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서론
1. 현 문법교육의 문제점
2. 문법교육이 지향해야 할 방향 제시
본론
- 연역적 수업 모형 (강의식)+귀납적 수업모형 (토의법, 탐구학습) +STAD모형에 입각한 협동학습을 절충한 탐구학습 모형의 제시
(7학년을 대상으로 관련교육과정 항목에 맞는 학습요소, 목표, 학습방향 제시, 단원학습계획, 학습과정안, 학습자료, 형성평가지 제시)
1) 동음이의어
2) 다의어
3) STAD학습모형을 중심으로 학습한 내용 복습하기(동음이의어와 다의어)
4) 자기 점검 및 보충.심화학습
결론
1. 문법교육이 나아갈 길 (수준별 학습의 지향)
2. 문법교육이 나아갈 길2(놀이에 의한 협동학습)
1. 현 문법교육의 문제점
2. 문법교육이 지향해야 할 방향 제시
본론
- 연역적 수업 모형 (강의식)+귀납적 수업모형 (토의법, 탐구학습) +STAD모형에 입각한 협동학습을 절충한 탐구학습 모형의 제시
(7학년을 대상으로 관련교육과정 항목에 맞는 학습요소, 목표, 학습방향 제시, 단원학습계획, 학습과정안, 학습자료, 형성평가지 제시)
1) 동음이의어
2) 다의어
3) STAD학습모형을 중심으로 학습한 내용 복습하기(동음이의어와 다의어)
4) 자기 점검 및 보충.심화학습
결론
1. 문법교육이 나아갈 길 (수준별 학습의 지향)
2. 문법교육이 나아갈 길2(놀이에 의한 협동학습)
본문내용
여 말할 수 있다.
▩ 여기에서는 소리는 같으나 뜻이 다른 동음 이의어에 대해 생각해 보는 활동을 하기로 한다. 먼저 동음 이의어의 개념을 알아보고, 그 개념을 바탕으로 동음 이의어가 문맥에 따라 어떻게 다르게 쓰이고 있는지 알아본다. 그리고 동음 이의어를 여러 가지 문장 속에서 찾아본다. 우리말에는 한자어가 많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일상 언어에서 많이 쓰고 있는 한자 동음 이의어를 찾아 각각 어떤 의미를 지니는지 알아보도로 한다. 또한, 우리말에는 소리의 길고 짧음에 따라 의미를 구별하는 일이 많이 있는데, 낱말의 의미와 소리의 장단은 동음이의어를 판별하는 기준이 될 수 있음을 알아보도록 한다.
▦ 학습 방법 안내
1. 학급 인원수에 맞게 모둠 인원을 배정한다.
2. 대단원 학습 방법을 안내한다.(탐구 학습, 소집단 집중 지도 및 개별 학습 병행)
3. 국어 사전을 준비한다.
학습자료 1
도입
▶ 학습 동기 유발 … 다음에서 단어의 의미는?
예시) 밤이 깊었다. / 먼지 때문에 눈이 많이 따끔거렸다.
밤이 깊었다. / 산에 눈이 많이 내렸다.
▶ 학습 목표 제시
1. 동음이의어를 설명할 수 있다.
2. 문맥 속에서 동음 이의 관계를 파악할 수 있다.
3. 동음 이의어를 소리의 길이에 따라 구별하여 말할 수 있다.
문맥적 의미 파악의 필요성
낱말의 의미는 사전을 보고 알아 낼 수도 있지만, 상황에 따라 의미가 달라질 수 있기 때문에 문맥 속에서 정확한 의미를 파악해야 한다.
낱말의 의미
언어 → 형식(소리) + 내용(의미) → 동음이의어
→ 다의어 → 중심의미
주변의미
언어는 소리와 의미로 이루어져 있다. 하나의 소리가 둘 이상의 의미를 나타낼 때도 있다. 우리말에도 이러한 낱말들이 무수히 많다. 우리말에서 같은 소리가 어떠한 다른 의미들로 쓰이고 있는지 ‘동음이면서 의미가 다른 것’에 주목하고, 동음 이의어가 무엇인지 예를 통해 그 뜻을 알도록 지도한다.
