풍수 인테리어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풍수 인테리어
1. 안방은 중심에 있고, 어두워야 좋다.

2. 현관은 마당과 주택의 중심축에 설치한다.

3. 거실은 집의 중심에 두고, 천장을 높게 한다.

4. 부엌은 거실과 이어지는 곳에 둔다.

5. 화장실은 구석에 둔다.

6. 방 평면은 정방형이 가장 이상적이다.

7. 천장은 원형 형태가 가장 이상적이다.

8. 창문은 아담한 것이 좋다.

9. 계단실에는 문을 설치한다.

본문내용

있어야 길한데, 만일 창문이 하부에 설치돼 있다면 불행하다. 창문 형태에 따라서도 기운이 달라진다. 대부분의 형태로 수평적 형태인 창문의 경우는, 폭은 큰 데 반해 높이가 낮은 것으로서 차분하며 안정적인 기운을 준다. 오행의 기운으로 분석하면 물(水)에 해당되며, 나무 형태에 비유하면 죽어 쓰러진 형태의 나무를 의미한다. 물의 분위기는 차분하며 정적인데, 이런 기운을 그대로 닮았으나 진취적인 기상은 부족하다. 창문 폭은 좁은 데 반해 높이가 높은 창문은 외형적으로 수직 적인 형태를 이루고 있다. 천장이 높은 공간에서는 수직형 창문 을 설치하기 쉬워 흔히 교회나 성당 등에서 이런 창문을 많이 이용하고 있다. 그러 나 천장이 낮은 일반 주택이나 사무실 등에서 수직형 창문을 설치하려면 창문 폭을 좁게 하고 방바닥부터 천장까지 닿도록 창문을 만들어야 하는 어려운 점이 있다. 수직형 창문은 오행으로는 목(木)에 해당된다. 나무는 수직 상승하는 기운을 갖고 있으므로, 수직형 창문은 살아 있는 나무 와 같이 하늘로 올라가려는 활동적인 기운을 갖고 있다. 개인 주택이나 사무실 에 이런 창문을 설치한다면 보다 활동적이고 생동적인 분위기를 이끌어낼 수 있다. 창문 폭과 높이가 같은 정사각형 창문은 오행으로는 흙(土) 에 속한다. 흙은 균형 감각과 포용력을 갖고 있으므로 정사각형 창문은 수직과 수평의 두 기운이 서로 균형을 이룬다. 수평적인 창문보다는 생동감을 주고, 수직적인 창문보다는 안정감을 준다. 원형 창문은 오행으로는 금(金)에 해당되며, 사계절에 비하 면 가을과 같다. 가을은 곡식을 여물게 하고, 원형은 구심력과 수축력을 의미한다. 또 둥근 형태는 음양으로 본다면 하늘을 의미한다. 따라서 원형 창문은 무한한 힘과 생명력을 갖게 한다. 삼각형 창문은 오행으로는 불(火)에 해당된다. 불은 폭발하며 확산되는 기운을 갖고 있다. 삼각형 창문은 이런 폭발과 투쟁, 상처 등을 의미한다.
9. 계단실에는 문을 설치한다.
2층 구조의 단독 주택의 내부 계단은 1층과 2층을 서로 연결 하며, 다시 옥상이나 물탱크실로 연결된다. 이처럼 천장이 수직 적으로 높은 계단실은 주택 내부의 기운이 외부로 배출되는 통로가 된다. 계단실의 바람 배출 작용은 거실의 기운은 물론 집안 전체의 기운 을 감소시켜서 좋지 않다. 따라서 계단에 의한 기운 분산 현상을 막기 위해서는 계단 실 입구에 출입문을 설치, 바람의 손실을 가급적 억제하는 것이 좋다.
  • 가격1,0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10.05.11
  • 저작시기2008.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4884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