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서론 - 인터넷과 만화의 결합 : 웹툰
2. 작품 분석 1 - 골방환상곡
3. 작품 분석 2 - 낢이 사는 이야기
4. 작품 분석 3 - 짬
5. 결론
6. 참고
2. 작품 분석 1 - 골방환상곡
3. 작품 분석 2 - 낢이 사는 이야기
4. 작품 분석 3 - 짬
5. 결론
6. 참고
본문내용
어느 사회보다 빨리 그리고 널리 인터넷이 보급되었고 그로 인해 인터넷으로 대변되는 가상 세계는 타인과의 직접적인 관계를 단절시키는 역할을 하며 한국 사회를 점점 더 개인화시킨다. 개인화된 한국 사회 속에서 한국 사람들은 점점 더 소외를 느끼게 된다. 하지만 인터넷의 가장 활발한 활동 세대인 20대는 인간의 기본적인 욕구인 사회적 관계 속에서 동조를 느끼길 소외된 상황 속에서 어느 때 보다 원한다. 그로 인해 인터넷에서 ‘공감 문화’를 형성한다는 것이다. 인터넷이 널리 보급 되고 공감 문화를 어느 때보다도 원하는 기조 속에서 웹툰의 ‘공감 만화’는 인기를 얻게 되는 것이다.
웹툰에서 인기를 얻고 있는 코드는 한국적인 것이다. 어느 나라보다 심한 입시로 인한 학업의 스트레스, 대한민국 남자라면 누구나 가야하는 ‘군대문화’, ‘아줌마’, ‘체면’ 등 이러한 한국적인 코드가 인터넷 ‘공감문화’의 주를 이루게 된다. 이러한 한국적인 코드의 공감문화 형성은 웹툰에만 국한되지 않는다. 인터넷에서 네티즌들이 모여서 여러 가지 동영상, 사진, 글 등의 자료들을 올리고 함께 향유하는 사이트 네이버 붐업(http://boom.naver.com), 디시인사이드(http://www.dcinside.com) 등
에서 올라오는 대부분의 자료도 위의 한국적인 코드가 반영된 자료들이다. 그리고 입시를 겪지 않고 있는 성인들, 군대를 다녀오지 않은 청소년들, 군대를 가지 않는 여성들도 역시 입시, 군대에 관한 자료들을 사이트에 올리고 사람들과 함께 즐긴다. 이러한 현상은 한국적 코드가 일부 사람들에게 국한된 코드들이 아니라 대한민국의 한국인이라면 누구든지 느낄 수 있는 코드들이며, 대한민국 사람들의 연대의식의 연결고리 작용을 하고 있다는 것을 말해주고 있다.
현대 다원화되고 갈등하는 현대 사회에서 시민적 유대를 형성해주는 연대의식은 사람들의 관계를 연결시켜주고 유지시켜주는 것이며 현대 시민 사회를 지속시켜주는 것이다. 강수택, “시민적 연대의 의미 구조 : 다원화된 현대 시민사회의 사회적 연대론”, 사회와 이론 제 8호, 한국이론사회학회, 2006, pp105-148.
웹툰으로 보는 한국 사람들의 공감 문화와 연대의식은 인터넷 문화의 일부분이다. 하지만, 한국의 한국적인 코드들을 중심으로 한 문화를 파악한다는 것은 유의미한 일일 것이다. 인터넷은 이제 한국 사회에서 중요한 문화 향유의 수단, 의사 소통의 수단이 되었다. 인터넷이 널리 보급되고 사용되는 한국적인 상황에서 형성되고 있는 인터넷 문화를 새로운 눈으로 보고 분석하고 파악하는 일들은 앞으로도 계속 중요한 일들이 될 것이다.
6. 참고문헌
2007년 2학기 ‘21세기 한국의 사회과학적 이해’ 4장 최인철 교수님 수업 노트.
오창호, “사회심리와 인간소외”, 푸른사상, 2005.
김종숙, “정보화사회의 사회과학적 접근”, 한국문화사, 2004.
이광자 외 2명, “현대 사회심리학”, 아세아문화사, 2002.
