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2/12 사태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12.12사태
(1) 12.12사태 이전 한국 정세 - 2
(2) 12.12사태의 배경 - 2
(3) 12.12사태의 개요 - 3
(4) 12.12사태 그 후 - 4

2. 12.12사태와 언론
(1) 12.12사태 직후 언론 동향 - 4
(2) 전두환 정권하의 언론 - 6

참고문헌 - 7

본문내용

아 떨어진 것이다. ‘전두환 정권 창출’에 대한 언론인들의 기여는 전두환씨에 대한 긍정적 이미지 창출, 언론인 무더기 해직, 언론사통폐합 등 기획, 집행, 국가보위비상대책위(국보위), 국가보위법회의 등 ‘정권창출 기관’에의 참여 등 여러 형태로 이루어졌다.
1980년대 신군부의 언론 통제 전략은 새롭게 정권의 정당성을 역설해야 한다는 필요성을 갖고 있었기 때문에 이전의 단지 침묵하는 언론이 아니라 기존 언론체제의 전면 개편을 통해 신군부의 의지를 전달하는 동시에 그 개편에서 살아남은 언론에게 신군부의 ‘배려’에 대한 반대급부를 기대하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5공 정권은 권력을 장악하는 동시에 언론의 통제를 위한 강압적인 조치들을 취했다. 5공의 언론장악은 대체로 네 가지 유형으로 나뉘어 전개됐다.
첫째는 통제구조 단순화작업이다. 이 작업은 언론인 숙청, 언론사 통폐합으로 나누어 시행되었다. 언론인 숙청은 언론자유 수호를 목적으로 하는 언론내의 저항세력을 제거시킴으로써 언론 통제를 쉽게 하려는 것이 목적이었다. 언론사 통폐합 또한 통제의 단순화를 위한 시도였는데 중앙 6개지에 지방지를 1道1社 원칙으로 재편한 것이 주요 내용이었다. 방송 또한 통폐합시킴으로써 단순 통제권 안에 넣었다.
둘째는 법적 제어장치의 강화였다. 5공화국은 출범과 동시에 언론기본법을 제정, 통제로부터 저항, 이탈하려는 저항세력을 처벌하는 악법을 구축했다.
셋째는 언론감독을 위한 기구들을 확대하여 법정 기간화 함으로써 강제력을 강화시킨 점이다. 문공부 아래 둔 홍보 조정실은 그 대표적인 곳으로 이 기구를 통해 이른바 보도지침을 언론사에 강요함으로써 정보의 전달방향을 정부 마음대로 할 수 있도록 했다.
넷째는 박정희 정권과 마찬가지로 언론자본에 대한 경제적 특혜 등으로 언론을 회유, 유인하여 제도언론으로 고착시키려는 정책이었다. 3공과 달리 5공은 언론자본뿐만 아니라 일선언론인에게도 세제상의 특혜 등을 제공함으로써 침묵을 강요했다.
참 고 문 헌
김민남,김유원,박지동,유일상,임동욱,정대수, “새로 쓰는 한국 언론사” 『아침』 (1993.8).
송건호,최민지,박지동,윤덕한,손석춘,강명구, “한국언론 바로보기” 『다섯수레』(2000.3)
임영태, “대한민국 50년사-2유신정부에서 국민의 정부 탄생까지” 『들녘』 (1998.8)
윤종구, “5.16 쿠데타와 12.12 쿠데타의 비교분석”
http://cafe.daum.net/rokmc32bn
  • 가격1,0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08.01.10
  • 저작시기2007.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4661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