젊은이들의 언어사용 실태와 원인 분석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Ⅰ. 들어가며

Ⅱ. 신세대들의 언어사용의 실태
1. 속어·은어·비어의 사전적 의미와 해석
1) 속어( 俗語, slang )의 사전적 의미와 해석
2) 은어( 隱語, argot )의 사전적 의미와 해석
3) 비어( 卑語 )의 사전적 의미와 해석
2. 신세대들이 사용하고 있는 속어·은어·비어
1) 음운축약 및 생략의 언어
2) 발음과정의 왜곡을 통해서 변형된 언어와 글자를 한두자씩 바꿔 어감을 바꾸거나 뜻을 바꾼 새로운 언어
3) 일상어처럼 쓰이는 언어
4) 연상작용에 의해 탄생된 언어
5) 일본어계열의 언어와 출처불명·해독불능의 언어
3. 신세대들이 은어를 사용하는 이유
1) 또래집단 내에서의 동질성 확인절차
2) 인터넷 사용에 의한 언어파괴

Ⅲ. 나오며

본문내용

원인으로 꼽을 수가 있겠다.
Ⅲ. 나오며
지금까지 신세대들이 사용하는 언어(은어·속어)에 대해 알아보았고, 그들이 왜 은어를 계속 사용하고 있는지를 살펴보았다. 언어는 우리의 생각이나 느낌을 전달하는 도구가 될 뿐 아니라 우리의 생각과 행동을 규제한다. 난폭하고 거친 말은 우리의 생각과 행동을 난폭하고 거칠게 만드는 것이다. 특히 감수성이 예민하고 외부 세계에 대한 호기심이 왕성할 때인 청소년 시기에 이러한 비속어를 일상생활 속에서 남발한다는 것은 본인은 물론 사회 전체적으로 봐서도 큰 악영향을 미치지 않을까 우려되는 현실이다.
하지만 신세대들에게는 지나칠 정도로 은어나 속어의 사용이 당연시되고 있으며, 일상어로까지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은어의 사용은 그들끼리 유대감을 형성하게 해 줄 수 있고, 언어생활에 있어서 재미를 더해 줄 수도 있을 것이다. 하지만 그들의 언어는 그들 자신을 병들게 만들 것이며, 세대간 공감대의 형성을 괴리 시켜 세대간의 단절을 가져올 것이다. 자신의 자식이 친구들과 대화를 나누는 것을 듣게 된 부모들은 과연 무슨 생각을 할 것인지 생각해 볼 문제이다.
또한 요즈음에는 이들 신세대를 중심으로 한 무분별한 은어와 비어의 사용이 인터넷을 통해 급속도로 사회 각 분야에 걸쳐 번져 나가고 있으며 이러한 사실은 현재 우리나라 국어 파괴의 가장 큰 주요인으로 인터넷 상에서의 신세대들에 의한 무분별한 비어와 속어, 은어의 남발 등을 꼽고 있을 정도이다. 과거와는 달리 이들에 의한 비어, 속어의 사용이 또래 집단에서의 은어만으로 끝나지가 않고 현재는 인터넷이라는 매개체를 통해 전 사회, 전 계층을 상대로 실시간으로 펴져 가고 있는 것이다. 결국 우리말의 순화라는 측면에서도 이들의 무분별한 은어와 비속어의 사용은 자제되어야 할 것이다.
'언어는 정신의 얼굴'이라는 말이 있다. 우리의 신세대들은 이들 언어를 통한 또래와의 동질성 확인이나 친밀감 형성 등을 가지는 것도 좋지만, 그러나 무엇보다 무분별한 언어사용으로 자신의 정신세계를 황폐화시키고 나아가서는 세대간의 단절을 가져오며 우리 고유의 언어체계를 파괴시킬 수도 있는 올바르지 못한 은어, 비어, 속어 등의 상용에 대해 다시금 생각해 봐야 할 것이다.
참고자료
부산일보 홈페이지(www.pusanilbo.com)
스포츠투데이 홈페이지(www.sportstoday.co.kr)
소비자행동론(Hawkins, Best, Coney 저): 신세대의 특징
  • 가격1,6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08.01.23
  • 저작시기2008.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4824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