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비문학개론-수수께끼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수수께끼의 명칭과 정의

2. 수수께끼의 연구사

3. 수수께끼의 형성과 변천

4. 수수께끼의 갈래

5. 수수께끼의 특징

6. 수수께끼의 수사기법

7. 수수께끼의 틀과 배경지식

8. 수수께끼에 나타난 사회의식

9. 다른 문학 장르 속에서 나타난 수수께끼

10. 수수께끼의 기능과 특징

본문내용

야기 등을 생각하면 쉬울 것이다. 우리 설화로는 모두들 잘 알고 있을 유명한 <선덕여왕 지기삼사 설화(善德女王知機三事說話)>를 소개한다.
선덕여왕의 지혜로움과 비범함을 보여주는 이야기로 <삼국유사> 권1 기이편(奇異編) 에 수록되어 있으며, 세 가지 설화를 그 내용으로 하고 있다. 이 세 이야기 중 하나가 수수께끼를 소재로 하고 있다.
<옥문지 이야기>
선덕여왕 5년에 영묘사 옥문지에서 겨울인데 개구리가 모여 3,4일 동안 울었다. 이 사실을 왕에게 고하였더니 여왕은 신하들에게 일러 서쪽 여근곡에 적병이 숨어 있을 것이니 이를 잡아 죽이라 하였다. 과연 부산 아래 여근곡에 백제군 5백 명이 숨어 있어 이를 모두 잡아 죽이고 백제장군 우소는 남산에 숨어있어 포위하여 활로 쏘아 죽였다. 이 여근곡은 산의 모습이 꼭 여자의 음부 같이 생겼고 검은 솔이 울창한 송림을 이루고 있는데 그 솔밭 가운데 오목하게 들어간 계곡 가운데 맑은 물이 솟아나는 샘이 하나 있다. 여왕은 개구리의 노한 형상은 병사의 형상이며 옥문(玉門)은 여근(女根)이니 여근(女根)은 음(陰)이요 그 빛이 희고 또 흰 것은 서(西)쪽이니 적군이 서(西)쪽에 있음을 알았다는 것이다. 그리고「남근입어여근(男根入於女根), 즉필사의(則必死矣)」이므로 여근곡(女根谷)에서 적을 잡기가 쉬울 것임을 알았다고 했다. 이렇듯 음양의 이치를 잘 아는 것을 보면 선덕여왕(善德女王)은 남편이 없는데 아마도 남자하고 사랑을 해본 모양이다.(출처http://www.historia.co.kr/)
즉 겨울에 개구리가 겨울에 모여운다는 수수께끼같은 기이현상을 해석하길
1. 개구리->병사:즉 벅병이 숨어 있음을 알고
2. 옥문지->여성의 성기->여근곡->음의 기운을 상징->음은 흰색상징->흰색은 서쪽 :즉 적은 서쪽에 있음
3 음양에 이치에따라 음을 상징하는 여근곡에서 양의 기운을 가진 장병들에의해 적군을 잡기 쉬울거라고 해석
http://www.kbs.co.kr/korea/enter/ani/vod/1204100_2427.html
동영상 12분 27초 ~15초 24
<유리왕 이야기>
삼국사기 [고구려본기(高句麗本紀)]에 소개된 유리왕 설화에 따르면, 유리는 주몽이 부여에 있을 때 얻은 부인이 주몽의 독신 남하 후에 낳은 아들. 부여에서 아비 없는 자식이라고 멸시를 당하던 유리는 아버지가 낸 수수께끼를 풀어 주춧돌 아래 숨겨진 칼 조각을 찾아낸 뒤 남녘에서 왕이 된 아버지 주몽을 찾아갔다고 한다.(7고개 7골짜기 넘어 그 위의 소나무 속에 증표를 묻어 두었으니 찾아오라는 수수께끼)
http://www.kbs.co.kr/korea/enter/ani/vod/1338272_2427.html
7분06초~9분 35초
2)시속에 채용된 수수께끼
비유적 표현을 사용한다는 점에서 볼 때 수수께끼와 시는 밀접한 관련이 있다고 할 수 있다.시 속에 수수께끼에서와 같은 유사성을 이용한 은폐를 볼 수 있다.
