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이휘소의 삶
a. 이휘소의 태생
b. 미국으로 건너간 배경과 생활
2. 이휘소의 죽음에 대한 여러 가지 오해와 진실.
3. 이휘소에 대한 견해
a. 소설과 영화로써 재 조명된 이휘소
b. 일반인들이 바라보는 이휘소
c. 제자 강주상이 바라본 이휘소
a. 이휘소의 태생
b. 미국으로 건너간 배경과 생활
2. 이휘소의 죽음에 대한 여러 가지 오해와 진실.
3. 이휘소에 대한 견해
a. 소설과 영화로써 재 조명된 이휘소
b. 일반인들이 바라보는 이휘소
c. 제자 강주상이 바라본 이휘소
본문내용
소에게 60년대 중반에 노벨상을 주어야 했다고 말했으며 겔만, 살람, 오펜하이머 등 많은 노벨상 수상자들과 세계 과학계의 거목들조차 이휘소 박사가 최고였다는 사실을 인정하였다. 이 사회가 이러한 그에 대해 그 동안의 대우가 부족했던 것은 아닌지 모르겠다. 지금이라도 그 동안의 억측과 소문이 바로 잡힌 평가를 해야 할 때이다. 한국 사회가 그에게 국민훈장 동백장을 준 것과 그를 과학기술인 명예의 전당에 모시는 것만으로 그에 대한 예우가 끝난 것은 아니다. 이휘소가 제시하고 간 메시지, 전쟁의 암울함을 극복한 한국이 이제는 한국 과학 기술의 발전을 이뤄 세계 속에 당당히 그 이름을 내밀 때, 그에 대한 진정한 예우를 다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나 자신 또한 많은 노력을 해야 하겠고 많은 이들, 모든 사람들이 이휘소에 대한 진실을 알아야 하는 변화가 요구된다. 이휘소야 말로 진정한 과학자이며 한국인이자 나아가서 세계인이다.
※ 참고문헌
- 강주상, 『이휘소 평전』,(도서출판 럭스미디어, 2006년 8월)
- 이용포, 『이휘소-못다 핀 천재 물리학자』, (도서출판 작은씨앗, 2006년 8월)
- 김학진, 『이휘소의 삶과 죽음』, (과학동아 1991년 6월호)
※ 참고문헌
- 강주상, 『이휘소 평전』,(도서출판 럭스미디어, 2006년 8월)
- 이용포, 『이휘소-못다 핀 천재 물리학자』, (도서출판 작은씨앗, 2006년 8월)
- 김학진, 『이휘소의 삶과 죽음』, (과학동아 1991년 6월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