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이민정책, 미국이민과 구소련이민비교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미국의 이민정책과 한국인의 이민

한국인의 미국이민과 구소련 이민의 성격상 차이

본문내용

인은 약 1만 9천 달러로 2만 달러에 미치지 못한다. 인도인이 2만 7,514달러, 백인이 2만 3,918달러, 중국인 2만 3,756달러 필리핀인 2만 1,267달러, 태국인 1만 9,066달러, 한인 1만 8,805 달러의 순이다. 한인의 일인당 소득수준은 아시아인 가운데에서도 낮은 편임을 알 수 있다.
■ 정착 과정에서의 유사성
구소련체제의 민족계층체계에서 한인들은 상층의 러시아인들과 하층의 소수민족집단들 사이에서 중간 위치를 차지하면서 이러한 불평등 계층체계로부터 혜택을 받아왔고 그 체계를 옹호하는 성향이 강하다고 평가할 수 있겠다. 중앙아시아의 한인들은 상층을 차지하였던 러시아인들과 하층을 이루었던 현지인들 사이에서 중간소수민족의 역할을 수행하였고 그 역할 덕분에 전문직, 공무원, 상인 등의 높은 사회경제적 지위를 누릴 수 있었기 때문이다. 그러나 이러한 중간소수민족들은 정치적 위기 시에는 피압박 하층계급의 분노와 좌절을 대신 뒤집어쓰는 상층계급의 완충물 또는 희생양이 되기 쉽다. 한인들에 대한 차별이 점차 노골화되어가고 있으며 앞으로 중앙아시아에서 도시화가 더욱 진행될수록 도시에서의 직업을 놓고 한인과 현지인과의 경쟁과 갈등은 더욱 심화되고 있다. 이러한 암울한 장래를 피하기 위해서 최근 몇 년 동안 연해주로 약 7,500명의 한인들이 이주한 것으로 알려지고 있으며 이러한 추세는 계속 증가할 것으로 예측 된다.
미국에 거주하는 재미동포들의 경우에서도 지배집단인 백인과 피지배집단인 소수민족들 중간적인 사회경제적인 지위를 차지하고 특히 일부 자영업 업종에서는(예를 들어 주류소매점이나 식료품) 백인자본가와 소수민족 소비자들 사이에서는 중간상인역할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1992년 4월 29일의 로스앤젤레스 인종폭동 당시 많은 한인 업소들이 흑인과 라틴계 주민들에 의해 약탈과 방화를 당한 것은 평소에 소수민족 고객들을 무시하는 태도와 자신들의 지역에서 장사를 하면서도 경제적으로 기여는 하지 못하고 오히려 재원을 밖으로 빼나간다는 부정적인 시각이 큰 역할을 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 참고 문헌
- 재미한인사회의 경제 환경/ 김 태 기 외 4명/ 집 문 당/ 2005
- 고려인 인구 이동과 경제 환경/ 남 혜 경 외5명/ 집 문 당/ 2005
- 독립국가연합 한인의 민족관계에 관한 의식 / 윤 인 진/ 고려대 사회학과
- 다민족 국가의 민족문제와 한인사회/ 최 협, 이광규/ 집 문 당/ 1998

키워드

  • 가격1,0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08.01.25
  • 저작시기2006.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4843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