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신병리학
본 자료는 6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해당 자료는 6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6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정상 심리와 이상 심리

2. 심리장애의 전형적인 징후와 증상

3. 정신병리 이해 모형

4. 정신 장애의 분류

본문내용

특징인데, 여기에는 신경성 식욕부진증 anorexia nervosa과 신경성 폭식증 bulimia nervosa을 포함한다. 신경성 식욕부진증은 최소한의 정상 체중 유지를 거부하는 것이 특징이고, 신경성 폭식증은 반복되는 한판의 폭식 삽화와 이에 뒤따라는 부적절한 보상적 행동(스스로 유도하는 구토, 하제나 이뇨제, 기타 약물 남용, 단식, 지나친 운동 등)이 특징이다.
(13) 수면장애 Sleep Disorders : 수면장애는 추정되는 원인에 따라 1차성 수면장애 primary sleep disorders, 기타 정신 장애 관련 수면장애 sleep disorder related to another mental disorder, 일반적인 의학적 상태로 인한 수면장애 sleep disorder due to a general medical condition, 물질로 유발된 수면장애 substance-induced sleep disorder가 있다.
(14) 다른 곳에 분류되지 않는 충동조절장애 Impulse-Control Disorders Not Elsewhere Classified : 행동이 부적절하고 통제되지 않는 경우에 해당된다. 여기에 속하는 장애로는 간헐적 폭발성 장애, 병적 도벽, 병적 방화, 병적 도박, 발모광, 달리 분류되지 않는 충동 조절 장애가 있다.
(15) 적응장애 Adjustment Disorders : 적응장애의 필수 증상은 확인 가능한 정신 사회적 스트레스에 반응하여 임상적으로 심각한 정서적 또는 행동적 증상이 생기는 것이다. 증상은 스트레스 시작 후 3개월 이내에 발생되어야 한다.
(16) 성격장애 Personality Disorders : 성격장애란 그 개인이 문화적 기대로부터 심하게 벗어난 지속적인 내적 경험과 행동 양식을 보이는 것으로써, 광범위하고, 굳어 있고, 청소년기 또는 성인기 초기에 시작되며 시간이 지나도 변하지 않고 이로 인하여 고통과 장애가 초래된다. 성격장애는 10개의 특정 성격장애로 나누어지는데, 각 장애는 서술적인 유사성에 따라 3개의 군으로 나뉘어진다. A군 cluster A은 편집성 paranoid, 분열성 schizoid, 그리고 분열형 schizotypal 성격장애들이다. 이 성격장애를 지닌 개인들은 흔히 괴상하거나 엉뚱해 보인다. B군 cluster B은 반사회성 antisocial, 경계성 borderline, 히스테리성 histrionic, 그리고 자기애성 narcissistic 성격장애들이다. 이들 성격장애를 지닌 개인들은 극적이고 감정적이고, 변덕스러울 때가 많다. C군 cluster C은 회피성 avoidant, 의존성 dependent, 그리고 강박성 obsessive-compulsive 성격장애들이다. 이들 성격장애를 지닌 개인들은 흔히 불안해 보이고 두려워한다.
(17) 임상적 관심이 초점이 될 수 있는 기타 상태 Other Conditions That May Be a Focus of Clinical Attention : 여기에 속하는 것들은 첫째, 어떤 특정한 문제가 진단이나 치료에 대상이 되지만, 개인은 정신 장애에 이완되어 있지는 않다(예: 배우자 관계의 문제의 경우 부부 중 어느 누구도 정신 장애의 증상을 갖고 있지는 않을 때 배우자 관계의 문제라는 진단만을 붙인다). 둘째, 개인이 정신 장애를 갖고 있지만 이 정신장애가 특정 문제와는 관련이 없다. 셋째, 개인이 문제와 연관 있는 정신 장애를 갖고 있지만 그 문제가 별도로 임상적인 관심을 받아야 할 만큼 심각하다. 임상적 관심의 초점이 될 수 있는 기타 상태는 축 Ⅰ에 기재한다.
이들 17개의 범주에 포함된 심리 장애는 개별적으로 각 장애의 정의 definition, 하위유형 subtype 및 경과 course, 역학 epidemiology, 원인 etiology, 징후와 증상 sign & symptoms, 진단 기준 diagnostic criteria, 감별 진단 differential diagnosis 등으로 나누어서 정리할 필요가 있다.
3) 학습이론에서 본 부적응 행동의 유형
이상행동을 학습된 행동으로 보는 입장에서는 행동장애를 네 가지 유형으로 구분한다. 첫째 행동의 결손이다. 사회생활을 하면서 일반적으로 기대되는 행동이 전혀 습득되지 않았거나 손상된 경우를 말한다. 예컨대 말을 잘 못하거나 잘 알아듣지 못하는 것, 배변훈련에 실패한 경우, 대인접촉을 피하는 대인공포증 등이 이에 속한다.
다음에는 사회에서 요구하는 기준보다도 더 빈번히 어떤 행동을 보이는 경우로 과잉행동 등을 들 수 있다. 과잉활동을 보이는 것, 하루에도 수 십번씩 손을 씻는 강박행동 등이 이에 속한다. 셋째로 자극과 반응관계가 붕괴된 경우로서, 적절한 자극이 없는데도 반응이 일어나거나, 자극을 주어도 적절한 반응을 하지 못하는 경우 등이다. 예컨대 어렸을 때부터 남에게 따돌림 당하고 바보 취급을 받은 학생의 경우를 들 수 있다. 이 학생은 다른 사람에 대하여 지나치게 민감하여 같은 반 학생들이 모여 담소하는 것을 보고도 자기를 따돌리고 무시하는 것으로 해석하고 시비를 걸 수 있다. 이 학생의 경우 전혀 무해한 자극을 위협으로 받아들이고 있어 자극과 반응이 부적절하게 연합된 것으로 볼 수 있다. 또한 정신분열병 환자가 보이는 무감동이나 부적절한 정서표현은 자극에 대한 적절한 반응을 못하는 경우라고 하겠다.
끝으로 부적절한 강화체계들이 있다. 우리의 행동습관은 알게 모르게 많은 강화체계에 의하여 습득되었다. 이러한 강화체계가 정상적으로 생활하는 사람들의 강화체계와 다른 경우가 있다. 이러한 부적절한 강화체계 때문에 결과적으로 부적응 행동을 그려낼 수 있다. 예컨대 성도착증 환자들의 경우 이성에 의하여 성충동을 경험하는 것이 아니라 이성의 옷을 보고 흥분한다든가, 동성애의 경우 이성에 대하여 성충동을 느끼는 것이 아니라 동성에 대하여 성충동을 느낀다. 이런 경우 이성의 옷이나 동성이 성욕구의 강화체계가 되어 있다고 하겠다. 알콜의존을 비롯하여 물질사용장애의 경우도 술이나 마약이 부적절한 강화체계가 된 경우이다. 여러 유형의 성격장애도 이 유형에 속한다.
  • 가격3,500
  • 페이지수19페이지
  • 등록일2008.01.05
  • 저작시기2007.1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4587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