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영화와 언어 그리고 언어의 본질
2. 세계의 언어와 문자
3. 언어와 컴퓨터
4. 음성학과 음운론
5. 형태론과 통사론
6. 의미론과 화용론
7. 언어와 사회
8. 사전과 어휘 데이터베이스
9. 번역의 어려움
10. 외래어 표기
2. 세계의 언어와 문자
3. 언어와 컴퓨터
4. 음성학과 음운론
5. 형태론과 통사론
6. 의미론과 화용론
7. 언어와 사회
8. 사전과 어휘 데이터베이스
9. 번역의 어려움
10. 외래어 표기
본문내용
동무\'와 \'벗\'이라는 순수 우리말이 정겹다. \'벗\'은 다소 형식적이며, \'동무\'는 북한에서 특수한 이데올로기를 가지고 이 말을 사용했기 때문에 남한에서는 이 말을 피하고 친구로 대신하는 경우가 많았다. 영화『무사』의 후반에 주인공이 수많은 적들을 향해 승산 없는 마지막 돌진을 하는 장면이 있다. 70년대의 영화『내일을 향해 쏴라』의 마지막 장면과 흡사하다. 총이나 활은 \'쏘고\', 칼이나 창은 \'휘두른다\'. 이와 같이, 단어의 자연스러운 결합 현상을 언어학적 용어로 연어(연속된 단어들이라는 뜻)라는 말로 부른다. 『불후의 명작』에서 \'불후\'라는 말에 대하여 사전을 찾아보면 \'썩지 아니함\' \'닳아 없어지지 아니함\'의 뜻을 가진다. 용례는 모두가 \'불후의\'의 형식으로 쓰인다. 『박하사탕』에서 \'사탕\'은 설탕성분을 뜻하기도 하고, 고형의 사탕을 뜻하기도 한다. 박하사탕처럼 합성어를 찾아보면 총 28개의 항목이 있다. 이 중에서 뱀탕을 가리키는 생사탕, 누에고치를 삶아 낸 물을 나타내는 소사탕은 단맛과 관련이 없다. 영화『취화선』에서 화가는 이전에 이룬 것에 만족하지 못하고 계속 새로운 것을 추구하기 위하여 방랑한다. 화가의 그림은 대상을 그대로 옮긴 사진이 아니다. 어떤 의미에서는 현실을 초원한 아름다움이다. 그래서 \'그림같다\'는 말을 쓴다. 그림의 긍정적인 뜻을 다소 폄하하는 \'그림 좋다\'는 말이 있다. 진정으로 그림이 실제보다 못함을 나타내는 \'그림의 떡\'이란 말도 있다. 『여왕마고』는 온통 피로 물들은 영화이다. \'피\'가 들어가는 많은 관용어들이 있다. \'피가 피를 부르다\', \'피가 켕기다\', \'피를 보다\' 등등. \'피\'와 \'혈액\'은 비슷한 말이지만 관용어는 형액으로 대체해서 사용하면 어색하다.
