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지역주의
1. 지역주의란 무엇인가?
2. 지역주의의 확산 요인
3. 세계화와 지역주의: 갈등적인가? 아니면 보완적인가?
4. 지역협력 사례
Ⅱ. 지역통합: 유럽연합의 사례
1. 지역통합에 대한 이론적 설명
2. 유럽통합의 역사
3. 화폐통합: 유럽통합의 완성?
4. 유럽연합의 조직 및 기구
5. 유럽연합과 미국
6. 유럽과 NATO
7. 유렵연합의 미래
1. 지역주의란 무엇인가?
2. 지역주의의 확산 요인
3. 세계화와 지역주의: 갈등적인가? 아니면 보완적인가?
4. 지역협력 사례
Ⅱ. 지역통합: 유럽연합의 사례
1. 지역통합에 대한 이론적 설명
2. 유럽통합의 역사
3. 화폐통합: 유럽통합의 완성?
4. 유럽연합의 조직 및 기구
5. 유럽연합과 미국
6. 유럽과 NATO
7. 유렵연합의 미래
본문내용
은 EU의 군사조직과 NATO의 기능이 중복되며 유럽의 안보는 EU차원에서 해결할 수 있다는 입장을 피력해 왔다.
7. 유렵연합의 미래
1) 공동외교안보정책(Common Foreign and Security Policy: CFSP)?
유럽통합의 심화는 유럽통화동맹으로의 전환을 통한 경제적 통합의 완성과 공동외교안보정책, 내무ㆍ사법 분야에서의 협력 등 세 가지 방향으로 추진되었다. 이중 유럽통화동맹이 출범하면서 EU의 미래는 공동안보정책과 내무ㆍ사법 분야에서의 진전에 달려 있다 해도 과언이 아니다. 공동의 외교안보정책은 외교ㆍ안보에 대해 단일한 입장을 취함으로써 EU의 국제적 위상을 높이고 경제력에 걸맞은 정치ㆍ외교적 영향력을 행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2) 유럽통합의 완성?: EU의 확대와 유럽헌법
2000년 12월 EU는 프랑스 니스에서 EU회원국을 기존 15개국에서 27개국까지 확대할 수 있도록 규정했다. 이에 따라 폴란드를 비롯한 10개 신입회원국들의 가입 여부가 2002년 12월 EU 정상회담에서 결정되었고 2004년에는 10개국이 가입했고 2007년에는 루마니아, 불가리아가 회원국이 될 전망이다.
이러한 EU의 확대와 함께 EU의 제도적 통합의 심화도 이루어지고 있다. 2004년 6월의 EU 정상회의에서 EU 헌법안의 최종 채택되었으며 2004년 7월 EU 의회가 이를 비준했다. EU 헌법이 효력을 발휘하기 위해서는 25개국의 모든 회원국이 의회의 비준이나 국민투표를 거쳐 이를 완성해야 한다. 그렇게 되면 2007년부터 발표하게 된다, EU 헌법의 정식명칭은 ‘유럽헌법제정조약’이다.
7. 유렵연합의 미래
1) 공동외교안보정책(Common Foreign and Security Policy: CFSP)?
유럽통합의 심화는 유럽통화동맹으로의 전환을 통한 경제적 통합의 완성과 공동외교안보정책, 내무ㆍ사법 분야에서의 협력 등 세 가지 방향으로 추진되었다. 이중 유럽통화동맹이 출범하면서 EU의 미래는 공동안보정책과 내무ㆍ사법 분야에서의 진전에 달려 있다 해도 과언이 아니다. 공동의 외교안보정책은 외교ㆍ안보에 대해 단일한 입장을 취함으로써 EU의 국제적 위상을 높이고 경제력에 걸맞은 정치ㆍ외교적 영향력을 행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2) 유럽통합의 완성?: EU의 확대와 유럽헌법
2000년 12월 EU는 프랑스 니스에서 EU회원국을 기존 15개국에서 27개국까지 확대할 수 있도록 규정했다. 이에 따라 폴란드를 비롯한 10개 신입회원국들의 가입 여부가 2002년 12월 EU 정상회담에서 결정되었고 2004년에는 10개국이 가입했고 2007년에는 루마니아, 불가리아가 회원국이 될 전망이다.
이러한 EU의 확대와 함께 EU의 제도적 통합의 심화도 이루어지고 있다. 2004년 6월의 EU 정상회의에서 EU 헌법안의 최종 채택되었으며 2004년 7월 EU 의회가 이를 비준했다. EU 헌법이 효력을 발휘하기 위해서는 25개국의 모든 회원국이 의회의 비준이나 국민투표를 거쳐 이를 완성해야 한다. 그렇게 되면 2007년부터 발표하게 된다, EU 헌법의 정식명칭은 ‘유럽헌법제정조약’이다.
추천자료
지역통합 유형과 EU의 발전과정
유럽연합(EU)에 대하여-유럽공동체
동북아 지역통합
국제지역경제통합론
지역경제통합
한국, 중국, 일본 지역경제통합의 이론적 고찰
[프랑스와 유럽, 레포트] 유럽연합의 형성 배경, 과정 및 유럽에 미치고 있는 영향
지역경제통합과_경제적_효과
[A+] 유럽연합과 독일 - 유럽연합 가입국, 유럽연합의 변화과정, 설립배경, 마스트리히트 조...
[이동통신기술개발, 일본, 유럽연합, EU, 한일기술정책, 에릭손]이동통신기술개발과 일본, 이...
[벤처기업][벤처기업 유럽연합 사례][벤처기업 경영전략]벤처기업의 정의, 벤처기업의 유형, ...
국제물류 - 한국의 FTA 및 지역통합경제기구
유럽연합과 몰타·키프로스 두 섬나라의 개관, 역사, 유럽연합 가입으로의 과정
지역사회청소년통합지원체계에 대해 기술하고, 현 시스템의 단점과 그에 대한 개선방안(개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