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학 - 진보주의와 보수주의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정치학 - 진보주의와 보수주의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보수주의란

2. 등장배경

3. 전개과정

4. 보수주의의 대표적 인물

5. 보수주의와 지역주의

6. 신보수주의

7. 진보주의란

8. 진보주의의 역사

9. 진보주의의 대표적 인물

10. 진보주의와 보수주의의 통일에 대한 견해 대립

본문내용

《서울신문》(현 대한매일)에 입사해 외신부·사회부 기자를 거쳐 1980년부터 7년간 프랑스 특파원을 역임하고, 1987년 외신부 차장을 지냈다.
1988년부터 노동운동에 몸담아 1994년까지 언론노동조합연맹 초대~3대 위원장, 전국업종노동조합회의 의장, 전국노동조합대표자회의 공동대표, 의료보험통합적용확대 국민연대회의 대표, 우리농업지키기 국민운동본부 대표 등을 역임하였다. 1995년에는 5·18 학살자처벌특별법 대책위원회 대표를 지낸 뒤 같은 해 12월 제3자 개입혐의로 구속되었다.
이후 전국민주노동조합총연맹(민주노총) 초대 위원장(1995~1997), 6월항쟁 10주년사업 범국민추진위원회 공동대표(1997), 겨레사랑 북녘동포돕기 범국민운동본부 대표(1997)를 지냈다. 1997년 12월에는 \'지역정치·붕당정치·금권정치 척결\'을 내걸고 국민승리21 대통령 후보로 출마해 전국 득표율의 1.2%인 30만 6026표를 획득하였다.
1998년 국민승리21 대표, 민주노총 지도위원, IMF(국제통화기금) 반대 및 고용안정 쟁취를 위한 범국민운동본부 공동대표, 1999년 민주노동당 창당준비위원회 상임대표를 맡았다. 2000년에는 창원(을)에서 제16대 국회의원으로 입후보하였으나 낙선하였고, 같은 해 1월부터 2002년 10월 현재까지 민주노동당 대표를 맡고 있다. 특히 제16대 대통령선거 민주노동당 후보로 출마해 같은 해 12월 19일 치러진 선거에서 비록 유효투표총수의 3.9%를 얻는 데 그쳤지만, 텔레비전 토론 등을 통해 급진적인 이미지를 씻고 진보정당의 교두보를 확보하는 등 민주노동당을 새로운 정치세력으로 성장시켰다.
(2) 조봉암
1898∼1959. 정치인. 본관은 창녕(昌寧). 호는 죽산(竹山). 경기도 강화출신. 빈농 집안에서 태어났다. YMCA 중학부 재학중에 3·1운동이 일어나자 이에 참여하였다가 1년간 투옥되었다.
그뒤 일본에 건너가 주오대학(中央大學)정경학부에서 공부하던 중 우리나라 동경유학생들이 조직한 사회주의·무정부주의계열의 흑도회에 가입하여 활동하였다. 흑도회가 해산되자 대학을 중퇴하고 귀국하여 국내의 항일단체인 조선노동총동맹 문화부책을 맡아 노동운동을 하였다.
1922년 소련령 웨르흐네스크에서 열린 고려공산당 합동회의에 국내파 대표로 참가하여 공산당 파벌 통일에 노력하였으나 실패하였고, 그뒤 통합대회 결렬사유를 모스크바 코민테른대회에 다른 대표와 함께 보고하였다.
1924년 코민테른의 지시로 공산주의지도자 양성기관인 모스크바 동방지도자공산대학 단기과정을 이수하였다.
그뒤 귀국하여 신사상연구회·북풍회 등 사회주의단체에 가입하여 활동하였으며, 이 두 단체가 통합한 화요회에서는 창설주역으로 활동하였다.
1925년 조선공산당 조직에 참여하였으며, 조선공산당 1차당 창당을 주도하였다.
1926년 제2차 조선공산당을 수습, 조직하고 5월에 만주에 가서 조선공산당 만주총국을 조직하였으며 그 책임비서가 되었다.
