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소모량을 늘려 밤에 잠이 잘 오게 한다.
-녹색식물을 보고 있으면 환자들의 두뇌가 자극되여 심리적으로 정서적인 안정감을 갖게
된다.
-가슴에 붙이면 멘솔향이 숨 쉴 때마다 목과 코로 들어가 기침을 완화시킨다.
수행함
환아에게 잘 잤냐고 물었을 때 고개를 끄덕였으며 체온이 정상범위로 체크되며 기침도 완화되었다.
*I/0 CHECK
4/9
4/10
4/11
4/12
섭취 - 경구 섭취
비경구 섭취
기타
oral: 250ml
iv:NaCl 20ml ,KCl 20ml
Dextrose5% 1000ml
oral: 480ml
iv: NaCl 20ml, KCl 20ml
Dextrose5%0.05g 1000ml
oral: 450ml
수액종료
퇴원
총량
1290cc
1520cc
450cc
배설 - 배변
소변
분비물(경로)
기타
0회
5번 (cc로 기록 안됨)
1회
7번
1회
5번
총량
1000cc로 추측
1400cc로 추측
500cc로 추측
참고문헌 : - 서울대학교 ,아동의 간호진단과 계획 , 서울대학교 저. 175 page
- 인터넷:www.naver.com
#3. 진단명 ; 낯선 환경과 관련된 불안
자 료
(주관적/객관적
자료/관련자료)
목표 및 평가기준
goal/outcome
criteria
간 호 계 획
Nursing
care plan
이론적 근거
수행
(계획에서 밑줄친것)
평가
주관적 자료:
"빨리 집에가고 싶다. 유치원가서 놀고 싶어”
객관적 자료:
이해능력저하,
집중력감소
소극적인 자세
학업수행능력저하
작은 목소리
장기목표 :
불안을 표현하고 대처능력이 증가 할 것이다.
-불안의 정도를 사정한다
-하루에 적어도 3회이상 아동과 함께 10분이상 시간을 갖고 관심을 보이며 지지한다.
-함께 할 수 있는 놀이를 한다.
-아동의 수준에 맞는 대인관계기술을 사용한다
-집중을 요하지 않는 단순한 과제로 활동을 구조화한다.
-수행능력이 떨어지더라도 격려하고 지지한다.
-안정감이 증진된다.
-불안상태에 있는 경우 기본적인 의사소통이 도움이 된다
-안정감이 증진된다
-위축되지 않고 자신감을 갖게한다.
수행함
-참고문헌 : 서울대학교 , 아동의 간호진단과 계획 , 서울대학교 저. 405page
#4. 진단명 : 가정간호에 대한 지식부족
자 료
(주관적/객관적
자료/관련자료)
목표 및 평가기준
goal/outcome
criteria
간 호 계 획
Nursing
care plan
이론적 근거
수행
(계획에서 밑줄친것)
평가
주관적 자료 :
“애가 열은 내렸는데 기침을 자주해서 또 걸릴까봐 걱정이에요,
객관적 자료 :
열은 37℃유지되나 기침은 계속함
장기목표 :
질병을 예방하여 재발을 방지한다.
단기목표 : 질병의 예방법, 발병시 가정간호, 퇴원후 관리에 대해 말할 수 있다.
-가정 간호 지식에 대한 정도를 사정한다
*퇴원후 관리에 대해 교육한다
-처방된 약을 규칙적으로 복용한다.
-감기에 걸리지 않도록해야함을 알린다.
-편도조직의 비대로 중이염이 자주 발생되거나, 아무리 약을 먹어도 축농증이 잘 낮지 않는 경우, 편도 때문에 치열에 이상을 초래하는 경우 편도선 및 아데노이드를 제거하는 수술을 해야함을 알린다.
-2주일 이상 감기가 지속될 경우 반드시 합병증 진단을 받고, 미리 예방해야 함을 알린다.
*질병의 예방법에 대해 교육한다.
-실내 습도와 온도에 신경 쓴다
-물을 자주 마시게 한다
-하루 8번 이상 손을 씻는다
-목욕을 자주 한다
-입맛 살리는 식사를 챙겨준다
-숙면을 취하도록 한다
*발병 시 가정간호 교육
-김치, 찌개 등의 맵고 짠 음식, 뜨거운 음식은 먹지 않는 것이 좋다. 우유를 미지근하게 데워주는 것도 통증을 줄일 수 있는 방법이다.
-가능하면 기름진 음식은 피하고 죽이나 미음 등 쉽게 넘길 수 있는 음식을 먹인다.
-목에 무리가 가지 않도록 가능한 한 아이에게 말을 하지 않게 하고 큰 소리를
내지 않게 한다. 목을 쓰지 않고 쉬게 하는 것이 좋다.
-반복적으로 감기를 앓을 경우 편도는 비정상적으로 비대해져 여러 문제를 일으키게 된다.