9. 번역의 어려움
영화『패스워드』의 제목이 왜 패스워드일까? 영화의 제작자는 M/S의 독점먹인 지위라는 현실에 대한 풍자를 취지로 \'antitrust\'라는 제목을 붙였다. \'trust\'는 같은 업종의 기업이 경쟁을 피하고 보다 많은 이익을 얻을 목적으로 자본에 의해 결합한 독점형태를 말한다. 따라서 영화 제목을 \'반독점\'이라고 번역할 수 있다. 『라이언 일변 구하기』는 외국 영화의 영화 제목을 발음대로 옮겨놓는 잘못된 관행에서 다른 모습을 보여준다. 충실하고 적절한 영화 제목을 제시함으로써 영화의 방향을 이해하게 한다. 영화『퍼팩트 스톰』중에 술집에서 대화 중에 한 사람이 술집에서 사투리를 쓴다. 자막은 \'돼써요\'라는 말이 나왔다. \'됐어요\'와 \'돼써요\'의 발음은 거의 같다. 이 번역은 철자에 의존한 말놀이에 불과하다. 『글래디에이터』는 뜻을 이해하기 힘든 외국어 제목을 그대로 사용한다. \'gladiator\', 즉 검투사를 말한다. 어떤 효과가 있는지 그리고 그것이 바람직한 것인지는 생각해 볼 필요가 있다. 『나라야마 부시코』의 제목을 생각해 보면, 나랴야마는 \'나라산\'임을 알겠는데, \'부시코\'는 무엇인지 모르겠다. \'나라야마의 노래\', \'나라야마의 애가(哀歌)\'가 적절하다. 대체로 인본 영화나 중국 영화의 제목은 번역없이 제목 원제목 그대로 제시하는 경향이 있는데, 뜻뿐만 아니라 어떻게 읽어야 하는지도 모르는 한자어가 그대로 표기되는 일도 비일비재하다. 『춤수는 대수사선』이라는 제목도 이해하기 힘들다. \'춤추는\'에 해당하는 일본어 표현이\'갈팡질팡\' 혹은 \'오리무중\'과 같다고 한다. \'대수사선\'이란 말도 쓰이지 않는다. 우리말에서는 대신 \'수사망\'이라는 말이 쓰인다. 『돈 세이 워드』의 원제목은 \'don\'t say a word\'이다. \'t\'는 발음이 약하지만 존재하는 발음이다. 즉 \'돈\'보다는 \'돈트\'가 표기법에 맞다. 또 \' 세이 어 워드\'로 발음 되어야 하고 또 그렇게 적어야 한다. 관사가 아무리 약하게 발음된다고 해도 그것은 분명히 존재한다.
10. 외래어 표기
『텔미 썸딩』의 \'썸딩\'은 이 무엇인가? \'something\'에서 \'s\'소리와 \'th\'는 모두 \'ㅅ\'으로 적게 되어있다. 따라서 \'섬싱\'이라고 적어야 한다. 영화『빌리 엘리어트』의 배경이 되는 영국 북부 지역은 영국 표준어인 RP와는 상당히 다른 영어를 들려준다. \'Monday\'는 \'몬디\'로 발음되고, 배경 지역의 이름은 \'Durham\'인데 \'더럼\'으로 발음한다. 영화『쉘 위 댄스』의 제목에서 \'Shall\'은 외래어 표기법에 따르면 \'섈\'로 적어야 하며, \'쉘\'이라고 표기하는 영어 단어는 없다. 고유명사를 원어 발음에 충실하게 표기하는 원칙에 따른다면 영화 제목은 일본 발음 대로 \'샤르 위 단스\'가 맞다. 『쇼생크 탈출』은 외래어 표기법에 따라 \'쇼섕크\'가 맞다. 『로키 호러 픽쳐 쇼』에서 \'픽쳐\'는 외래어 표기법에 맞지 않는다. 영어의 파찰어 표기 규정에 의해 \'픽처\'로 적어야 한다. \'호러\'도 영국식 발음을 기반으로 한 표기이고, 미국식 발음을 기반으로 하며 \'하러\'가 된다.
느낀점
언어의 다양한 측면들을 영화를 통해 살펴봄으로써 흥미를 유발하고, 적절한 예를 통해 이해를 돕고자 한 것은 이 책의 장점이라 할 만 하다. 이는 \'언어\'에 대해 관심을 갖도록 하기위해 일반 독자를 대상으로 쓴 책으로는 훌륭하다는 것이다. 그러나 너무 많은 것을 언급하기 위해 \'수박 겉핥기\'식의 집고 넘어가는 정도의 설명은 아쉬움이 남는다. 오히려 심화된 설명은 흥미를 잃게 하므로 이 책의 목적(영화를 통해 언어를 설명함으로써 언어에 흥미를 갖게 하는 것)은 실패 하게 되었을 것이다.