그뒤 코민테른의 지시로 상해로 가서 코민테른 원동부(遠東部)의 조선대표도 겸직하였다.
1926년 6·10만세운동에 제2차조선공산당 조직이 일본경찰에 의하여 다시 해체되자 제3차당인 ML당조직에 참여하였으나 국내당과 마찰을 빚어 지도기능을 잃었다.
그뒤 코민테른의 결정에 따라 1국1당주의 원칙에 따라 중국공산당에 소속되어 활동하였다.
1932년 일본 영사경찰에 의하여 상해에서 붙잡혀 신의주형무소에서 7년간 옥살이를 하였다.
그뒤 고향에서 김조이(金祚伊)와 결혼하고 인천에서 은거생활을 하였으며, 일본경찰에 의하여 요시찰인으로 일체의 대회활동이 중지되었다.
1945년 2월 일본 헌병대에 검거되어 다시 수감되었다가 1945년 광복과 더불어 자유의 몸이 되었다. 광복 후에는 건국준비위원회 인천지부에서 활동하였고, 1946년 사회주의계열인 민족전선에서 활약하였으며, 그해 5월 박헌영(朴憲永)의 공산주의노선을 공개서한을 보내어 비판하였다.
1개월 후인 6월에는 조선의 건국은 ‘민족 전체의 자유생활보장’을 내걸고 노동계급의 독재, 자본계급의 전제를 다같이 반대한다는 중도통합노선을 주장하고 조선공산당과 결별하였다.
그해 8월 이후부터 미군정당국의 좌우파합작을 지지하고 협력하였으며, 1948년 5·30선거 때 인천에서 제헌국회의원으로 당선되었으며 초대농림부장관이 되었다.
1949년 농림부장관 관사수리비를 농림부 예산을 전용하였다가 국회에서 문제가 되어 그 책임을 지고 장관직에서 물러났고, 1950년 제2대국회의원에 당선되어 국회부의장에 선임되었다.
1952년 제2대정부통령 선거에 입후보하였다가 차점으로 낙선되었고, 1956년 12월 혁신계 인사들로 구성된 진보당(進步黨)창당준비위원회를 발족, 제3대정·부통령선거에 박기출(朴己出)을 부통령후보로 내세워 대통령에 출마하였으나 다시 낙선하였다.
1957년 진보당을 창당하고위원장에 선임되었으며, 1958년 5월 국회의원선거에 지역구후보를 내세워 원내에 진출하였다.
1958년 1월 간첩죄 및 〈국가보 안법〉 위반혐의로 진보당원 16명과 함께 검거되어 대법원에서 사형이 확정, 1959년 11월 사형이 집행되었다.
10. 진보주의와 보수주의의 통일에 대한 견해 대립
(1) 상호주의 원칙의 적용
- 보수 : 상호주의원칙을 엄격하게 적용해야 함
- 진보 : 상호주의원칙을 신축적으로 호혜적으로 적용해야 함
(2) 북한의 인권문제
- 보수 : 남북관계 개선과 병행하여 북한 인권개선을 요구해야 함
- 진보 : 북한의 인권보다 평화정착을 위한 협상이 더욱 중요하며, 북한인권
문제는 북한 주민의 생존권 보장에 초점을 두어야 함
(3) 남북관계의 속도조절론
- 보수 : 북한의 대남태도 변화를 고려하여 대북정책의 속도를 조절해야 함
- 진보 : 다양한 채널을 통해 교류·협력을 추진하는 것이 중장기적으로 북한
의 대남태도를 변화시킬 수 있음
(4) 대북 퍼주기론
- 보수 : 대북지원은 일방적인 퍼주기임
- 진보 : 대북지원은 최소한의 인도적 지원이며, 남북대화 창구를 유지하고 남
북관계 진전을 위한 고리임
(5) 북한변화 여부
- 보수 : 북한체제는 근본적으로 변화하지 않았음
- 진보 : 북한은 제한적이지만 개혁·개방을 추진하고 있으며, 대남정책도 변
했음
  • 가격2,000
  • 페이지수11페이지
  • 등록일2008.02.01
  • 저작시기2008.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4933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