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구 장애인 구민의식 개선과 복지시설 확충을 위한 프로그램
본 자료는 5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해당 자료는 5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5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북구 장애인 구민의식 개선과 복지시설 확충을 위한 프로그램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기 관 소 개-----------------------2

2.목 적-----------------------3

3.필 요 성-----------------------4

4.목 표-----------------------5

5.기 본 방 침-----------------------5

6.운 영 조 직 도------------------6

7.부서별 주요업무-----------------7

8.운영 프로그램--------------------8

9.세 부 운 영 계 획--------------9

10.세부프로그램계획--------------11

11.예 산 금 액-----------------------16

12.기 대 효 과-----------------------17

13.홍 보 방 법-----------------------18

본문내용

0 분
- 15 -
11. 예 산 금 액
1. 수입
구분
금 액
비고
복 지 관 배 정 예 산
5.000.000원
삼 성 지 원 금
5.000.000원
북 구 청 후 원 금
500.000원
회 비
500.000원
1인당 1만원

11.000.000원
2. 지출
구분
금 액
비고




강의 및 토의
130.000원
역 할 극
80.000원
현장견학 및 장애실습
310.000원
캠프
4.720.000원
홍보 캠페인 및 수려식
430.000원
강사비
800.000원
1명당 20만원
밥 값 및 간 식 비
3.400.000원
7끼니 55명
시설 유지 및 관리비
450.000원
기 타 사 항
20.000원

