폐렴 pneumonia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Ⅰ. 서론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Ⅱ. 문헌고찰
1. 폐렴 pneumonia의 정의
2. 폐렴 pneumonia의 원인
3. 폐렴 pneumonia의 증상
4. 폐렴 pneumonia의 치료

Ⅲ. 연구기간 및 방법

Ⅳ. 간호과정
1. 간호사정
2. 간호진단

본문내용

TV 만화를 시청하도록 엄마에게 설명하였다.
⑤ 간호사는 처방된 진해제를 투여하였다.
평 가
환아의 통증척도는 3점 ‘훨씬 아프다’였으며 활력징후는 모두 정상이었다.
환아가 많이 칭얼댈 때 엄마는 조용한 곳으로 데리고 가기보다는 주의를
다른 곳으로 돌리도록 하며 많이 어루만져 주는 모습을 보이셨다.
진해제의 투여로 엄마는 환아의 기침이 어제보다는 덜한 듯 하나 그래도
많이 한다고 말씀하셨다.
간호진단
#2. 과도한 기관지 분비물과 관련된 기도개방유지 불능 (5/24)
사 정
S. “애가 기침을 하면 가래 섞인 기침을 너무 해대요.”
“애가 목이 찝찝하다고 하네요. 아마 가래 때문에 그런가봐요.”
“콧물이 흐르지는 않는데 안에 고여 있어요.”
“자면서 코가 막히니까 깊이 못 자는 것 같애요. 잘 보채요.”
O. 청진 시 비정상적인 호흡음이 들린다.
기침을 할 때 가래 끓는 소리가 들린다.
잘 때 코골음이 심하다.
아침에는 코 안이 분비물로 더럽혀져 있다.
목 표
효율적인 기침과 객담배출로 정상호흡음을 유지한다.
객담배출이 용이하다.
계 획
① 호흡양상을 사정한다.
② 기침과 심호흡을 자주 하도록 한다.
- 의식적으로 호흡을 조절하는 방법은 폐포의 가스교환을 증진시키고,
폐내에 공기가 축적되는 것을 방지하므로 더욱 효과적으로 호흡할 수
있다.
③ 기침시 흉부를 지지해준다.
④ 구강으로 수분을 섭취하도록 격려한다.
⑤ 적절한 습도를 유지한다.
- 객담을 묽게하여 배출을 용이하게 한다.
⑥ 체위변경을 격려한다.
- 기관지와 폐의 병변이 있는 부위의 분비물을 이동시켜서 배출을
유도한다.
수 행
① 청진을 하여 호흡음을 사정하고 호흡수를 측정하였다.
② 기침을 유도하면 호흡기에 힘이 가해져서 분비물 배출이 보다 용이해 질 수 있고 의식적인 호흡은 폐포의 가스교환을 증진시킬 수 있음을
교육하고 환아가 기침과 호흡을 적절히 하도록 격려하였다. 이 때
semi-Fowler's position이 가장 적절함을 교육하였다.
③ 환아가 기침을 할 때 등을 두드려주고 엄마에게도 교육하였다.
④ 환아가 구강으로 음료를 적절히 섭취하도록 교육하였다.
⑤ 가습기를 씻고 틀어주었다.
⑥ 하루 3회 체위변경을 격려하고 엄마에게 분비물 배출을 유도하기 위해
환아가 체위변경을 하도록 교육하였다.
평 가
그렁그렁거리는 소리의 비정상적인 호흡음이 청진되었고 호흡수는
정상범위 내에 있었다. 기침을 유도하도록 하였으나 환아가 의식적으로
기침하기를 거부하여 제대로 된 수행을 하지 못하여 아쉬웠다. 환아가
기침을 할 때 등을 두들겨주니 객담 배출이 쉬웠고 엄마도 애가 훨씬 편해
한다면서 좋아하는 모습을 보이셨다. 환아는 구강으로 적절한 수분섭취를
하고 있었고 하루 3회 체위변경으로 분비물 배출이 나아짐을 보였다.
간호진단
#3. 분비물과 관련된 수면장애 (5/24)
사 정
S. “애가 밤에 깊이 잠을 못 자요. 코가 막혀서 답답해서….”
O. 코골음이 심하다.
분비물로 인해 코가 막혀 있는 것을 관찰하였다.
