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
39
-
40
-
41
-
42
-
43
-
44
-
45
-
46
-
47
-
48
-
49
-
50
-
51
-
52
-
53
-
54
-
55
-
56
-
57
-
58
-
59
-
60
-
61
-
62
-
63
-
64
-
65
-
66
-
67
-
68
-
69
-
70
-
71
-
72
-
73
-
74
-
75
-
76


목차
수니파 vs 시아파
- 후계자 갈등이 결별의 시초
- 세력의 분리 : 두 번의 배반
- 결정적 의식의 차이 : 아슈라의 날
- 수니파와 시아파의 차이
- 인물중심의 종교활동이 강한 시아파
유대인의 디아스포라(diaspora)
- 유대인이란 누구인가
- 유대인의 역사
- 유대인의 디아스포라(diaspora)
- 유럽에서의 유대인
- 유럽에서의 유대인 탄압
시오니즘과 유대인의 팔레스타인 이주
- 시오니즘의 탄생
- 당시의 팔레스타인 상황
- 팔레스타인으로 이주한 유대인
- 팔레스타인 문제의 발생 과정
팔레스타인에 대한 제국주의 영향
- 서구 제국주의자들의 탐욕과 이중외교
- 후세인-맥마흔 서한(협정)
- 사이크스-피코 협정
- 밸푸어 선언
- 팔레스타인과 관련한 협정의 모순
아랍민족국가의 탄생 팔레스타인의 기구한 운명
- 아랍민족국가의 탄생
- 팔레스타인에서 유대인과 아랍인
- 팔레스타인에서 유대인과 아랍인의 갈등
중동전쟁
- 제1차 중동전쟁
- 제2차 중동전쟁
- 제3차 중동전쟁
- 제4차 중동전쟁
- 제4차 중동전쟁후 상황
PLO 결성 인티파다 평화협정
- PLO 결성
- 제1차 인티파다와 독립 선언
- 평화협상의 시작
- 평화협상 내용
- 중동 평화협상
- 평화협상이 잘 지켜지지 않는 이유
- 팔레스타인 문제의 평화적 해결방법
- 후계자 갈등이 결별의 시초
- 세력의 분리 : 두 번의 배반
- 결정적 의식의 차이 : 아슈라의 날
- 수니파와 시아파의 차이
- 인물중심의 종교활동이 강한 시아파
유대인의 디아스포라(diaspora)
- 유대인이란 누구인가
- 유대인의 역사
- 유대인의 디아스포라(diaspora)
- 유럽에서의 유대인
- 유럽에서의 유대인 탄압
시오니즘과 유대인의 팔레스타인 이주
- 시오니즘의 탄생
- 당시의 팔레스타인 상황
- 팔레스타인으로 이주한 유대인
- 팔레스타인 문제의 발생 과정
팔레스타인에 대한 제국주의 영향
- 서구 제국주의자들의 탐욕과 이중외교
- 후세인-맥마흔 서한(협정)
- 사이크스-피코 협정
- 밸푸어 선언
- 팔레스타인과 관련한 협정의 모순
아랍민족국가의 탄생 팔레스타인의 기구한 운명
- 아랍민족국가의 탄생
- 팔레스타인에서 유대인과 아랍인
- 팔레스타인에서 유대인과 아랍인의 갈등
중동전쟁
- 제1차 중동전쟁
- 제2차 중동전쟁
- 제3차 중동전쟁
- 제4차 중동전쟁
- 제4차 중동전쟁후 상황
PLO 결성 인티파다 평화협정
- PLO 결성
- 제1차 인티파다와 독립 선언
- 평화협상의 시작
- 평화협상 내용
- 중동 평화협상
- 평화협상이 잘 지켜지지 않는 이유
- 팔레스타인 문제의 평화적 해결방법
본문내용
후계자 갈등이 결별의 시초
현재 이슬람권의 약 90% 수니파, 10% 정도 시아파.