Eliot Aronson, 구자숙 외8명 역, "사회 심리학 : 사회적 동물“, 탐구당, 2002
웹툰에서 인기를 얻고 있는 코드는 한국적인 것이다. 어느 나라보다 심한 입시로 인한 학업의 스트레스, 대한민국 남자라면 누구나 가야하는 ‘군대문화’, ‘아줌마’, ‘체면’ 등 이러한 한국적인 코드가 인터넷 ‘공감문화’의 주를 이루게 된다. 이러한 한국적인 코드의 공감문화 형성은 웹툰에만 국한되지 않는다. 인터넷에서 네티즌들이 모여서 여러 가지 동영상, 사진, 글 등의 자료들을 올리고 함께 향유하는 사이트 네이버 붐업(http://boom.naver.com), 디시인사이드(http://www.dcinside.com) 등
에서 올라오는 대부분의 자료도 위의 한국적인 코드가 반영된 자료들이다. 그리고 입시를 겪지 않고 있는 성인들, 군대를 다녀오지 않은 청소년들, 군대를 가지 않는 여성들도 역시 입시, 군대에 관한 자료들을 사이트에 올리고 사람들과 함께 즐긴다. 이러한 현상은 한국적 코드가 일부 사람들에게 국한된 코드들이 아니라 대한민국의 한국인이라면 누구든지 느낄 수 있는 코드들이며, 대한민국 사람들의 연대의식의 연결고리 작용을 하고 있다는 것을 말해주고 있다.
현대 다원화되고 갈등하는 현대 사회에서 시민적 유대를 형성해주는 연대의식은 사람들의 관계를 연결시켜주고 유지시켜주는 것이며 현대 시민 사회를 지속시켜주는 것이다. 강수택, “시민적 연대의 의미 구조 : 다원화된 현대 시민사회의 사회적 연대론”, 사회와 이론 제 8호, 한국이론사회학회, 2006, pp105-148.
웹툰으로 보는 한국 사람들의 공감 문화와 연대의식은 인터넷 문화의 일부분이다. 하지만, 한국의 한국적인 코드들을 중심으로 한 문화를 파악한다는 것은 유의미한 일일 것이다. 인터넷은 이제 한국 사회에서 중요한 문화 향유의 수단, 의사 소통의 수단이 되었다. 인터넷이 널리 보급되고 사용되는 한국적인 상황에서 형성되고 있는 인터넷 문화를 새로운 눈으로 보고 분석하고 파악하는 일들은 앞으로도 계속 중요한 일들이 될 것이다.
6. 참고문헌
2007년 2학기 ‘21세기 한국의 사회과학적 이해’ 4장 최인철 교수님 수업 노트.
오창호, “사회심리와 인간소외”, 푸른사상, 2005.
김종숙, “정보화사회의 사회과학적 접근”, 한국문화사, 2004.
이광자 외 2명, “현대 사회심리학”, 아세아문화사, 2002.
Eliot Aronson, 구자숙 외8명 역, "사회 심리학 : 사회적 동물“, 탐구당, 2002
추천자료
한국의 가상 공동체
현대인의 스트레스와 건강관리에 관한 고찰
[예술과 철학]샤머니즘에 대한 고찰
중증질환
명품 선호현상의 실태와 문제점
한국와일본
정신분석적 인지행동적 인간중심적 상담이론의 주요특징 비교설명, 실제 자신이 상담을 진행...
청소년의 우울 성향과 가정 환경
상담이론 - 정신분석적 상담이론, 인간 중심적 상담이론, 게슈탈트 상담이론, 인지중심 상담...
[자신이 전문 상담가가 되었다면 자신은 여러 상담 이론 중 어떤 이론을 중심으로 한 어떤 상...
생애주기별 정신건강-중년기
[상담이론] 행동치료 (정의, 특징, 기본원리, 치료과정, 적용, 공헌, 평가)
노인학대 (개념, 관련법, 대안 및 각종 통계 자료)
간호이론3B) 스트레스이론과 관련해 작성. 1) 주변의 만성질환자 1인을 선정하여 인구사회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