러시아의 발레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Ⅰ. 러시아 발레의 역사
1. 초기 러시아 발레
2. 19세기의 발레
3. 20세기의 발레

Ⅱ. 러시아 발레단
1. 러시아 발레단의 탄생
2. 볼쇼이 발레단
3. 마린스키 발레단

Ⅲ. 러시아 발레 작품
1. 호두까기 인형
2. 백조의 호수
3. 잠자는 숲속의 미녀

Ⅳ. 발레의 ‘마임’ 및 ‘용어’
1. 발레의 표현 방법 - 마임의 의미
2. 발레 용어

Ⅴ. 새 시대의 무용수들
1. 안나 파블로바
2. 타마라 카르사빈나

Ⅵ. ‘러시아 발레’를 준비하며 느낀 점

Ⅶ. 참고문헌 및 자료

본문내용

다. 한 발을 축으로 하여 다른 한쪽 발을 돌리면서 연속적인 회전을 하는 동작이다.
꼴 드 발레 발레단원의 군무를 의미하며 앙상블이라고도 한 다.
발레뜨망 발레 애호가.
발레 마스터·미스트레스 발레 수업을 이끌고 레퍼토 리를 반복 연습시키는 남성과 여성.
빠 드 꺄뜨르 4인무. 네 명의무용수를 위한 무 용.
빠 뜨 되 2인무. 두 명의 무용수를 위한 무용.
빠 뜨 씨스 6인무. 6명의 무용수를 위한 무 용.
솔리스트 혼자 춤추는 무용수. 독무자.
프리미에르 당쇠르 남성 주역 무용수.
유니타드 무용수가 입는 상의인 레오타드와 하의인 타이츠를 결합시킨 한 벌짜리 무용복.
투투 짧은 무릎 길이의 발레 의상
Ⅴ. 새 시대의 무용수들
러시아 발레 역사에 있어서 선명한 한 페이지는 20세기 초기의 무용수들에 의해 쓰여 졌다. 20세기 초는 러시아의 공연 예술이 전례 없이 번창하던 시대였다. 그 발레 무대는 예전에는 결코 유사한 기라성 같은 재능인을 목격하지 못했다.
<미하일 포킨> <안나 파블로바>
빼쩨르브르크 발레에서의 새로운 춤 세대의 자부심과 영광은 안나 파블로바와 타마라 카르사빈나였다. 그 두 명의 전설적인 무용수들은 발레에서 인상주의적인 경향과 가장 완벽하고 매혹적인 태도로, 포킨의 연극적인 마감을 나타냈다. 그들의 창조적인 작품은 새로운 시대의 영혼과 예술적인 경험에 지배되고 있었다.
1. 안나 파블로바(1881-1931)
1899년 마린스키에 고용되었고, 거기에서 10번의 시즌 동안 춤추었다. 한 세탁부의 딸로 평범한 태생인 그녀는 특별한 영혼적인 특성을 선천적으로 타고났다. 언론은 그녀가 무대에 첫 발을 내딛은 것에 주목했다.
파블로바는 그녀의 기교적인 기술을 향상시키기 위해 체케티와 베레타에 의해 개최된 클래스에 참가하였다. 그러나 그녀의 특별한 자질은 공기 같은 가벼움과 심리적인 표현의 결합이었고, 판에 박힌 일과 진부함에서 나온 신성한 불꽃과 완전한 자유였다.
파블로바는 1908년에 최초의 유럽 순회 공연을 떠났고 1년 후에 파리에서 <러시아 시즌>
의 스타가 되었다. 그 다음 해에 그녀는 세계를 순회 공연하는 자신의 극단을 설립하였다.
그녀는 순회 공연을 많이 하면서 영국에 정착했고 50세에 흑해에서 순회 공연 중에 인생을 마감했다.
2. 타마라 카르사빈나 Tamara Karsavina(1885-1978)
1902년에 학교를 떠났고 마린스키 코르 드 발레에 입회 하였다. 겨우 2년 후에 그녀는 제2의 솔리스트로 임명되었다. 고전적인 취향의 지지자들은 그녀의 초창기 춤을 ‘캐주얼하고 느슨한 작품’이라고 비난하였다. 그러나 대중들은 그녀의 비범한 우아함을 경탄하며 다른 사람들 가운데서 그녀를 구별하였다. 그녀의 캐주얼한 춤은 새롭고 인상적인 타입의 독특한 매력을 가진 끝이 없는 움직임과 함께 극도로 화려하였다. 일반적으로 인정된 발레 공연 형태에 어울리지 않게 그 스탈일은 포킨의 안무에서 새롭고 독창적인 연출로 이어졌다. 카르사빈나의 예술은 시인과 화가 그리고 문필가들을 고무시켰다. 그녀는 모든 춤에서 시적인 특성과 맑고 부드러운 선들이 음악적이고 고상하며 단순하다고 소개하였다.