전개
(강의식 수업 → 소집단 탐구 활동, 소집단 집중 지도 및 개별 학습 → 강의식 정리)
활동 1. 다음 문장에 쓰인 ‘타다’의 의미를 생각해 보자.
(가) 아름이는 글짓기를 잘 하여 상을 탔다.
---------------------------------------------------------
(나) 톱으로 박을 타다
---------------------------------------------------------
(다) 거문고를 타다
---------------------------------------------------------
(라) 이 옷은 때를 잘 탄다.
---------------------------------------------------------
(마) 나무가 벌겋게 타다.
---------------------------------------------------------
(바) 정주는 자전거를 타고 학교에 간다.
---------------------------------------------------------
(사) 미숫가루를 물에 타다.
---------------------------------------------------------
∴ 동음이의어란?
소리는 같으나 의미가 서로 다른 경우를 동음 이의 관계라고 하고, 동음 이의 관계에 있는 낱말들을 동음 이의어라고 한다.
활동 2. (조별 탐구활동) … 국어사전 활용하기
소리는 같으나 뜻이 다른 낱말을 10개 이상 찾아 쓰고, 그 낱말이 쓰이는 문장을 만들어 보자.
번호
낱말
의미
문장
1
묻다
남의 대답이나 설명을 구하다.
길을 묻다.
묻다
물건을 다른 물건 속에 넣어 감추다.
땅 속에 묻다.
2
걷다
덮거나 가린 것을 치우다.
커튼을 걷다.
활동 3. (개별학습)
학생들에게 국어 사전을 이용하여 ‘김’, ‘풀’을 찾아 보고 어떤 낱말인지 확인하게 한다.
활동 4. 모둠별로 다음 자료의 학습 활동을 소집단 탐구 학습으로 활용한다.
이제 저녁 노을 너머로
해가 지네요.
어둠의 사자가 서서히 다가오면
이 해도 다 가게 되겠지요.
이 해의 마지막 해를 보니
내 마음은 설레네요.
( * 활동한 이후에는 사전을 찾아보고 동음이의어임을 확인하게 한다.)
활동 5. 동음이의어에는 한자어가 많음을 이해한다. … 사전 이용하여 뜻과 한자 파악하기
(가) 요즘에는 자녀가 넷 이상 있는 가정이 드물다. ( )
(나) 갑자기 운동을 했더니 몸에 이상이 생겼다. ( )
(다) 이상한 행동을 하지 마라. ( )
(라) 우리는 이상을 추구한다. ( )
(** 더불어, 한자어로서 동음이의어의 의미 구별을 하기도 한다는 사실을 설명한다.)
활동 6. 우리말에는 소리의 길고 짧음에 따라 의미가 구별되는 낱말이 있음을 알게 한다.
(가) 솔로 구두를 닦는다. 【 】/ (나) 솔 심어 정자라. 【 】
(가) 굴로 반찬을 만든다. 【 】 / (나) 굴을 판다. 【 】
(가) 발이 작아서 예쁘다. 【 】 / (나) 발을 친다. 【 】
소리의 길이에 따라 구분하는 동음 이의어
① 소리의 길이 - 뜻을 분별하는 구실을 한다.
② 긴 소리와 짧은 소리, 즉 소리의 길이로 뜻을 구별한다.
예) 밤(夜) 발(足) 굴(貝類) - 먹는 굴
밤:(栗) 발:(簾) 굴:(窟) - 동굴
솔(松) 눈(眼) 벌(野, 罰) - 넓은 들, 벌을 받다
솔:(옷솔) 눈:(雪) 벌:(蜂) - 곤충
배(梨) 거리(街) 말다(卷)
배:(倍) 거:리(距離) 말:다(勿)
묻다 (埋) - 땅에 묻다 걷다 (치우다)
묻:다 (問) - 남에게 묻다 걷:다(두 다리로)
③ 긴 소리는 단어의 첫 음절에서만 나타난다.