낮잠을 많이 잔다.
활기찬 활동을 하지 않는다.
목 표
환아는 충분히 수면을 취할 수 있다.
수면부족의 신체적 징후 및 행동이 나타나지 않는다.
계 획
① 수면장애 요인을 사정한다.
② 일반적인 수면 보조물을 제공한다.
③ 수면을 유도하는 조용한 환경을 만든다.
④ 정상적인 수면을 증진시키기 위해 처방된 약물을 투여한다.
⑤ 과다한 낮잠을 취하지 않게 한다.
수 행
① 엄마에게 환아의 수면부족에 대해 질문하였다.
② 따뜻한 우유를 자기 전 마시게 한다거나 평소 환아가 안고자는 인형
같은 것을 안고 자게 한다거나 하는 등의 수면 보조물을 제공하도록
엄마에게 교육하였다.
③ 커튼을 치거나 조명을 조절하거나 문을 닫는등의 수면을 유도하는
환경을 만들도록 엄마에게 교육하였다.
④ 간호사는 분비물을 묽게 하는 처방된 약을 투여하였다.
⑤ 환아의 낮잠을 조절하였다.
평 가
환아의 수면장애 요인인 코막힘에 대한 수행이 없는 것 같았고 환아가
다인실을 사용중이어서 밤사이 주위 아기들의 울음 때문에 조용한 수면
환경을 만드는 것은 어려웠다.
Ⅴ. 결론
아동병동 실습은 처음이었는데 보호자가 많이 예민하고 아이 다루기가 쉽지 않아 성인병동 보다 실습하기가 어려울 것이라는 말을 듣고 나가서인지 첫날 많이 긴장해 있었다. 하지만 생각 외로 보호자들도 많이 까다롭지 않았고 환아들도 너무 귀엽기만 하였다. 내가 아이를 잘 다루지 못해서이지 아이들이 말을 듣지 않는 것은 아니었다.
첫날에는 내가 아이들에게 다가가는 모습이 많이 어색하고 어려웠지만 점차 보다 나아지는 모습을 스스로 느꼈고 간호사만 보면 주사 놓고 아프게 하는 줄 알고 근처에도 오지 못하게 자지러질 듯 울어대던 아이가 나중에는 알아서 귀 내밀고 가슴 내밀고 먹고 있던 과자를 나누어 주고 퇴원하면서 안녕 인사해 오는 모습이 너무 귀엽고 뿌듯하기도 하였다.
아동을 대상으로 case study를 해보는 것은 처음이어서 많이 낯설고 어려움이 있었다. 어린 자식이 아파서 병원에 입원 해 있는 만큼 부모들이 쉽게 민감해 질 수 있으므로 사정하는데 긴장을 많이 하였으나 다행히 잘 협조해 주셔서 무난하게 할 수 있었다. 하지만 환아가 부끄럼이 많아 대답할 수 있는 질문에도 베시시 웃기만 할 뿐 대답을 하지 않아서 보다 정확한 사정이 아쉬웠다.
그러나 나에게 대답 한 번 해주지 않은 아이였지만 증상이 호전되어 퇴원할 때 방방 뛰며 기뻐하는 모습을 보니 너무 예쁘고 뿌듯함과 함께 아쉬움이 들었다.
이번 기회를 통해 성인과는 다른 아이들의 여러 증상들을 공부할 수 있었고 아동병동에서 환아와 보호자를 대할 때의 태도도 많이 배울 수 있어서 알찬 실습을 하였다는 느낌과 늘 그렇듯 좀 더 잘 할 수 있었을텐데 하는 아쉬움으로 실습을 마쳤다.
※ 참고문헌
성인간호학<상> - 현문사 p.721~726
간호진단과 계획 - 서울대학교 출판부 p.70, 71
간호진단과 간호중재 - 현문사 p.152~156 p.350~353
http://www.kimsonline.co.kr/
http://healthcare.joins.com/ency/ency/ency.asp?code=573

키워드

폐렴,   ,   pneumonia
  • 가격2,000
  • 페이지수11페이지
  • 등록일2008.01.28
  • 저작시기2007.1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4875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