두 종파로 구분하기 애매한 소수 종파 존재
시아파의 최대 종주국은 이란,
시아파가 다수를 점하고 있는 나라 : 이라크, 오만, 예멘, 레바논, 바레인
시아는 ‘시아트 알리(Shiat Ali)’의 약칭으로 이슬람의 4대 칼리프(정교일치의 최고 통치자) 알리를 추종하는 종파 집단.
알리는 이슬람의 예언자 무하마드의 사촌 동생이자 사위로 무하마드의 유일한 혈육.
두 번째 이슬람 개종자, 탁월한 용맹성과 지혜, 시종일관 무하마드의 곁에서 보필.
시아파가 주류집단을 박차고 떨어져나가자 예언자의 언행인 순나(Sunnah)를 따르는 집단이란 의미; 기존 집단
632년 무하마드 사망, 후계자 문제로 이슬람 사회는 심각한 위기.
알리의 추종자들은 예언자의 혈육, 모든 면에서 뛰어난 알리가 칼리프가 되어야 한다고 주장
아랍 부족장 회의 슈라(shura); 아부 바클(632-634), 초대 칼리프로 선출
만장일치 합의제(이즈마)로 칼리프를 선출 방식; 초기 이슬람 사회의 전통.
2대 칼리프 우마르, 3대 칼리프 오스만; 이 방식으로 선출.
우마르와 오스만 모두 예배 중 반대세력에 의해 피살,
알리가 4번째 칼리프로 등장.
알리가 오스만의 살해세력에 대해 미온적인 태도, 무하마드의 부인이자 오스만을 지지했던 아이샤의 비난과 공격을 받음.
두 세력간의 알력은 전쟁으로 비화, 656년 최초 이슬람 내전, 낙타전투; 알리 승리.
오스만의 사촌이었던 무아위야가 알리에게 대항.
창 끝에 코란을 달고 돌진하는 무아위야의 군대를 향해 알리는 화해를 요청, 협상 성사.
화해 협상에 대해 불만을 품은 알리의 강성 추종자는 661년 알리를 살해.
현재 이슬람권의 약 90% 수니파, 10% 정도 시아파.
두 종파로 구분하기 애매한 소수 종파 존재
시아파의 최대 종주국은 이란,
시아파가 다수를 점하고 있는 나라 : 이라크, 오만, 예멘, 레바논, 바레인
시아는 ‘시아트 알리(Shiat Ali)’의 약칭으로 이슬람의 4대 칼리프(정교일치의 최고 통치자) 알리를 추종하는 종파 집단.
알리는 이슬람의 예언자 무하마드의 사촌 동생이자 사위로 무하마드의 유일한 혈육.
두 번째 이슬람 개종자, 탁월한 용맹성과 지혜, 시종일관 무하마드의 곁에서 보필.
시아파가 주류집단을 박차고 떨어져나가자 예언자의 언행인 순나(Sunnah)를 따르는 집단이란 의미; 기존 집단
632년 무하마드 사망, 후계자 문제로 이슬람 사회는 심각한 위기.
알리의 추종자들은 예언자의 혈육, 모든 면에서 뛰어난 알리가 칼리프가 되어야 한다고 주장
아랍 부족장 회의 슈라(shura); 아부 바클(632-634), 초대 칼리프로 선출
만장일치 합의제(이즈마)로 칼리프를 선출 방식; 초기 이슬람 사회의 전통.
2대 칼리프 우마르, 3대 칼리프 오스만; 이 방식으로 선출.
우마르와 오스만 모두 예배 중 반대세력에 의해 피살,
알리가 4번째 칼리프로 등장.
알리가 오스만의 살해세력에 대해 미온적인 태도, 무하마드의 부인이자 오스만을 지지했던 아이샤의 비난과 공격을 받음.
두 세력간의 알력은 전쟁으로 비화, 656년 최초 이슬람 내전, 낙타전투; 알리 승리.
오스만의 사촌이었던 무아위야가 알리에게 대항.
창 끝에 코란을 달고 돌진하는 무아위야의 군대를 향해 알리는 화해를 요청, 협상 성사.
화해 협상에 대해 불만을 품은 알리의 강성 추종자는 661년 알리를 살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