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
Ⅱ. 사회복지의 가치
1. 사회복지실천에서 가치의 의미와 중요성
1) 사회복지실천의 가치
2) 사회성원들과 맺는 가치
3) 사회복지사의 가치
4) 갈등해결을 위한 가치
2. 사회복지실천의 가치유형과 핵심가치
1) 펌프리(Punphrey, 1959)
2) 고든(Gordon, 1965)
3) 레비(Levy, 1973, 1976)
4) 미국사회복지사협회(NASW) 분류기준(1982)
(1) 서비스의 가치
(2) 사회정의의 가치
(3) 개인의 존엄과 가치
(4) 인간관계의 중요성과 가치
(5) 성실의 가치
(6) 능력의 가치
3. 사회복지 실천사명의 본질과 옹호 의무
Ⅲ. 사회복지의 윤리
1. 사회복지실천에서 윤리의 중요성과 딜레마
1) 일반적 딜레마
2) 두 대안의 단절
3) 상충적 두 대안
4) 상충하는 대안의 선택
2. 사회복지사 윤리강령
1) 미국의 윤리강령
2) 한국의 윤리강령
Ⅳ. 결
* 참고문헌
Ⅱ. 사회복지의 가치
1. 사회복지실천에서 가치의 의미와 중요성
1) 사회복지실천의 가치
2) 사회성원들과 맺는 가치
3) 사회복지사의 가치
4) 갈등해결을 위한 가치
2. 사회복지실천의 가치유형과 핵심가치
1) 펌프리(Punphrey, 1959)
2) 고든(Gordon, 1965)
3) 레비(Levy, 1973, 1976)
4) 미국사회복지사협회(NASW) 분류기준(1982)
(1) 서비스의 가치
(2) 사회정의의 가치
(3) 개인의 존엄과 가치
(4) 인간관계의 중요성과 가치
(5) 성실의 가치
(6) 능력의 가치
3. 사회복지 실천사명의 본질과 옹호 의무
Ⅲ. 사회복지의 윤리
1. 사회복지실천에서 윤리의 중요성과 딜레마
1) 일반적 딜레마
2) 두 대안의 단절
3) 상충적 두 대안
4) 상충하는 대안의 선택
2. 사회복지사 윤리강령
1) 미국의 윤리강령
2) 한국의 윤리강령
Ⅳ. 결
* 참고문헌
본문내용
동시에 중요하게 고려되어야 할 것이다.
2. 사회복지사 윤리강령
전문직은 일반 대중과 전문직 회원들에게 가치와 윤리적 기준을 정의하기 위하여 윤리강령을 사용하고 있다. 사회복지도 사회복지 전문직이 지향하는 윤리적 가치를 실천하기 위해 좀 더 구체적인 원칙과 지침이 필요한데 사회복지사 윤리강령이 바로 이러한 원칙과 지침을 제공하고 있다. 따라서 이것은 사회복지 전문직에 몸담고 있는 사회복지사들이 어떻게 자신들의 가치를 행동으로 옮기는가에 관한 실천적 기준이 되고 있다. 즉, 윤리적 행위의 실천 원칙은 윤리강령은 전문 직업에 어울리게 언행 하도록 안내할 뿐만 아니라 클라이언트, 동료, 전문직 자체에서 발생하는 문제에 대해 윤리적 결정을 내리도록 도와주는 개념 틀을 제공해 준다. 다시 말해 사회복지사 윤리강령은 윤리적 딜레마 상황에 직면하여 원칙과 지침을 제공해 주며, 사회복지사가 전문직의 가치를 실천하기 위해 준수해야 하는 기준인 동시에 사회복지사의 실천 활동을 규제하는 역할을 한다.
1) 미국의 윤리강령
미국의 경우 1920년대부터 윤리에 대한 필요성이 제기되었고, 이후 1970년대에 들어서면서 사회복지실천에 윤리문제를 강조하게 되었다. 공식적인 미국사회복지사 윤리강령은 1951년 미국사회복지사협회(AASW)에 의해 이루어졌으며, 1955년 7개의 사회복지 전문기구의 통합으로 구성된 미국사회복지사협회(NASW)는 1960년에 그 첫 번째의 윤리강령을 채택하였다. 당시의 윤리강령은 선언문과 같은 형식이었으며, 전문성의 가치를 적절히 반영하지 못했다는 비판을 받았다. 현재와 같이 영역별로 구성된 윤리강령의 형태로 만들어진 것은 1979년으로 총 여섯 개 영역으로 구성되었다. 그 후 1990년과 1994년에 윤리강령이 수정되었고, 1996년에 6대 사회복지 핵심 가치(서비스, 사회정의, 인간의 존엄성 및 가치, 인간관계의 중요성, 성실, 능력)를 중심으로 대폭 수정되어 현재에 이르고 있다. 미국사회복지사협회의 1996년 윤리강령은 지금까지의 강령 중에서 가장 포괄적이며 윤리 강령 역사상 최초로 사회복지의 가치 뿐 아니라 윤리적 기준에 대하여 언급하고 있다. 또한 이전의 윤리강령과 다르게 서로 다른 수준에 있는 그리고 서로 다른 현장에서 일하고 있는 사회복지사들에게 적절하며, 문화의 다양성과 성적희롱 등과 같은 시의 적절한 주제를 논하고 있다고 평가되고 있다.