즉, 본래 길게 소리나던 단어도 둘째 음절 이하에 오면 짧게 발음되는 경향이 있다.
<표준 발음 규정〉
예) 눈[눈ː] - 눈[눈] (첫눈, 밤눈, 진눈깨비, 싸락눈, 함박눈)
말[말ː] - 말[말] (참말, 거짓말, 서울말, 시골말, 중국말)
밤[밤ː] - 밤[밤] (군밤, 찐밤, 쪽밤, 꿀밤, 쌍동밤)
별[별ː] - 별[별] (샛별, 저녁별, 별똥별)
멀리[멀ː리] - 눈멀다[눈멀다]
벌리다[벌:리다]- 떠벌리다[떠벌리다]
솔[솔:]- 옷솔[
▩ 여기에서는 소리는 같으나 뜻이 다른 동음 이의어에 대해 생각해 보는 활동을 하기로 한다. 먼저 동음 이의어의 개념을 알아보고, 그 개념을 바탕으로 동음 이의어가 문맥에 따라 어떻게 다르게 쓰이고 있는지 알아본다. 그리고 동음 이의어를 여러 가지 문장 속에서 찾아본다. 우리말에는 한자어가 많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일상 언어에서 많이 쓰고 있는 한자 동음 이의어를 찾아 각각 어떤 의미를 지니는지 알아보도로 한다. 또한, 우리말에는 소리의 길고 짧음에 따라 의미를 구별하는 일이 많이 있는데, 낱말의 의미와 소리의 장단은 동음이의어를 판별하는 기준이 될 수 있음을 알아보도록 한다.
▦ 학습 방법 안내
1. 학급 인원수에 맞게 모둠 인원을 배정한다.
2. 대단원 학습 방법을 안내한다.(탐구 학습, 소집단 집중 지도 및 개별 학습 병행)
3. 국어 사전을 준비한다.
학습자료 1
도입
▶ 학습 동기 유발 … 다음에서 단어의 의미는?
예시) 밤이 깊었다. / 먼지 때문에 눈이 많이 따끔거렸다.
밤이 깊었다. / 산에 눈이 많이 내렸다.
▶ 학습 목표 제시
1. 동음이의어를 설명할 수 있다.
2. 문맥 속에서 동음 이의 관계를 파악할 수 있다.
3. 동음 이의어를 소리의 길이에 따라 구별하여 말할 수 있다.
문맥적 의미 파악의 필요성
낱말의 의미는 사전을 보고 알아 낼 수도 있지만, 상황에 따라 의미가 달라질 수 있기 때문에 문맥 속에서 정확한 의미를 파악해야 한다.
낱말의 의미
언어 → 형식(소리) + 내용(의미) → 동음이의어
→ 다의어 → 중심의미
주변의미
언어는 소리와 의미로 이루어져 있다. 하나의 소리가 둘 이상의 의미를 나타낼 때도 있다. 우리말에도 이러한 낱말들이 무수히 많다. 우리말에서 같은 소리가 어떠한 다른 의미들로 쓰이고 있는지 ‘동음이면서 의미가 다른 것’에 주목하고, 동음 이의어가 무엇인지 예를 통해 그 뜻을 알도록 지도한다.
전개
(강의식 수업 → 소집단 탐구 활동, 소집단 집중 지도 및 개별 학습 → 강의식 정리)
활동 1. 다음 문장에 쓰인 ‘타다’의 의미를 생각해 보자.
(가) 아름이는 글짓기를 잘 하여 상을 탔다.
---------------------------------------------------------
(나) 톱으로 박을 타다
---------------------------------------------------------
(다) 거문고를 타다
---------------------------------------------------------
(라) 이 옷은 때를 잘 탄다.
---------------------------------------------------------
(마) 나무가 벌겋게 타다.
---------------------------------------------------------
(바) 정주는 자전거를 타고 학교에 간다.