\'언어\'를 전공하는 학생으로서 일반 대중을 대상으로 \'언어\'에 대한 관심과 흥미를 주목시키기 위한 시도는 중요하다. 자기 연구에만 심취하여 대중문화와 등지는 학문은 사양길로 접어들게 될 것이기 때문이다. 현재, 기초학문이 바로 그 길에 서 있다. 대중문화의 핵심인 영화와 함께 언어학을 발전시키는 것은 좋은 시도라 할만하다. 이미 다른 기초학문인 철학은 영상철학이라는 분야를 개척하여, 바쟁, 보드리, 매츠 같은 세계적인 영화 철학자들을 배출하는 단계에 까지 이르렀다. 언어학도 영화를 새로운 발로로 삼아 도약할 수 있다고 생각한다. 단순히 영화 제목을 분석하여 표기가 맞다, 그르다 정도를 벗어나 심화된 \'영상언어학\'장르의 개척을 해야 할것이다.
9. 번역의 어려움
영화『패스워드』의 제목이 왜 패스워드일까? 영화의 제작자는 M/S의 독점먹인 지위라는 현실에 대한 풍자를 취지로 \'antitrust\'라는 제목을 붙였다. \'trust\'는 같은 업종의 기업이 경쟁을 피하고 보다 많은 이익을 얻을 목적으로 자본에 의해 결합한 독점형태를 말한다. 따라서 영화 제목을 \'반독점\'이라고 번역할 수 있다. 『라이언 일변 구하기』는 외국 영화의 영화 제목을 발음대로 옮겨놓는 잘못된 관행에서 다른 모습을 보여준다. 충실하고 적절한 영화 제목을 제시함으로써 영화의 방향을 이해하게 한다. 영화『퍼팩트 스톰』중에 술집에서 대화 중에 한 사람이 술집에서 사투리를 쓴다. 자막은 \'돼써요\'라는 말이 나왔다. \'됐어요\'와 \'돼써요\'의 발음은 거의 같다. 이 번역은 철자에 의존한 말놀이에 불과하다. 『글래디에이터』는 뜻을 이해하기 힘든 외국어 제목을 그대로 사용한다. \'gladiator\', 즉 검투사를 말한다. 어떤 효과가 있는지 그리고 그것이 바람직한 것인지는 생각해 볼 필요가 있다. 『나라야마 부시코』의 제목을 생각해 보면, 나랴야마는 \'나라산\'임을 알겠는데, \'부시코\'는 무엇인지 모르겠다. \'나라야마의 노래\', \'나라야마의 애가(哀歌)\'가 적절하다. 대체로 인본 영화나 중국 영화의 제목은 번역없이 제목 원제목 그대로 제시하는 경향이 있는데, 뜻뿐만 아니라 어떻게 읽어야 하는지도 모르는 한자어가 그대로 표기되는 일도 비일비재하다. 『춤수는 대수사선』이라는 제목도 이해하기 힘들다. \'춤추는\'에 해당하는 일본어 표현이\'갈팡질팡\' 혹은 \'오리무중\'과 같다고 한다. \'대수사선\'이란 말도 쓰이지 않는다. 우리말에서는 대신 \'수사망\'이라는 말이 쓰인다. 『돈 세이 워드』의 원제목은 \'don\'t say a word\'이다. \'t\'는 발음이 약하지만 존재하는 발음이다. 즉 \'돈\'보다는 \'돈트\'가 표기법에 맞다. 또 \' 세이 어 워드\'로 발음 되어야 하고 또 그렇게 적어야 한다. 관사가 아무리 약하게 발음된다고 해도 그것은 분명히 존재한다.