2) 한국의 윤리강령
한국의 사회복지사 윤리강령의 기초는 1973년 사회복지사협회 총회에서 윤리강령의 초안을 제정하기로 결의하였으나 재정되지는 못하였다. 1979년 윤리강령 제정을 위한 회의가 다시 소집되었고, 1980년 한국사회복지사 윤리강령은 최초로 공식 제정되게 되었다. 이후 한국사회복지사 윤리강령은 1988년에 개정되었으나 그 내용이 시대의 흐름과 사회복지사의 욕구에 부합되지 않는다고 지적되어 1990년 윤리강령 개정을 위한 준비위원과 소위원회를 구성하였다. 1991년 윤리강령 개정위원회가 재결성되었고, 1992년 전국사회복지사대회 개회사에서 개정된 사회복지사 윤리강령을 공포하였다. 1992년 제정. 공포된 한국사회복지사 윤리강령은 클라이언트를 복지대상자로 수정하여 사회복지의 이념과 철학, 사회복지사의 사명을 선언문에서 제시하고 열 개 조항으로 이루어졌다. 그러나 이것 역시 사회복지실천 현장에서 발생하는 윤리적 딜레마에 대한 지침이 되기에는 역부족이라는 지적은 계속되었고, 2001년 12월 미국과 같이 여섯 개의 영역으로 구성된 전문직의 윤리지침으로서 강화된 윤리강령이 만들어지게 되었다. 2001년 12월에 개정된 한국의 사회복지사 윤리강령 전문은 ‘인본주의와 평등주의’ 철학을 근거로 하며, 사회복지사의 윤리기준은 기본적 윤리기준(전문성), 클라이언트와의 관계, 동료와의 관계, 사회와의 관계, 기관과의 관계, 윤리위원회의 구성과 운영으로 구분되어 있다.
Ⅳ. 결
현대 사회가 다분화 되면서 발전함에 따라 사회복지실천의 영역은 다양한 문제로의 개입 필요성에 직면하고 있다. 그렇기에 이러한 문제는 윤리적 딜레마를 내포하고 있고 어떠한 특정 개입을 위해 하나의 선택을 내려야 하는 갈등의 상황이 만들어진다. 많은 사회복지사들은 다루기 힘든 윤리적 상황에 직면하여 자신의 가치선택과 행동의 기반으로서 확실한 기준과 동의를 갈망한다. 사회복지 전문직 가치선택을 위한 구체적이고 체계적인 윤리적 의사결정 과정의 제시는 윤리적 딜레마 상황을 더욱 민감하게 인지할 수 있게 하여 다양한 대안을 제시할 수 있게 하고, 더 나아가 윤리적 의사결정을 최선의 방향으로 이끌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기여에 부합될 수 있도록 사회복지 윤리강령은 끊임없이 세분화되고 구체적으로 다듬어져야 할 것이다. 다시 말해서 가치, 지식, 기술을 토대로 하는 사회복지 전문직은 특정 지식이나 개입방법만으로는 온전히 충족될 수 없으며, 뚜렷한 윤리적 가치나 신념이 선행되어야 한다. 전문직의 속성에서 사회복지 가치를 전제로 삼는 윤리강령을 전문직의 중요 기준 중 하나로 꼽은 이유가 바로 여기에 있다고 볼 수 있을 것이다.
* 참고문헌
고수현(2005). 사회복지실천 윤리와 실천. 양서원.
김기덕(2002). 사회복지윤리학. 나눔의 집.
강준렬(1997). 지역사회복지와 사회복지관. 동인.
구종회 외(1999). 산업복지학의 이해. 홍익재.
권도용(1997). 장애인재활복지체계와 실태. 홍익재.
조휘일. 이윤로(1999). 사회복지실천론. 학지사.
장인협(1996). 사회복지학개론. 서울대학교출판부.
이윤로(2006). 최신사회복지실천론. 학지사.
고수현 외(2002). 사회복지개론. 대학출판사.
