 선택
면이나 모혼방 양말로 압력을 줄일 수 있는 것을 선택한다.
너무 조이는 밴드, 솔기나 박음선이 없는 양말을 선택한다.
나일론 제품은 통풍이 안되므로 스타킹은 피한다.
⑤ 신발의 선택
잘 맞는 편안한 신발을 신는다.
새 신을 신을 때는 2시간 이상 신지 말아야 한다.
굽의 높이: 3cm정도 이하
신발의 크기: 가장 긴 발가락 보다 1cm정도 크고 0.5cm정도 폭이 큰 신발
신발 구입: 오후에 발이 부운 상태에 있을 때 구입
신발의 종류: 발가락과 발등이 편한 볼이 넓은 신발, 운동화, 특수제작된 신발
신발의 소재: 부드럽고 통기성이 있는 가죽제품으로 신발 안창은 부드럽고 솔기가 없 는 것으로 구입
새 신발을 신을 때는 매일 30분 정도씩 신는 시간을 늘려 적응한 후 신는다.
(3) 발의 피부 상태 관찰하기
① 발바닥, 발등, 발가락 사이의 피부가 갈라지지는 않았는가?
② 못이나 핀으로 찔린 상처가 있는가?
③ 티눈이나 굳은살은 없는가?
④ 발톱이 갈라지거나 두꺼워지지는 않았는가?
⑤ 발톱이 살을 파고 들지는 않았는가?
⑥ 발가락이나 발의 색이 푸르스름하게 변하지는 않았는가?
(4) 혈액순환 개선법
① 굽이 높거나 너무 조이는 신발을 피함
② 금연
--
③ 편한 속옷 착용
④ 다리를 꼬고 앉지 앉도록
⑤ 규칙적으로 하루 3~4회 발운동(예: 걷기, 스트레칭, 자전거타기 등)
(5) 보호법
① 뜨거운 물주머니, 전기 담요 등이 직접 피부에 닿지 않도록
② 발을 10분 이상 물 속에 담그지 않도록
③ 여름날 백사장을 맨발로 걷지 않도록
④ 차가운 얼음주머니를 직접 피부에 닿지 않도록
(6) 병원 방문이 필요한 경우
① 고열, 통증감각이 둔화된 경우
② 티눈, 굳은살 부위가 부어오르고, 악취를 동반한 분비물이 동반될 때
③ 발톱이 파고 드는 경우
④ 발이나 다리의 색깔 변화가 있을 때

키워드

  • 가격1,000
  • 페이지수10페이지
  • 등록일2008.01.04
  • 저작시기2007.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4573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