-감기 초기에는 실내 습도만 잘 유지해도 가볍게 넘어가는 경우가 많으므로, 적당한 실내온도18~22℃습도는 50~60%를 유지한다.
-하루 7~8잔 정도의 물을 마시게 하면 끈끈한 가래가 쉽게 배출되고 열이 내리는 효과를 볼 수 있다.
-손을 깨끗이 씻는 습관만으로도 감기, 배탈, 유행성 결막염, 독감 등 감염병의 예방이 가능하다
-감기 예방을 위해서는 외출 후 가볍게 샤워를 하는 것이 좋다.
-아이들은 감기에 걸리면 특히 소화력이 감소함로 고단백 식품보다는 소화가 잘 되는 죽이나 콩을 이용한 음식이 좋다.
또한 감기에 걸리면 땀을 많이 흘려 수분, 염분, 비타민 C가 소모되므로 신선한 과일과 채소를 먹여 보충하는 것이 좋다.
-감기에 걸리면 잠을 자도 피로가 풀리지 않는다.
조용하고 쾌적한 수면 환경을 조성하고 숙면을 취하도록 한다.
-음식을 먹는 것 자체가 곤혹스럽다.
-편도가 비대해 연하곤란이 있고 말하기도 힘들다.
수행함
참고문헌 : Tong - ssh0820님의 건강하게,자신있게!!통
IV. 결론 및 제언
아동에게서 흔히 볼 수 있는 질병인 급성 인두염을 조사함으로써 질병에 대해 조사하고 진단도 내려보고 간호계획을 세워보고 중재 해 봄으로써 앞으로 많은 도움이 될 것이라 예상된다.
보통 감기와 동반되어 오고 감기가 2주이상 지속되면 편도선염을 의심해 볼 수 있으므로 감기를 예방하고 감기에 걸렸을 시 빠른 치료를 해야한다.
< 참고문헌 >
저자명,책명, 출판지 : 출판사명, 출판년도, page.
- 김태임 외13명(2004). 아동간호학 총론, 서울: 수문사. 494~495 page.
- 인터넷://duser.doctorkorea.com/clinic
- 서울대학교 , 아동의 간호진단과 계획 , 서울대학교 저.
-인터넷 : Tong - 재호엄마님의 아이 키우기 대단원통
-인터넷 : http://www.kimsonline.co.kr
-인터넷 : http://cafe.naver.com/bethsda
-인터넷 : www.naver.com
-인터넷 : http://tong.nate.com/ssh0820
-녹색식물을 보고 있으면 환자들의 두뇌가 자극되여 심리적으로 정서적인 안정감을 갖게
된다.
-가슴에 붙이면 멘솔향이 숨 쉴 때마다 목과 코로 들어가 기침을 완화시킨다.
수행함
환아에게 잘 잤냐고 물었을 때 고개를 끄덕였으며 체온이 정상범위로 체크되며 기침도 완화되었다.
*I/0 CHECK
4/9
4/10
4/11
4/12
섭취 - 경구 섭취
비경구 섭취
기타
oral: 250ml
iv:NaCl 20ml ,KCl 20ml
Dextrose5% 1000ml
oral: 480ml
iv: NaCl 20ml, KCl 20ml
Dextrose5%0.05g 1000ml
oral: 450ml
수액종료
퇴원
총량
1290cc
1520cc
450cc
배설 - 배변
소변
분비물(경로)
기타
0회
5번 (cc로 기록 안됨)
1회
7번
1회
5번
총량
1000cc로 추측
1400cc로 추측
500cc로 추측
참고문헌 : - 서울대학교 ,아동의 간호진단과 계획 , 서울대학교 저. 175 page
- 인터넷:www.naver.com
#3. 진단명 ; 낯선 환경과 관련된 불안
자 료
(주관적/객관적
자료/관련자료)
목표 및 평가기준
goal/outcome
criteria
간 호 계 획
Nursing
care plan
이론적 근거
수행
(계획에서 밑줄친것)
평가
주관적 자료:
"빨리 집에가고 싶다. 유치원가서 놀고 싶어”
객관적 자료:
이해능력저하,
집중력감소
소극적인 자세
학업수행능력저하
작은 목소리
장기목표 :
불안을 표현하고 대처능력이 증가 할 것이다.
-불안의 정도를 사정한다
-하루에 적어도 3회이상 아동과 함께 10분이상 시간을 갖고 관심을 보이며 지지한다.
-함께 할 수 있는 놀이를 한다.
-아동의 수준에 맞는 대인관계기술을 사용한다
-집중을 요하지 않는 단순한 과제로 활동을 구조화한다.
-수행능력이 떨어지더라도 격려하고 지지한다.
-안정감이 증진된다.
-불안상태에 있는 경우 기본적인 의사소통이 도움이 된다
-안정감이 증진된다
-위축되지 않고 자신감을 갖게한다.