권육상(1999). 사회복지실천론. 학문사.
김기태 외(2002). 사회복지실천론. 박영사.
김융일 외(1996). 사회복지실천론. 나남출판.
박용순(2001). 사회복지개론. 학지사.
양옥경 외(2000). 사회복지실천론. 나남출판.
양정남 외(2003). 사회복지실천론. 양서원.
엄명용 외(2000). 사회복지실천의 이해. 학지사.
오혜경(2005). 사회복지 윤리와 철학. 창지사.
이영분 외(2002). 사회복지실천. 동인.
2. 사회복지사 윤리강령
전문직은 일반 대중과 전문직 회원들에게 가치와 윤리적 기준을 정의하기 위하여 윤리강령을 사용하고 있다. 사회복지도 사회복지 전문직이 지향하는 윤리적 가치를 실천하기 위해 좀 더 구체적인 원칙과 지침이 필요한데 사회복지사 윤리강령이 바로 이러한 원칙과 지침을 제공하고 있다. 따라서 이것은 사회복지 전문직에 몸담고 있는 사회복지사들이 어떻게 자신들의 가치를 행동으로 옮기는가에 관한 실천적 기준이 되고 있다. 즉, 윤리적 행위의 실천 원칙은 윤리강령은 전문 직업에 어울리게 언행 하도록 안내할 뿐만 아니라 클라이언트, 동료, 전문직 자체에서 발생하는 문제에 대해 윤리적 결정을 내리도록 도와주는 개념 틀을 제공해 준다. 다시 말해 사회복지사 윤리강령은 윤리적 딜레마 상황에 직면하여 원칙과 지침을 제공해 주며, 사회복지사가 전문직의 가치를 실천하기 위해 준수해야 하는 기준인 동시에 사회복지사의 실천 활동을 규제하는 역할을 한다.
1) 미국의 윤리강령
미국의 경우 1920년대부터 윤리에 대한 필요성이 제기되었고, 이후 1970년대에 들어서면서 사회복지실천에 윤리문제를 강조하게 되었다. 공식적인 미국사회복지사 윤리강령은 1951년 미국사회복지사협회(AASW)에 의해 이루어졌으며, 1955년 7개의 사회복지 전문기구의 통합으로 구성된 미국사회복지사협회(NASW)는 1960년에 그 첫 번째의 윤리강령을 채택하였다. 당시의 윤리강령은 선언문과 같은 형식이었으며, 전문성의 가치를 적절히 반영하지 못했다는 비판을 받았다. 현재와 같이 영역별로 구성된 윤리강령의 형태로 만들어진 것은 1979년으로 총 여섯 개 영역으로 구성되었다. 그 후 1990년과 1994년에 윤리강령이 수정되었고, 1996년에 6대 사회복지 핵심 가치(서비스, 사회정의, 인간의 존엄성 및 가치, 인간관계의 중요성, 성실, 능력)를 중심으로 대폭 수정되어 현재에 이르고 있다. 미국사회복지사협회의 1996년 윤리강령은 지금까지의 강령 중에서 가장 포괄적이며 윤리 강령 역사상 최초로 사회복지의 가치 뿐 아니라 윤리적 기준에 대하여 언급하고 있다. 또한 이전의 윤리강령과 다르게 서로 다른 수준에 있는 그리고 서로 다른 현장에서 일하고 있는 사회복지사들에게 적절하며, 문화의 다양성과 성적희롱 등과 같은 시의 적절한 주제를 논하고 있다고 평가되고 있다.
2) 한국의 윤리강령
한국의 사회복지사 윤리강령의 기초는 1973년 사회복지사협회 총회에서 윤리강령의 초안을 제정하기로 결의하였으나 재정되지는 못하였다. 1979년 윤리강령 제정을 위한 회의가 다시 소집되었고, 1980년 한국사회복지사 윤리강령은 최초로 공식 제정되게 되었다. 이후 한국사회복지사 윤리강령은 1988년에 개정되었으나 그 내용이 시대의 흐름과 사회복지사의 욕구에 부합되지 않는다고 지적되어 1990년 윤리강령 개정을 위한 준비위원과 소위원회를 구성하였다. 1991년 윤리강령 개정위원회가 재결성되었고, 1992년 전국사회복지사대회 개회사에서 개정된 사회복지사 윤리강령을 공포하였다. 1992년 제정. 공포된 한국사회복지사 윤리강령은 클라이언트를 복지대상자로 수정하여 사회복지의 이념과 철학, 사회복지사의 사명을 선언문에서 제시하고 열 개 조항으로 이루어졌다. 그러나 이것 역시 사회복지실천 현장에서 발생하는 윤리적 딜레마에 대한 지침이 되기에는 역부족이라는 지적은 계속되었고, 2001년 12월 미국과 같이 여섯 개의 영역으로 구성된 전문직의 윤리지침으로서 강화된 윤리강령이 만들어지게 되었다. 2001년 12월에 개정된 한국의 사회복지사 윤리강령 전문은 ‘인본주의와 평등주의’ 철학을 근거로 하며, 사회복지사의 윤리기준은 기본적 윤리기준(전문성), 클라이언트와의 관계, 동료와의 관계, 사회와의 관계, 기관과의 관계, 윤리위원회의 구성과 운영으로 구분되어 있다.