---------------------------------------------------------
(사) 미숫가루를 물에 타다.
---------------------------------------------------------
∴ 동음이의어란?
소리는 같으나 의미가 서로 다른 경우를 동음 이의 관계라고 하고, 동음 이의 관계에 있는 낱말들을 동음 이의어라고 한다.
활동 2. (조별 탐구활동) … 국어사전 활용하기
소리는 같으나 뜻이 다른 낱말을 10개 이상 찾아 쓰고, 그 낱말이 쓰이는 문장을 만들어 보자.
번호
낱말
의미
문장
1
묻다
남의 대답이나 설명을 구하다.
길을 묻다.
묻다
물건을 다른 물건 속에 넣어 감추다.
땅 속에 묻다.
2
걷다
덮거나 가린 것을 치우다.
커튼을 걷다.
활동 3. (개별학습)
학생들에게 국어 사전을 이용하여 ‘김’, ‘풀’을 찾아 보고 어떤 낱말인지 확인하게 한다.
활동 4. 모둠별로 다음 자료의 학습 활동을 소집단 탐구 학습으로 활용한다.
이제 저녁 노을 너머로
해가 지네요.
어둠의 사자가 서서히 다가오면
이 해도 다 가게 되겠지요.
이 해의 마지막 해를 보니
내 마음은 설레네요.
( * 활동한 이후에는 사전을 찾아보고 동음이의어임을 확인하게 한다.)
활동 5. 동음이의어에는 한자어가 많음을 이해한다. … 사전 이용하여 뜻과 한자 파악하기
(가) 요즘에는 자녀가 넷 이상 있는 가정이 드물다. ( )
(나) 갑자기 운동을 했더니 몸에 이상이 생겼다. ( )
(다) 이상한 행동을 하지 마라. ( )
(라) 우리는 이상을 추구한다. ( )
(** 더불어, 한자어로서 동음이의어의 의미 구별을 하기도 한다는 사실을 설명한다.)
활동 6. 우리말에는 소리의 길고 짧음에 따라 의미가 구별되는 낱말이 있음을 알게 한다.
(가) 솔로 구두를 닦는다. 【 】/ (나) 솔 심어 정자라. 【 】
(가) 굴로 반찬을 만든다. 【 】 / (나) 굴을 판다. 【 】
(가) 발이 작아서 예쁘다. 【 】 / (나) 발을 친다. 【 】
소리의 길이에 따라 구분하는 동음 이의어
① 소리의 길이 - 뜻을 분별하는 구실을 한다.
② 긴 소리와 짧은 소리, 즉 소리의 길이로 뜻을 구별한다.
예) 밤(夜) 발(足) 굴(貝類) - 먹는 굴
밤:(栗) 발:(簾) 굴:(窟) - 동굴
솔(松) 눈(眼) 벌(野, 罰) - 넓은 들, 벌을 받다
솔:(옷솔) 눈:(雪) 벌:(蜂) - 곤충
배(梨) 거리(街) 말다(卷)
배:(倍) 거:리(距離) 말:다(勿)
묻다 (埋) - 땅에 묻다 걷다 (치우다)
묻:다 (問) - 남에게 묻다 걷:다(두 다리로)
③ 긴 소리는 단어의 첫 음절에서만 나타난다.
즉, 본래 길게 소리나던 단어도 둘째 음절 이하에 오면 짧게 발음되는 경향이 있다.
<표준 발음 규정〉
예) 눈[눈ː] - 눈[눈] (첫눈, 밤눈, 진눈깨비, 싸락눈, 함박눈)
말[말ː] - 말[말] (참말, 거짓말, 서울말, 시골말, 중국말)
밤[밤ː] - 밤[밤] (군밤, 찐밤, 쪽밤, 꿀밤, 쌍동밤)
별[별ː] - 별[별] (샛별, 저녁별, 별똥별)
멀리[멀ː리] - 눈멀다[눈멀다]
벌리다[벌:리다]- 떠벌리다[떠벌리다]
솔[솔:]- 옷솔[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