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운율에 대해서
<목 차>
Ⅰ. 운율의 개념
Ⅱ. 운율의 종류
Ⅲ. 운율의 원리
1. 정형시에 나타난 운율
2. 산문시에 나타난 운율
3. 자유시에 나타난 운율
<참고자료>
<목 차>
Ⅰ. 운율의 개념
Ⅱ. 운율의 종류
Ⅲ. 운율의 원리
1. 정형시에 나타난 운율
2. 산문시에 나타난 운율
3. 자유시에 나타난 운율
<참고자료>
본문내용
밀밭 길을//그룸에/갈 가듯이/가는 나그네"라고 3박자로 읽을 수 있게 되어 있다. 3음보의 율격인 것이다. 3음보의 율격은 우리나라 민요의 기본 율격이라고 전문가들은 말하고 있다. 대표적인 민요인 <아리랑>이 "아리랑/아리랑/아리리요/아리랑/고개를/넘어간다"라고 3박자를 이루고 있는 것은 그 좋은 예이다. 그러니까 위에 든 박목월의 <나그네>는 음수율과 음보율 양면에 걸쳐 어떤 규칙성을 구현하고 있는 정형시라고 지목될 가능성도 없지 않은 것이다.
+ 추가
꿈길 - 김소월
물구슬의 봄 새벽 아득한 길
하늘이며 들 사이에 넓은 숲
젖은 향기 불긋한 잎 위의 길
실그물의 바람 비쳐 젖은 숲
나는 걸어가노라 이러한 길
밤저녁의 그늘진 그대의 꿈
흔들리는 다리 위 무지개 길
바람조차 가을 봄 걷히는 꿈
이 시는 각 행의 끝말이 1연의 경우는 ‘길’과 ‘숲’, 2연의 경우는 ‘길’과 ‘꿈’으로 되어있다. 같은 소리의 반복, 그러니까 운을 맞춰 쓴 시인 것이다. 그리고 이 시처럼 시행의 끝에 있는 운을 각운이라고 하며 각운, 두운, 요운을 합쳐 압운이라 한다.
한시와 서구시에는 압운이 자주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한국시에서는 압운을 사용한 예가 많지 않고, 또 그 효과도 한시나 서구시처럼 묘미가 잘 살아나지 않는다. 그것은 교착어인 우리말이 굴절어인 중국어나 서구어와 구조를 달리함에 기인하는 현상이다. 그렇기 때문에 한국시의 리듬에 있어서는 압운이라는 요소가 차지하는 비중이 크지 않다.
<참고자료>
김영철 「현대시론」,건국대학교출판부
이형기「시창작 강의」,문학사상사
박명용 「현대시창작법」, 푸른사상
+ 추가
꿈길 - 김소월
물구슬의 봄 새벽 아득한 길
하늘이며 들 사이에 넓은 숲
젖은 향기 불긋한 잎 위의 길
실그물의 바람 비쳐 젖은 숲
나는 걸어가노라 이러한 길
밤저녁의 그늘진 그대의 꿈
흔들리는 다리 위 무지개 길
바람조차 가을 봄 걷히는 꿈
이 시는 각 행의 끝말이 1연의 경우는 ‘길’과 ‘숲’, 2연의 경우는 ‘길’과 ‘꿈’으로 되어있다. 같은 소리의 반복, 그러니까 운을 맞춰 쓴 시인 것이다. 그리고 이 시처럼 시행의 끝에 있는 운을 각운이라고 하며 각운, 두운, 요운을 합쳐 압운이라 한다.
한시와 서구시에는 압운이 자주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한국시에서는 압운을 사용한 예가 많지 않고, 또 그 효과도 한시나 서구시처럼 묘미가 잘 살아나지 않는다. 그것은 교착어인 우리말이 굴절어인 중국어나 서구어와 구조를 달리함에 기인하는 현상이다. 그렇기 때문에 한국시의 리듬에 있어서는 압운이라는 요소가 차지하는 비중이 크지 않다.
<참고자료>
김영철 「현대시론」,건국대학교출판부
이형기「시창작 강의」,문학사상사
박명용 「현대시창작법」, 푸른사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