10.340.000원
3. 잔액 - 660.000원
- 16 -
12. 기 대 효 과
1. 북구지역의 장애인 편의시설 확충
장애인 시설 추가확충 지역으로써의 탈피하고, 장애인들이 아무런 어려움 없이 각종 원하는 시설을 확충하여, 지역사회 문제로 대두되는 장애인 문제를 해결한다. 또한 장애 문제를 해결함과 동시에 지역사회 발전에도 이바지하여, 전국 최고의 장애인 편의시설 지역으로 거듭난다.
2. 북구지역 주민들의 의식 개선
지역주민들을 위한 이동복지관 교육과 장애실습 및 장애인 캠프를 통하여, 장애인들에 대한 인식을 개선하여, 장애인에 대한 사회문제를 최소화시키고, 더불어 살아가는 지역사회를 건설한다.
3. 북구 장애인에 대한 네트워크 형성 및 지속적인 관리체계 확립
장애인에 대한 관리 체계가 체계적으로 이루어짐으로써, 그동안 등록하지 못했던 장애인들에 대한 관리가 원활하게 이루어져서 그들의 권리를 보호할 수 있다. 또한 중증장애인, 여성장애인, 학령기 및 미취학 아동, 취업 및 실직장애인 등 취약 계층의 각종 장애실태 파악이 용이해지며, 원활한 관리를 통하여, 그들의 권익보호와 사회참여에 이바지한다.
4. 적극적인 사회참여 의지 고취 및 지역사회 발전
장애인들에 대한 지역사회 차원에서의 지원과 교육 및 일자리 알선을 통하여, 그들로 하여금 사회참여를 유도한다. 또한 장애인들의 입장에서는 스스로의 적극적인 참여의지를 고취시킬 수 있을 것이다. 그리하여, 지역사회 발전에 이바지한다.
5. 여성장애인에 대한 종합적 문제 해결
여성장애인은 임신, 출산, 육아 및 가사 등으로의 특수한 문제점들이 발생하는데, 이러한 문제들을 여성장애인종합지원센터를 설립하고, 관리함으로써 해결할 수가 있다. 그리하여 여성장애인의 인권과 그들의 인간다운 생활을 보장하며, 기본적이고 안정적인 생활을 누릴 수 있게 된다.
- 17 -
13. 홍 보 방 법
1. 공문(=시행문) 발송 : 대구에 있는 각 기관(교육문화)에 신청서를 첨부하여 공문을 발송하여, 지역주민들을 모집한다. 신청서를 동봉한 우편으로 접수하며, 공문신청서의 접수기간은 각 기관의 공문 수발일로 부터 30일로 제한한다. 발송한 우편의 수발처는 대구광역시 북 구 어울림 종합사회복지관 상담교육팀 팀장인 프로그램 담당 자 이건호 사회복지사가 수발 할 수 있도록 한다.
2. 전단지 : 북구 지역의 유동인구가 많은 곳을 중심으로 하여, 책상 및 의자를 설치하 여 신청서 수발처“를 설치하고, 홍보 전단지를 배부하면서 즉흥적으로 신청 자를 모집한다. 기간은 주 1회로 제한하며, 계좌번호를 알려주어 04년 7월 31일까지 참가비(10000원정)을 입금하는 지역주민에 한해서 신청을 받는다. 또한 전단지 신청 대상을 북구 지역에 거주지를 둔 자에 한한다.
계좌번호 : 대구은행 082 - 08 - 112474 - 04 어울림종합사회복지관
3. 포스터 : 지역주민들이 포스터를 보고 참여할 수 있도록 각 기관들이나 아파트 및 손쉽게 볼 수 있는 곳에 300부를 제작하여, 부착시킨다. 포스터를 보고 신 청하는 지역주민들은 전화로 신청을 받으며, 무조건 참석 여부를 확인한 후 에 접수를 한다. 이들 또한 전단지 마케팅과 같은 방식으로 은행계좌 송금 함을 원칙으로 한다.
크기 : 50cm × 1m (가로×세로)
제작 : 밑바탕에 삼색 이하로 선정하여, 제작한다.
4. 현수막 : 지역주민들의 유동인구가 많은 곳의 홍보 부착대에 제작한 현수막을 붙여 서 홍보한다. 이들 신청자의 참가비 또한 전단지 마케팅과 같이 모집함을 원칙으로 한다.
크기 : 3m × 90cm (가로×세로)
제작 : 점사 방식으로 제작하여, 20군데를 선정후 부착한다.
- 18 -
13. 홍 보 방 법
5. 신문광고 : 대구의 영리비영리 신문 등에 광고지를 첨부하여, 신청을 받는다. 신문 광고의 신청받는 방법은 신청서 작성을 원칙으로 하며, 신청서를 작성하 여, 우편으로 공문발송의 원칙과 동일한 방법으로 담당자에게 수발되도록 함을 원칙으로 한다.
6. 방송광고(TV, 라디오) : 공단이 많고 영세민의 지리적 특성상 출근시간인 08시부터 09시까지 방송을 하며, 퇴근시간대와 저녁대인 19시부터 21 시까지 방송을 하도록 한다. 방송은 공익방송으로 지역방송 국에 보도하도록 공문을 발송하고, 방송은 자체에서 제작된 테잎으로 방송한다.
테잎 내용 : 북구 지역의 장애인의 현실태와 통계자료 및 편의시설 현황을 보여주어 지역주민들이 간 접적으로 문제점을 인식하도록 한다.
7. 이벤트 : 북구 지역의 주민들의 유동인구가 많은 곳을 대상으로 주1회 이벤트를 통 하여, 지역주민들이 이질감을 느끼지 않고 문제점을 접하고 프로그램에 참 여 할 수 있도록 유도한다. 이벤트를 통하여 거두어 지는 수익금은 프로그 램 운영 및 장애인 지원사업에 쓰여지며,
행사 : 마술 및 아트풍선을 이용하여, 지역주민들에게 나누어주어 홍보한다.
8. 이동 복지관 : 상담교육팀의 사회교육 및 지역사회사업의 일원으로 이동식 복지 관 프로그램을 실시하여, 각 기관 및 단체 등에 순회하면서 교 육 및 장애체험을 실시하여, 신청자를 접수한다.
9. 자원봉사자 : 자원봉사자는 행정지원팀에서 대구의 사회복지과가 개설되어 있는 대 학교를 대상으로 남녀 기준이 없이 10명을 모집한다. 이들은 봉사교 육을 실시한 후에 각 프로그램들에 투입을 하며, 인원 및 여러 임무의 체크를 담당한다.
자격 : 장애인에 관심이 많은 사회복지학 전공자
- 19 -

추천자료

  • 가격500
  • 페이지수17페이지
  • 등록일2008.01.29
  • 저작시기2004.8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4893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