레포트_미술(한국현대50년대미술앵포르멜운동)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들어가며

2. 추상미술의 전개

3. 추상표현 주의의 출현

4. 구상과의 대립

5. 앵포르멜 회화의 특징 및 작품

6. 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고 존재하는 것으로 보다 순수한 회화를 지향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개별적인 표현유형은 다음과 같이 나타난다.
첫째, 독특한 물질을 사용하는 기법의 발명 즉, 후도기법에서 끈적끈적한 물질적인 표면으로 새로운 재료의 사용이다.
作品(작품)NO.18_59, 1959
61x50 / cement,hemp cloth,oil on canvas
둘째, 회화의 화면에 즉각적인 감각을 증가시키는 기호를 사용하며, 붓 자체의 움직임을 통해 표현되고 그림의 화면을 단순한 형태로 재구성하고 있었다.
描法(묘법)NO.940110,1994
65.3x46 / mixed media with korean paper
셋째, 극한 상황 속에서 생존의 의미를 묻고 인간의 본질성과 현실을 표현하고 있다는 점이다.
檜畵(회화)NO.4_57,1957
82x100 / oil on canvas
넷째, 다양한 기법으로 초월적인 의미를 부여하고 있다는 점이다.
遺傳質(유전질)NO.7_69_70, 1969-70
91x116.5 / oil on canvas
다섯째, 현실을 주제로 삼고 기존의 관념적 대상에 얽매이지 않고 시각을 확산시켜 나감으로써 새로운 근본 이미지에 도달된 것이다. 즉, 화가의 내면세계와 외부세계의 현실을 결합하여 작가만의 진정한 화면을 구성하고 있다.
닭, 1956
22x17.5 / oil on canvas
결론적으로 앵포르멜 회화는 회화의 표면에 새로운 물질을 사용하여 실험을 통해 현대 회화에 또 다른 가능성을 시사해 주고 있으며 모험과 반발 파괴와 기대의 정신 입장에서 낡은 것과의 새로움이 교차되는 진행이었고, 기존의 회화 사조에 문제점을 제기하는 작가들의 실험은 체험정신의 시대적 반영이었던 것이다.
6. 결론
앵포르멜 회화가 우리미술에 끼친 영향은 실로 크다고 해야 할 것이다. 1950년대의 미술 동향은 추상표현주의 쇠진과 아울러 이를 극복할 세대의 무기력 내지는 부재의 특징 지어 지고 있다. 이는 현대 회화를 이끌어 오다시피한 앵포르멜 세대 및 기성세대가 이미 그 주도권을 잃고 상황 유지의 겉치레 활동으로 자족하고 있었고, 또 한편으로는 새 세대가 제자리 걸음을 하여 이것을 뚫고 나갈 힘이 없었다고 본다.
한국 초기의 추상미술, 특히 1950년대는 일방적인 문화 수용기였고, 한국의 미술가가 당시 지배문화를 이루었던 서구의 양식을 수용하면서도 그것의 주변을 이루어 온 자국문화의 속성들을 의식하고 두 문화의 융합을 시도하였음을 알 수 있고, 이 시기에 나타난 소재는 다양한 측면을 동시에 구현하고 있었다.
서구의 고전미술, 입체주의, 기하학적 추상미술로 이어지는 전통 즉, 대상의 형태구조에 대한 객관적인 분석이라는 태도와 그것에 근거한 양식이었다.
어느 시대를 막론하고 그 전개과정에 있어서 미술자체의 내재적이며 활력에 찬 법칙을 가지고 있다. 한 시대의 움직임, 화가의 일관성 있는 추구의 활동력이 주어진다. 그 활동의 시작이었던 1950년대 후반을 기점으로 해서 우리나라 현대미술은 한층 더 발전하게 되었고 그것은 추상표현주의 출현으로 구상과의 대립으로 겪게 되는 갈등의 상황이 존재했음을 알아보았다.
참 고 문 헌
1. 김상봉, "앵포르멜(Informel) 회화에 나타난 마티에르(Matiere)의 심층적 고찰" 경희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1999
2. 김현희, "현대 한국화에 있어서 비구상에 관한 연구 : 50~70년대 작가들을 중심으로", 전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002
3. 박소은, "한국 앵포르멜 운동 연구", 상명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2003
4. 심영옥, "한국 근·현대미술비평의 시기 구분과 특징에 관한 연구 : 1910~1980년대를 중심으로", 경희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001
5. 윤익영, "추상미술의 발단과 변천 단고(短考)" , 인문논총, Vol.4 No.-, 1999
6. 오현미, "전후 한국 추상미술에 대한 비판적 고찰 : 냉전기 추상회화의 이념과 방법을 중심으로", 영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3
7. 윤진섭, "한국 모더니즘 미술연구 - 1956년 이후의 전위운동을 중심으로", 상명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2000
8. 정무정, "추상표현주의와 한국 앵포르멜", 미술사연구, Vol.- No.15, 2001
9. 천경자, "서구 모더니즘 회화의 유입과 한국 현대 추상미술 전개에 관한 연구 : 1930년대부터 70년대까지의 전개 양상과 조형적 특성을 중심으로", 홍익대학교 미술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3

키워드

  • 가격5,000
  • 페이지수9페이지
  • 등록일2008.02.03
  • 저작시기2004.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4949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