1918년 5월 마린스키에서 마지막 출연 후에 그녀는 영국인 남편과 함께 런던으로 떠나 그곳에서 긴 여생을 보내고 많은 무용수들을 훈련시켰다.
Ⅵ. ‘러시아 발레’를 준비하며 느낀 점
‘러시아’ 라는 나라. 생각해보면 우리나라와 관계도 깊고 거리상으로도 너무나 가까운데도
그동안 나는 먼 나라 미국이나 유럽에 비해 관심 있게 바라보지 못했었다. 하지만 이번 ‘영화로 보는 러시아’ 라는 교양과목의 수강을 통해 너무나 새롭고 흥미로운 사실들을 접할 수 있었다. 자유롭고 딱딱하지도 않은 수업. 오히려 더 호기심을 유발하고 능률을 올려주는 수업 방식이 맘에 들었고. 이것이 내가 유독 이 과목에 관심을 가지고 적극적으로 참여하게 된 이유다. 수강을 하면서 많은 지식을 쌓을 수 있었지만 들을수록 궁금한 것들이 더 많아졌었다. 하지만 이번 과제를 통해서 그를 해결 할 수 있어 너무 좋은 것 같다.
보통 ‘러시아’ 하면 떠오르는 것들은 ‘모스크바’, ‘러시아 혁명’, ‘횡단 열차’, ‘표트르 대제’, ‘푸틴’, ‘고르바초프’, ‘바이칼 호수’, ‘볼쇼이 아이스발레’ 등이다.
난 이 중에서도 러시아의 예술성과 정서 그리고 역사적 흐름까지 파악할 수 있는 ‘러시아 발레’라는 주제로 자료를 조사하고 정리해보았다.
초등학교 때 교과서에서 배웠던 ‘호두까기 인형’, ‘백조의 호수’, ‘잠자는 숲속의 미녀’와 같은 작품들은 러시아 발레에 있어 아주 대표적 작품이다. 오랜 세월이 지난 지금 그 작품들을 다시 접하니 감회가 새로웠고 자세히 알지 못했던 부분들까지 공부하면서 좀 더 알게 되어 너무 좋았다.
러시아의 역사도 깊지만 발레의 역사도 깊다. 러시아 발레는 20세기 이르기까지 아주 많은 작품들이 만들어 졌고 그에 못지않게 많은 무용수들이 탄생했다. 이것은 바로 러시아의 예술성을 대신한다고 볼 수 있다.
나 말고 다른 이들도 ‘러시아 발레’에 대한 이해를 통해 러시아의 우수한 예술성과 정서를 같이 느낄 수 있었으면 좋겠다.
러시아에 대해 많은 관심을 가질 수 있도록 도와주신 교수님께 감사드리며 남은 수업도 끝까지 적극적인 자세로 즐겁게 임하고 싶다. 이번 교양을 통해 새로운 많은 지식을 습득해 갈수 있을 거라는 생각을 하며 글을 마친다.
Ⅶ. 참고문헌 및 자료
“러시아 발레” <예니 / 이 상 우 저>
Assafiev.V 「The ballet」 Leningrad. USSR. 1974
Blasis.K 「Dancing at large. ballet Celebrities and national dance」Moscow. 1864
Demigov.A 「The Swan Lake」 Moscow.1992
「Europe Bestnigue」 1811년 No3.P220
「Perform list and pamphlet」 1847 년 T2.P29
「Capital and Neighbor/Ballet master and computer, L.Evanophe」1916년 1월 1일 No49.P22
  • 가격1,000
  • 페이지수10페이지
  • 등록일2008.02.05
  • 저작시기2008.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4973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