Ⅳ. 결
현대 사회가 다분화 되면서 발전함에 따라 사회복지실천의 영역은 다양한 문제로의 개입 필요성에 직면하고 있다. 그렇기에 이러한 문제는 윤리적 딜레마를 내포하고 있고 어떠한 특정 개입을 위해 하나의 선택을 내려야 하는 갈등의 상황이 만들어진다. 많은 사회복지사들은 다루기 힘든 윤리적 상황에 직면하여 자신의 가치선택과 행동의 기반으로서 확실한 기준과 동의를 갈망한다. 사회복지 전문직 가치선택을 위한 구체적이고 체계적인 윤리적 의사결정 과정의 제시는 윤리적 딜레마 상황을 더욱 민감하게 인지할 수 있게 하여 다양한 대안을 제시할 수 있게 하고, 더 나아가 윤리적 의사결정을 최선의 방향으로 이끌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기여에 부합될 수 있도록 사회복지 윤리강령은 끊임없이 세분화되고 구체적으로 다듬어져야 할 것이다. 다시 말해서 가치, 지식, 기술을 토대로 하는 사회복지 전문직은 특정 지식이나 개입방법만으로는 온전히 충족될 수 없으며, 뚜렷한 윤리적 가치나 신념이 선행되어야 한다. 전문직의 속성에서 사회복지 가치를 전제로 삼는 윤리강령을 전문직의 중요 기준 중 하나로 꼽은 이유가 바로 여기에 있다고 볼 수 있을 것이다.
* 참고문헌
고수현(2005). 사회복지실천 윤리와 실천. 양서원.
김기덕(2002). 사회복지윤리학. 나눔의 집.
강준렬(1997). 지역사회복지와 사회복지관. 동인.
구종회 외(1999). 산업복지학의 이해. 홍익재.
권도용(1997). 장애인재활복지체계와 실태. 홍익재.
조휘일. 이윤로(1999). 사회복지실천론. 학지사.
장인협(1996). 사회복지학개론. 서울대학교출판부.
이윤로(2006). 최신사회복지실천론. 학지사.
고수현 외(2002). 사회복지개론. 대학출판사.
권육상(1999). 사회복지실천론. 학문사.
김기태 외(2002). 사회복지실천론. 박영사.
김융일 외(1996). 사회복지실천론. 나남출판.
박용순(2001). 사회복지개론. 학지사.
양옥경 외(2000). 사회복지실천론. 나남출판.
양정남 외(2003). 사회복지실천론. 양서원.
엄명용 외(2000). 사회복지실천의 이해. 학지사.
오혜경(2005). 사회복지 윤리와 철학. 창지사.
이영분 외(2002). 사회복지실천. 동인.
키워드
추천자료
사회복지실천의 가치와 윤리
지역사회복지실천의 가치와 윤리적 실천
사회복지실천의 가치와 윤리 내용정리
사회복지실천의 가치와 윤리
지역사회복지실천의 원칙, 가치, 윤리
[사회복지실천기술론] 가치와 윤리에 관하여 설명하고 사회복지실천 현장에서 일어날 수 있는...
사회복지실천에서 가치와 윤리의 필요성에 대하여 기술하시고 이 두 개념의 차이점을 비교하...
사회복지실천의 정의, 가치, 윤리 그리고 7대 관계 원칙을 설명해 보세요.
사회복지실천의 정의, 가치, 윤리 그리고 7대 관계 원칙을 설명해보세요.
사회복지실천에서 윤리의 의미
[사회복지실천] 사회복지실천의 정의와 기본원리 사회복지실천의 가치와 윤리 사회복지실천 ...
사회복지실천론)사회복지사의 실천에 있어서 중요한 것은 여러 가지가 있겠지만 현장에서 일...
사회복지실천에서 윤리적 의사결정의 우선순위에 대해서 설명하고 개인의 자기 결정권에 대해...
사회복지실천의 윤리적 쟁점들 중 전문적 관계유지 관련하여 상황을 설정해보고 그 상황을 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