수행함
-참고문헌 : 서울대학교 , 아동의 간호진단과 계획 , 서울대학교 저. 405page
#4. 진단명 : 가정간호에 대한 지식부족
자 료
(주관적/객관적
자료/관련자료)
목표 및 평가기준
goal/outcome
criteria
간 호 계 획
Nursing
care plan
이론적 근거
수행
(계획에서 밑줄친것)
평가
주관적 자료 :
“애가 열은 내렸는데 기침을 자주해서 또 걸릴까봐 걱정이에요,
객관적 자료 :
열은 37℃유지되나 기침은 계속함
장기목표 :
질병을 예방하여 재발을 방지한다.
단기목표 : 질병의 예방법, 발병시 가정간호, 퇴원후 관리에 대해 말할 수 있다.
-가정 간호 지식에 대한 정도를 사정한다
*퇴원후 관리에 대해 교육한다
-처방된 약을 규칙적으로 복용한다.
-감기에 걸리지 않도록해야함을 알린다.
-편도조직의 비대로 중이염이 자주 발생되거나, 아무리 약을 먹어도 축농증이 잘 낮지 않는 경우, 편도 때문에 치열에 이상을 초래하는 경우 편도선 및 아데노이드를 제거하는 수술을 해야함을 알린다.
-2주일 이상 감기가 지속될 경우 반드시 합병증 진단을 받고, 미리 예방해야 함을 알린다.
*질병의 예방법에 대해 교육한다.
-실내 습도와 온도에 신경 쓴다
-물을 자주 마시게 한다
-하루 8번 이상 손을 씻는다
-목욕을 자주 한다
-입맛 살리는 식사를 챙겨준다
-숙면을 취하도록 한다
*발병 시 가정간호 교육
-김치, 찌개 등의 맵고 짠 음식, 뜨거운 음식은 먹지 않는 것이 좋다. 우유를 미지근하게 데워주는 것도 통증을 줄일 수 있는 방법이다.
-가능하면 기름진 음식은 피하고 죽이나 미음 등 쉽게 넘길 수 있는 음식을 먹인다.
-목에 무리가 가지 않도록 가능한 한 아이에게 말을 하지 않게 하고 큰 소리를
내지 않게 한다. 목을 쓰지 않고 쉬게 하는 것이 좋다.
-반복적으로 감기를 앓을 경우 편도는 비정상적으로 비대해져 여러 문제를 일으키게 된다.
-감기 초기에는 실내 습도만 잘 유지해도 가볍게 넘어가는 경우가 많으므로, 적당한 실내온도18~22℃습도는 50~60%를 유지한다.
-하루 7~8잔 정도의 물을 마시게 하면 끈끈한 가래가 쉽게 배출되고 열이 내리는 효과를 볼 수 있다.
-손을 깨끗이 씻는 습관만으로도 감기, 배탈, 유행성 결막염, 독감 등 감염병의 예방이 가능하다
-감기 예방을 위해서는 외출 후 가볍게 샤워를 하는 것이 좋다.
-아이들은 감기에 걸리면 특히 소화력이 감소함로 고단백 식품보다는 소화가 잘 되는 죽이나 콩을 이용한 음식이 좋다.
또한 감기에 걸리면 땀을 많이 흘려 수분, 염분, 비타민 C가 소모되므로 신선한 과일과 채소를 먹여 보충하는 것이 좋다.
-감기에 걸리면 잠을 자도 피로가 풀리지 않는다.
조용하고 쾌적한 수면 환경을 조성하고 숙면을 취하도록 한다.
-음식을 먹는 것 자체가 곤혹스럽다.
-편도가 비대해 연하곤란이 있고 말하기도 힘들다.
수행함
참고문헌 : Tong - ssh0820님의 건강하게,자신있게!!통
IV. 결론 및 제언
아동에게서 흔히 볼 수 있는 질병인 급성 인두염을 조사함으로써 질병에 대해 조사하고 진단도 내려보고 간호계획을 세워보고 중재 해 봄으로써 앞으로 많은 도움이 될 것이라 예상된다.
보통 감기와 동반되어 오고 감기가 2주이상 지속되면 편도선염을 의심해 볼 수 있으므로 감기를 예방하고 감기에 걸렸을 시 빠른 치료를 해야한다.
< 참고문헌 >
저자명,책명, 출판지 : 출판사명, 출판년도, page.
- 김태임 외13명(2004). 아동간호학 총론, 서울: 수문사. 494~495 page.
- 인터넷://duser.doctorkorea.com/clinic
- 서울대학교 , 아동의 간호진단과 계획 , 서울대학교 저.
-인터넷 : Tong - 재호엄마님의 아이 키우기 대단원통
-인터넷 : http://www.kimsonline.co.kr
-인터넷 : http://cafe.naver.com/bethsda
-인터넷 : www.naver.com
-인터넷 : http://tong.nate.com/ssh08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