10. 외래어 표기
『텔미 썸딩』의 \'썸딩\'은 이 무엇인가? \'something\'에서 \'s\'소리와 \'th\'는 모두 \'ㅅ\'으로 적게 되어있다. 따라서 \'섬싱\'이라고 적어야 한다. 영화『빌리 엘리어트』의 배경이 되는 영국 북부 지역은 영국 표준어인 RP와는 상당히 다른 영어를 들려준다. \'Monday\'는 \'몬디\'로 발음되고, 배경 지역의 이름은 \'Durham\'인데 \'더럼\'으로 발음한다. 영화『쉘 위 댄스』의 제목에서 \'Shall\'은 외래어 표기법에 따르면 \'섈\'로 적어야 하며, \'쉘\'이라고 표기하는 영어 단어는 없다. 고유명사를 원어 발음에 충실하게 표기하는 원칙에 따른다면 영화 제목은 일본 발음 대로 \'샤르 위 단스\'가 맞다. 『쇼생크 탈출』은 외래어 표기법에 따라 \'쇼섕크\'가 맞다. 『로키 호러 픽쳐 쇼』에서 \'픽쳐\'는 외래어 표기법에 맞지 않는다. 영어의 파찰어 표기 규정에 의해 \'픽처\'로 적어야 한다. \'호러\'도 영국식 발음을 기반으로 한 표기이고, 미국식 발음을 기반으로 하며 \'하러\'가 된다.
느낀점
언어의 다양한 측면들을 영화를 통해 살펴봄으로써 흥미를 유발하고, 적절한 예를 통해 이해를 돕고자 한 것은 이 책의 장점이라 할 만 하다. 이는 \'언어\'에 대해 관심을 갖도록 하기위해 일반 독자를 대상으로 쓴 책으로는 훌륭하다는 것이다. 그러나 너무 많은 것을 언급하기 위해 \'수박 겉핥기\'식의 집고 넘어가는 정도의 설명은 아쉬움이 남는다. 오히려 심화된 설명은 흥미를 잃게 하므로 이 책의 목적(영화를 통해 언어를 설명함으로써 언어에 흥미를 갖게 하는 것)은 실패 하게 되었을 것이다.
\'언어\'를 전공하는 학생으로서 일반 대중을 대상으로 \'언어\'에 대한 관심과 흥미를 주목시키기 위한 시도는 중요하다. 자기 연구에만 심취하여 대중문화와 등지는 학문은 사양길로 접어들게 될 것이기 때문이다. 현재, 기초학문이 바로 그 길에 서 있다. 대중문화의 핵심인 영화와 함께 언어학을 발전시키는 것은 좋은 시도라 할만하다. 이미 다른 기초학문인 철학은 영상철학이라는 분야를 개척하여, 바쟁, 보드리, 매츠 같은 세계적인 영화 철학자들을 배출하는 단계에 까지 이르렀다. 언어학도 영화를 새로운 발로로 삼아 도약할 수 있다고 생각한다. 단순히 영화 제목을 분석하여 표기가 맞다, 그르다 정도를 벗어나 심화된 \'영상언어학\'장르의 개척을 해야 할것이다.
추천자료
오래된 미래 줄거리 및 감상문
등대 줄거리 및 감상문
나는선생님이좋아요. 줄거리 및 감상문
목민심서 줄거리 및 감상문
드라마 반달곰내사랑 줄거리 및 감상문
대한민국10대매너백서 줄거리 및 감상문
청소부밥 줄거리 및 감상문
민주주의와교육 줄거리 및 감상문
[감상문] 환경호르몬의 습격 - 환경호르몬 습격 비평, 줄거리, 감상문
영화 아이엠샘 감상문 - 줄거리, 지적장애, 진단, 샘의강점, 약점, 사례개입
영화 포레스트검프 감상문(줄거리, 개인력, 진단기준, 지적장애, 치료)
소설가 구보씨의 일일 독후감 및 분석 (구보씨의 하루,구보씨의 일일 독후감, 구보씨의 일일 ...
김기덕감독의 봄 여름 가을 겨울 그리고 봄 영화 감상문 (봄 여름 가을 겨울 그리고 봄 영화...
<<창문넘어 도망친 100세 노인 영화 감상문>>창문넘어 도망친 100세노인 감상문,창문넘어 도...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