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리랑 집단체조를 통한 북한의 이해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서론
․아리랑 집단체조
(집단체조의 개념, 집단체조의 발전과정, 아리랑에 대하여. 아리랑 집단체조의 이의와 한계, 아리랑 내용.)

2. 조사내용
미국 등 국제사회의 입장 (관광)

3. 작성자 의견 및 평가

4. 출처자료

본문내용

들었다.
- 자료를 찾다가 놀라운 글을 보았다.
“2002년 아리랑 공연대가는 컬러 TV 1대‘
“공연은 남조선과 해외동포, 외국인들의 폭풍 같은 반향을 불러 일으켰다”
아리랑 공연은 5~6개월 전부터 연습을 시작했는데 초기에는 학생들을 오전반과 오후반으로 나눠서, 하루에 3~4시간 정도를 기본으로 연습했다. 연습시간은 편 차가 심했다. 밤 12시까지 하는 날도 있었다. 공연을 1~2개월 정도 앞두고는 자정까지 연습을 하는 날이 훨씬 많았다.
식사는 집에서 도시락을 싸오는데, 점심과 저녁을 다 준비해왔다. 부모들이 당번을 정해 돌아가면서 국을 준비해왔다.
배경대 아이들이 힘들다지만 내가 볼 땐 체조대가 더 힘들다. 그래도 그걸 하고나면 아이들의 체격이 좋아진다. 북한이 집단체조를 하는 이유에는 이런 체력단련의 부수적 효과도 있다.
아리랑은 워낙 많은 사람들이 동원되었기 때문에 평양 외곽 멀리 있는 구역의 아 이들까지 다 동원됐다. 아이들을 경기장까지 수송하는 일은 군인들이 했다. 군용 트럭이 학교로 가서 경기장까지 싣고 가고, 연습이 끝나면 다시 학교까지 데려다 준다. 학생들을 수송하는 군용트럭은 ‘특수보장’이 된다. 선두에 경찰차량이 앞장 서고 모든 검문소를 검문 없이 바로 통과한다.
거기에 참가하는 아이들이 진짜로 고생한다. 먹을 것도 제대로 못 먹고, 더운데 땀 을 뻘뻘 흘리고, 추운데 공연복장으로 연습하고…….
이 세상에 그런 공연은 둘도 없을 것이다.
전체주의 체제 북한만이 할 수 있는 공연이 다. 아이들이 고생하는 것은 익히 알고 있지만, 공연을 보고 있노라면 그런걸 잊을 정도로 입이 딱 벌어지고 눈물이 나온다.
특히 ‘아리랑’은 우리 민족의 감정을 북돋는 내용으로 짜여 있다. 이런 공연을 한번도 못 본 남한 사람들은 아리랑공연을 보고 감동받을 만도 할 것이다.
2000년 ‘백전백승 조선노동당’ 공연을 마치고 참가자 전원에게 담요, 통조림, 남방 과일 등이 선물로 지급됐다. 2002년 ‘아리랑’ 공연 참가자들에게는 컬러TV가 지급됐다. 한 집안에서 여러 학생이 참가한 경우, 가구당 1대씩만 지급되었다.
이 글을 보면서 우선 마음이 아파왔다.
우리나라
한국 학생 중 제일 힘들고 고생하는 학생을 뽑으라고 하면 고3을 빼놓을 수가 없다. 하지만 우리나라는 절대적인 의무적인 아닌 하고 싶어서 자율적으로 수능을 응시 할 수 있으며 그에 대해서 열심히 한다. 하지만 북한아이들은 다르다. 의무적이며 꼭 해야만 한다. 하지 않으면 그에 대한 엄청난 대가가 내려지기 때문에 해야 만 한다. 그게 우리나라의 민주주의 사회와 공산주의 국가와 다른 점이구나? 하는 생각이 들었다. 그래서 그런지 이에 관해서 지금대학교를 다니며 학점에 대해 너무 치우치며 힘들다고만 하는 내 자신이 부끄러워지기 도하였다.
또한 아이들이 고생한 만큼 대가를 컬러TV 한대를 주어진다.
무언가를 대가를 바라고 하는 일은 아니지만 그에 대해서 부여되는 것은 컬러TV 한 대 뿐인가? 라는 생각이 들었다. 과연 우리나라에서 일어난다면 누가 하겠는가? 라는 생각도 들었다. 북한에서 아무리 부의 상징이 텔레비전, 냉장고등 가전제품이라고 한다고 하여도 이건 너무 하지 않는가? 라는 생각이 들었다.
아리랑으로 인해서 여러 나라 세계국가에 관광산업을 추진 할 수 있었고 그에 대해 서 북한의 폐쇄적인 이미지 등 좋지 못한 이미지와는 달리 다른 점을 부여 할 수 있었다.
아리랑은 아이들이 만들며 아이들이 추진 해온 걸로써 이에 대해서 대가를 그만큼에 대한다는 것은 참으로 놀라운 일이 아닐 수가 없었다. 꼭 아이들에게 이러한 일을 하면서까지 꼭 해야만 하는가?
아이들을 불러일으켜 관광산업까지 추진해야하는가?
그걸 보며 우리는 놀랍고 마음이 찡해지기까지 하는데 북한의 정부들은 어떠한 생 각을 갖게 되는 것 일까?..등등 정말 의문점이 생겼다.
한번쯤은 나도 동영상이 아닌 실제로 보고싶다는 생각도 들었다.
북한에 대해 관심은 많지만 아직 실질적으로는 북한에 대해 알기위해선 많은 다른 부분이 있는 것 같다.
북한에 대해 더 열심히 공부해야겠다는 생각도 들었다.
4. 출처
http://cafe.naver.com/nnkorea - 관광
www.naver.com
www.yahoo.co.kr
http://blog.empas.com/biggarden/
http://www.hani.co.kr/ 한겨례
http://www.dailynk.com/korean/read. 세계최초 북한 전문 인터넷뉴스- 데일리엔케이
  • 가격1,000
  • 페이지수9페이지
  • 등록일2008.02.01
  • 저작시기2008.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4934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