고려조 말에 유행했다는 <木子得國>노래도 글자의 외형의 유사성을 이용한 파자 수수께끼로 목(木)자와 자(子)자를 합치면 이(李)자가 되므로 즉 이씨가 나라를 얻어 왕업을 이룬다는 뜻을 은폐하고 있는 것이다.
-윤선도의 <오우가(五友歌)>6수중에서 5수인 시조도 수수께끼적 발상을 담고 있다.
나무도 아닌것이 풀도 아닌것이
곧기는 뉘 시기며 속은 어이 비었느냐
저렇게 사시에 푸르니 그를 좋아하노라
여기서 나무도 아닌 것이 풀도 아니다,누가시켜 그리 곧으며 속은 또 어찌 비었느냐? 라는 물음은 대나무라는 답을 이끌어 낼 수 있는 수수께끼적 수사기법을 볼 수 가 있다.
3)민요에 채용된 수수께끼
수수께끼에서 나타나는 음성적 유사성에 의한 이중약호(동일어가 두 개 이상의 다른 기능을 갖게 하는 어법)가 드러난다.이중약호를 사용함으로써 언어유희의 효과를 창출하는 경우에서 그 전형적인 예를 찾아볼 수 있다. 다음과 같은 <장타령>도 이중약호에 의한 언어유희를 나타낸다.
얼허라 품바 각설아 질거 질거 잘하네
뛰는 고리는 개고리 거는 고리는 문고리
얼허라 품바 각설아 질거 질거 잘하네
입는 고리는 저고리 거는 고리는 문고리
설설긴다 기개장 무릎 아파 몬보고
앉아본다 안간장 고개 아퍼 몬보고
서서본다 서울장 다리 아퍼 몬보고
입크다 대구장 무서워서 몬보고
도보한다 경주장 숨이 가뻐 몬보고
울울적적 울산장 답답해서 몬보고
국끼린다 장내장 묵고싶어 몬보고
초상났다 상주장 시끄러워 몬보고
개고리,문고리,저고리에서 공통적으로 나타나는 '고리'라는 것에 이중약호에 의한 수께끼인
"고리는 고린데 뛰는 고리는?"
"고리는 고린데 입는 고리는?"등으로 전황할 수 있는 수수께끼적 의문이 잠재되어 있고
장을 묘사하는 부분도 이중약호에 의한 언어유희를 이끌어낸다
대구장-대구(지명/생선)
장내장-장내(지명/장의 냄새)
4)소설, 가면극에 채용된 수수께끼
*박지원의<호질> '검은 머리' 라는 표현으로 인간을 비꼬꼬 있다.
->검은 머리 짐승은?=사람/이라는 수수께끼의 차용
10. 수수께끼의 기능과 특징
1)수수께끼의 기능
수수께끼는 사회적 그리고 교육적 마지막으로 문학적 여러 기능을 가지고 있다.
첫째로 수수께끼는 문항과 답항의 이원 구조로 되어 있기 때문에 설문자와 해답자 이 두명이 반드시 있어야 놀이판이 성립되고 그에 따라 수수께끼를 주고 받는 사이에 인간 관계의 사회성을 함양한다.
둘째 수수께끼의 문항에는 풀기 어려운 오도의 함정과 미로가 동시에 잠재되어 있기 때문에 해답을 이끌어 내려면 문항에 대한 정확한 이해와 그에 따른 상상력, 추리력, 판단력이 요구됨으로써 사고력의 발달을 가져올 수 있다.
셋째 수수께끼는 언어 유희적인 단형의 구비문학이기 때문에 문항을 만들 때 정확한 언어의 구사력, 문학적 형상력이 요구되기 때문에 그것에 대한 신장력을 길러준다.
넷째 수수께끼는 보통 인간 생활에 흔히 쓰이거나 주위의 생활세계, 사물 현상과 많이 결부되어 제기되는 만큼 설문자와 해답자의 현실에 대한 폭 넓은 이해와 인식, 생활에 대한 관찰력을 길러준다.
마지막으로 수수께끼의 일부에는 시대성을 반영하고 세태를 풍자한 것이 있어, 인간의 삶에 교훈적 기능도 일부 담당한다.

키워드

수수께끼,   구비,   문학,   국문학,   전래,   전승
  • 가격2,000
  • 페이지수12페이지
  • 등록일2008.01.27
  • 저작시기2008.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4855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